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은행, 원금보장 안 되는 파생상품 100만건 팔았다

언론과 시사

은행, 원금보장 안 되는 파생상품 100만건 팔았다

도토리 깍지 2019. 9. 27. 10:45



우리은행 독일 국채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율 60.1%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우리은행은 19일 독일 국채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률을 60.1%로 확정했다. 우리은행은 이 상품을 총 19회에 걸쳐 1,266억원어치를

 팔았으며, 2차 만기 손실률은 오는 20일에 확정될 예정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 2019.9.19/뉴스1 photolee@news1.kr








[저작권 한국일보]은행권 ELF판매 현황_신동준 기자

/2019-09-26(한국일보)






은행, 원금보장 안 되는 파생상품 100만건 팔았다




파생결합펀드(DLF) 등 투자원금 보장 없이 은행권에서 판매되는 주요 파생상품 4종의 가입건수가 올해 100만건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상품의 투자 잔액이 50조원에 육박하는 가운데, 최근 5년간 손실이 확정된 상품도 가입액 기준 6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불완전판매 의혹 속에 급기야 원금 전액 손실로 번진 우리ㆍ하나은행 DLF 사태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은행 파생상품 판매 제도를 손보겠다고 밝혔다.


26일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16개 시중은행에서 취급한 주가연계특정금전신탁(ELT)ㆍ파생결합증권신탁(DLT)ㆍ주가연계펀드(ELF)ㆍ파생결합증권펀드(DLF)의 판매 잔액은

201530조원대에서 올해(87일 기준) 498,000억원대로 증가했다. 가입 건수도 같은 기간 668,000건에서 100만건으로 껑충 뛰었다.


이들 상품은 증권사가 설계한 주가연계증권(ELS)과 파생결합증권(DLS)을 편입해 신탁(ELTDLT) 또는 펀드

(ELFDLF) 형태로 만든 파생상품이다.

 상품별로 차이는 있지만 기초자산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정해지고 원금 손실을 볼 수도 있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판매 실적이 비약적으로 느는 건 은행들이 앞다퉈 비이자 수익 확대에 공을 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이 해당 상품을 팔면 통상 판매금액의 1% 안팎을 수수료로 받는데, 주수익원이던 예대마진이 저금리로 위축된

은행 입장에선 매력적인 수입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은행권이 파생상품 영업을 늘리면서 고객의 원금 손실도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 5년간 시중은행이 판매한 ELTDLTELFDLF 중 손실이 확정된 상품의 가입규모는 604억원(976)으로

나타났다.


은행별 손실상품 판매량은 농협은행(DLF, 172억원)이 가장 많았고 이어 기업은행(ELTDLTELF, 155억원),

씨티은행(ELTDLT, 147억원) 등의 순이었다

. 금감원은 다만 상품별로 손해율 산정방식이 달라 투자자들이 얼마나 손실을 봤는지는 정확히 산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올해 상품 가입 3건 중 1건은 60대 이상(338,560)에서 이뤄졌다.

잔액으로 따지면 전체 40%(195,299억원)에 육박한다. 80대 이상 고객의 가입 실적(14,120건ㆍ14,895억원)

상당했다.


판매 채널로 보면 프라이빗뱅커(PB 229,068)보다 일반창구(738,614)를 통한 가입이 3배 이상 많았다.

 은퇴한 노년층이 은행을 찾았다가 창구직원의 권유로 가입한 사례가 많다는 의미로, 나이 많은 고객들이 복잡한 상품 구조나 투자 위험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가입했을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적잖다.


제 의원은 최근 원금 손실이 나타나고 있는 DLF 사태는 금융당국이 2015년 사모펀드 판매 규제를 완화한 결과라며 공모펀드라면 적용됐을 엄격한 규제를 피해 판매 중인 파생상품들에 대한 총체적 검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우리은행ㆍ하나은행에서 판매한 해외 금리 연계형 DLF에 투자했다가 원금 손실을 보게 된 투자자들은 집단 행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독일 금리 연계 DLF에 투자한 우리은행 고객들은 이날 위례신도시지점을 항의 방문했다. 이들은 (은행 측이)100%

 손실 가능성 등 중요 내용은 제대로 설명하지도 않은 채 서명만 받은 뒤 계약 관련 서류를 날조했다사기로 맺은 계약인 만큼 원천 무효이고 전액 보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은행 DLF 투자자로 구성된 DLFDLS피해자비상대책위원회27일 국회에서 국정조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한편, 이들 은행을 검사하고 있는 금감원도 항의 방문할 예정이다.

이날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금감원의 우리ㆍ하나은행에 대한 검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다음달 (시중은행의 파생상품)

판매 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장재진 기자 blanc@hankookilbo.com







은행 창구에서 상담받고 있는 고객들


 [사진=뉴시스]





은행이라 믿었는데손실확정 파생상품만 600

16개 은행, ELT DLT ELF DLF 판매건수 100만건 돌파, 50조 규모




아이뉴스24 김다운 기자] 파생결합펀드(DLF) 등 투자자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주요 파생상품들이 올해 은행권에서

 처음 100만건 이상 팔리며 잔액이 50조원까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손실이 확정된 상품의 규모도 600억원으로 집계됐다.


26일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최근 5년간 16개 시중은행의 증권형 파생상품 판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주가연계특정금전신탁(ELT)·파생결합증권신탁(DLT)·주가연계펀드(ELF)·파생결합증권펀드(DLF)의 판매 잔액은 201530조원대에서 올해(87일 기준) 498천억원대로 꾸준히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입 건수 역시 668천여건에서 100만건으로 껑충 뛰었다.

