본문 바로가기

즐겨 읽는 명상록

니토베 이나조[ 新渡戶稻造, Nitobe Inazō ]

 

 

 

 

니토베 이나조[ 新渡戶稻造, Nitobe Inazō ]

 

 

 

- Japan, 5000 Yen (Banknote)

 

 

니토베 이나조 [新渡戶稻造, Nitobe Inazo, 1862.8.3~1933.10.15] 

니토베 이나조[ 新渡戶稻造, Nitobe Inazō ]

1862. 8. 3 일본 모리오카[盛岡]~1933. 10. 15 캐나다 빅토리아.

 

일본 다이쇼[大正] 데모크라시 시대의 대표적인 자유주의의 사상가·농정학자(農政學者)·교육자.

 

도쿄 영어학교를 거쳐 16세 때 삿포로 농학교[札幌農學校]에 들어가 W. 클라크로부터 감화를 받고

그리스도교도가 되었다. 이때 일본의 대표적 그리스도교 지도자인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와 돈독한 관계를 맺었다.

 

 1884~91년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공부하고 돌아와 삿포로 농학교의 교수로서 농정학·농학사·경제학을 강의했다.

그러나 병으로 사직하고 요양을 겸해 1898~1901년 유럽과 미국을 여행했으며 그사이 영문으로

〈Bushido:The Spirit of Japan〉(〈무사도 武士道〉)를 집필해 1900년 미국에서 출판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후 타이완 총독부를 거쳐 1903년 교토제국대학 법과대학의 교수에 취임하여 이때부터 학자이자 교수로서의 생애를

시작했다.

 

 1906년에는 제1고등학교 교장이 되어 도쿄제국대학 교수를 겸임했다. 1913년에는 도쿄제국대학의 전임교수로서

 식민정책 강좌를 담당했다. 한편 1911년에는 최초의 미·일 교환교수로서 미국의 6개 대학에서 강의했다.

 

1920~26년에는 국제연맹 사무국 사무차장으로서 국제무대에서 큰 활약을 했다.

귀국 후에는 제국학사원(帝國學士院) 회원, 귀족원 의원으로 선임되었으며 태평양문제조사회(IPR) 이사장으로서

일본의 국제적 지위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도쿄여자대학 초대 총장도 역임했다.

1933년 캐나다에서 개최된 태평양회의에 일본대표부의 위원장으로 출석했으나, 회의가 끝난 후 병으로 쓰러져

 빅토리아에서 객사했다.

 

 

그는 학자·교육자·국제인으로 다방면에 걸쳐 활동했고, 그의 활동에서 일관적으로 흐르는 정신은 동서양의 융화에

대한 신념과 실천이었다.

 

그는 동서문화의 융합에서 서양문명의 일방적 수입이 아니라 일본문화를 외국인에게 이해시키는 데 역점을 두었으며,

영문저서를 다수 집필하여 일본문화를 널리 소개했다.

 

 문하에서 학계의 야나이하라 다다오[矢內原忠雄], 정계의 마에다 다몬[前田多聞] 등 일본의 지도적 인사들이

다수 배출되었다.

 

〈농업본론 農業本論〉(1898)·〈수양 修養〉(1911) 등을 비롯한 많은 저서는 〈니토베 이나조 전집〉

(16권, 1969~70)에 수록되어 있다.

BIE /브리태니커

 

 

 

니토베 이나조(新渡戸稲造), 1862년 9월 1일 ~ 1933년 10월 15일)는 일본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걸쳐

 활동했던 사상가이자 기독교인, 농업 경제학자, 작가, 교육가, 외교가, 정치가이다.

 

그의 저서로 《무사도》가 있으며 일본 화폐 5000엔(円)권에는 한때 그의 초상이 실려 있었다.

/위키백과

 

---------------------------------------------------------------------------------

 

1933.10.15 - 일본의 사상가, 농정학자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 사망  

니토베 이나조 [新渡戶稻造, Nitobe Inazo, 1862.8.3~1933.10.15]

[역사 속의 인물] '무사도' 만든 니토베 이나조

일본 군국주의의 정신적 기반은 무사도(武士道)이다.

 

일본 우익은 이를 전래의 윤리규범이라고 떠들어대지만 실상은 20세기의 산물이다. 역사적 실체가 아닌 상징조작이다.

20세기 이전까지 일본의 어떤 기록에도 무사도에 관한 언급은 찾아볼 수 없다.

 

이를 날조해 제국주의 침략의 사상적 토대를 마련한 자가 '무사도'란 책을 쓴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이다.

1862년 모리오카 번 하급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도쿄대 교수, 국제연맹 사무차장을 지냈으며 1933년 오늘 캐나다에서

사망했다.

 

 

1899년 미국에서 출간된 '무사도'는 나오자 말자 베스트셀러가 됐다.

그러자 일본으로 역수입됐다.

 

이를 전후해  서양인은 물론 일본인 스스로 무사도 일본 고유의 도덕규범이나 미덕으로 착각하게 됐다.

'무사도'는 서양의 기사도를 모델로 무사도를 설명하고 있다.

 

 '서양에 기사도가 있다면 일본에는 무사도가 있다'는 식이다.

서양으로부터 '검은 머리 백인'으로 인정받고 싶은 열등감의 표현이다.

반면 일본 이외의 동양에 대해서는 철저한 오리엔탈리스트였다.

 

 

그는 당시 조선인을 이렇게 매도했다. "조선인의 생활풍습은 죽은 풍습이고, 조선인은 민족적 명맥이 끊어지려 하고 있다. 이 반도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죽음이다."

 

정경훈 논설위원 /매일신문 2010년 10월 15일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1730&yy=2010

 

 

1862.8.3 - 일본의 사상가, 농정학자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 출생   

니토베 이나조 [新渡戶稻造, Nitobe Inazo, 1862.8.3~1933.10.15]

[역사 속의 인물] 거짓의 무사도, 니토베 이나조

 

'서양에는 기사도가 있 듯, 일본에는 무사도(武士道)가 있다.

' 니토베 이나조(1862~1933)의 '일본의 정신, 무사도'의 서문은 우스꽝스런 문장으로 시작한다.

 

1900년 미국에서 출간되자 단번에 베스트셀러가 됐다.

무사도는 '충성과 명예를 가다듬기 위해 자신의 생명을 바친다'는 숭고한 개념인듯 보였기 때문이다.

 

그가 국제연합 사무차장 시절 '일본인은 청소년 교육을 어떻게 하나'라는 질문을 받고 고심 끝에 서양의 기사도에 빗대

 일본에는 없던 '무사도' 개념을 만들었다.

 

 1862년 오늘, 무사 집안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공부한 엘리트에 퀘이커 교도인데도 엉뚱하게도 '무사'를 '칼로 수양하는

 계급'으로 미화한 것이다.

원래 사무라이는 전쟁 전문가였지, 충성, 명예같은 유교적 이상과는 거리가 멀었다. 메이지유신 전만 해도 봉록을 주는

 영주에게만 충성했을분, 왕(덴노)이 있는지도 몰랐다.

 

 떼거리로 몰려다니며 정적을 암살하거나 등 뒤에 칼 꽂기를 선호하는 집단이었다.

그 '자랑스런' 무사도가 예전에는 힘없는 나라를 침략해 양민을 학살하고, 최근에는 과거에 대한 반성없이 남의 땅을

자기 땅이라고 우기는 논리로 쓰이니 웃기는 노릇이다.

무사도는 말장난이다.  

 

박병선(편집부국장) /매일신문 2011년 08월 03일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2650&yy=2011

 

---------------------------------------------------------------------------------

 

[역사 속의 인물] 거짓의 무사도, 니토베 이나조

'서양에는 기사도가 있 듯, 일본에는 무사도(武士道)가 있다.

' 니토베 이나조(1862~1933)의 '일본의 정신, 무사도'의 서문은 우스꽝스런 문장으로 시작한다.

1900년 미국에서 출간되자 단번에 베스트셀러가 됐다.

 

 무사도는 '충성과 명예를 가다듬기 위해 자신의 생명을 바친다'는 숭고한 개념인듯 보였기 때문이다.

그가 국제연합 사무차장 시절 '일본인은 청소년 교육을 어떻게 하나'라는 질문을 받고 고심 끝에 서양의 기사도에 빗대

일본에는 없던 '무사도' 개념을 만들었다.

 

1862년 오늘, 무사 집안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공부한 엘리트에 퀘이커 교도인데도 엉뚱하게도 '무사'를 '칼로 수양하는

계급'으로 미화한 것이다.

 

원래 사무라이는 전쟁 전문가였지, 충성, 명예같은 유교적 이상과는 거리가 멀었다.

메이지유신 전만 해도 봉록을 주는 영주에게만 충성했을분, 왕(덴노)이 있는지도 몰랐다.

 

떼거리로 몰려다니며 정적을 암살하거나 등 뒤에 칼 꽂기를 선호하는 집단이었다.

 그 '자랑스런' 무사도가 예전에는 힘없는 나라를 침략해 양민을 학살하고, 최근에는 과거에 대한 반성없이 남의 땅을

자기 땅이라고 우기는 논리로 쓰이니 웃기는 노릇이다.

 

무사도는 말장난이다.  

박병선(편집부국장) /매일신문 2011년 08월 03일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2650&yy=2011

 

 

[역사 속의 인물] '무사도' 만든 니토베 이나조

일본 군국주의의 정신적 기반은 무사도(武士道)이다.

일본 우익은 이를 전래의 윤리규범이라고 떠들어대지만 실상은 20세기의 산물이다.

 

역사적 실체가 아닌 상징조작이다. 20세기 이전까지 일본의 어떤 기록에도 무사도에 관한 언급은 찾아볼 수 없다.

 이를 날조해 제국주의 침략의 사상적 토대를 마련한 자가 '무사도'란 책을 쓴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이다.

 

1862년 모리오카 번 하급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도쿄대 교수, 국제연맹 사무차장을 지냈으며 1933년 오늘 캐나다에서

 사망했다.

 

1899년 미국에서 출간된 '무사도'는 나오자 말자 베스트셀러가 됐다.

그러자 일본으로 역수입됐다.

 이를 전후해  서양인은 물론 일본인 스스로 무사도 일본 고유의 도덕규범이나 미덕으로 착각하게 됐다.

 '무사도'는 서양의 기사도를 모델로 무사도를 설명하고 있다. '서양에 기사도가 있다면 일본에는 무사도가 있다'는 식이다.

 

 서양으로부터 '검은 머리 백인'으로 인정받고 싶은 열등감의 표현이다.

반면 일본 이외의 동양에 대해서는 철저한 오리엔탈리스트였다. 그는 당시 조선인을 이렇게 매도했다.

 "조선인의 생활풍습은 죽은 풍습이고, 조선인은 민족적 명맥이 끊어지려 하고 있다.

 

 이 반도를 지배하고 있는 것은 죽음이다."

 

정경훈 논설위원 /매일신문 2010년 10월 15일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41730&yy=2010

 

 

 

 

 
전곡 연속 듣기                                   
Yuri Bashmet, Viola                     

 

 

 

 


'즐겨 읽는 명상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에르케고르의 사상   (0) 2014.08.17
포스트모더니즘  (0) 2014.08.17
스피노자의 생애 사상  (0) 2014.08.17
철학의 개념과 주요문제  (0) 2014.08.17
철학요약  (0) 2014.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