ELT는 주가연계증권(ELS), DLT는 파생결합증권(DLS)을 편입한 신탁상품이고, ELFDLFELS.DLS를 편입한

펀드다. 


상품마다 구조가 다르지만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수익·손실 정도가 정해지는 구조로, 모두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다. 

판매 실적이 늘어나고 있는 건 은행들이 앞다퉈 비이자 수익 확대에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은행이 이들 상품을 팔면 통상 판매 금액의 1% 안팎으로 수수료를 받고 있는데, 예대마진 수익에 의존해 왔던 은행

 입장에선 새로운 수입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낮은 예금이자에 만족 못하는 소비자들의 투자 욕구가 맞물리면서 파생상품의 인기가 늘고 있다고 제 의원은

 분석했다. 

그러나 파생상품은 예적금이 아니기 때문에 원금을 날릴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한다.


실제 최근 5년간 시중은행이 판매한 ELT·DLT·ELF·DLF 중 손실이 확정된 상품의 규모는 604억원(976)으로

 나타났다. 

은행 중에선 농협은행이 판매한 DLF의 손실확정 규모가 172억원으로 가장 컸고, 이어 기업은행의 ELT·DLT·ELF(155억원), 씨티은행 ELT·DLT(147억원) 등 순이었다.


상품구조가 복잡하지만 은행을 방문한 장년층에 집중적으로 판매된 정황도 드러났다.

올해 판매된 상품 3건 중 1건은 60대 이상(338560)이었는데, 전체 잔액의 40%(195299억원) 가까이가 집중됐다. 80대 이상의 가입 실적(14120. 14,895억원)도 적지 않았다. 


일반창구를 통해 판매된 상품이 738614건으로 프라이빗뱅커(PB)에서 판매된 상품 229068건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은행을 들른 장년층이 창구직원의 권유로 가입한 사례가 적지 않은 것이라는 추정이다. 


제 의원은 "최근 원금 손실이 나타나고 있는 DLF 사태는 금융당국이 2015년 사모펀드 판매 규제를 완화한 결과"라며 "공모펀드의 규제를 우회해 판매되고 있는 파생상품들에 대한 총체적인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다운기자 kdw@inews24.com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DLF 사태' 올해 만기액 1100원금 손실 쇼크 이어진다


"우리75~100% 손실 예상"

하나도 반토막날듯



은행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에서 원금 전액을 날린 사례가 처음으로 나오면서 올해 만기가 돌아

오는 해외금리 DLF 원금 1100억원 중 대규모 손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유럽중앙은행(ECD)의 양적완화 재개 등으로 해외금리가 더 떨어질 수 있어 "전망은

 비관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해외금리 DLF 잔액은 각각 316억원, 809억원으로 총 1125억원 규모다. 올해 말까지 두 은행 각각 12회분 총 24회 만기가 도래한다
우리은행은 독일 10년물 금리를 바탕으로 지난 3~5DLF를 집중 판매했으며 하나은행은 지난해 9월부터 미국 이자율스와프(CMS) 5년물 금리와 영국 이자율스와프(CMS) 7년물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F를 팔았다.

투자 정보 사이트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지난 24일 당시 독일 10년물 금리는 연 -0.619%를 기록했으나 26일 오후

330분 기준으로는 3bp 반등해 연 -0.585% 수준이었다.
독일 금리는 현재 연 -0.600% 전후 수준으로 형성되는 모습이다.


 우리은행 해외금리 DLF 상품 특성상 연 -0.601%에 다다르면 사실상 원금 전액이 날라간다. 독일 10년물 금리가

-0.30%을 기점으로 1bp씩 떨어질 때마다 투자원금의 3.33%씩 손실을 보는 상품과 -0.20%를 기점으로 1bp

내려갈 때마다 2.00%씩 손실이 발생하는 상품 등으로 나뉜다.

앞서 지난 26일 만기 도래한 'KB 독일 금리연계 전문투자형 사모증권 투자신탁 제7(DLS-파생형)'에 투자한 총 48, 83억원의 원금이 4개월만에 사실상 전액 손실 처리된 것은 독일 10년물 금리가 연 -0.601%보다 더 떨어졌기 때문이다.
독일 10년물 금리는 올해 초만 해도 연 0.180% 수준을 기록했으나 4월을 기점으로 급격히 내려가 한때 연 -0.700%를 기록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올해말까지 해외 금리가 급반등할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한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로 글로벌 경기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면서 반등 모멘텀이 마련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독일쪽 경기가 예상보다 더 안 좋아지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달 경기 부양책이 나올 가능성이 제기돼 기대감 형성으로 소폭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곧바로 떨어지는

 추세"라며 "정부로부터 부양책이 나오지 않으면 하반기 내려갈 가능성이 높아 연말 연 -0.700~-0.500% 사이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원금의 75~100%를 잃는 수준이다.

구혜영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연말 미국 5년물 금리는 연 1.6%, 영국 7년물 금리는 연 0.5%로 예상하고 있다"

밝혔다.
하나은행 DLF는 펀드 가입 시점 금리 수준보다 40% 이상 떨어지면 그 하락률 만큼 손실을 보는 구조다.

 예를 들어 금리가 가입 시점 대비 50% 수준으로 떨어졌다면 원금 50% 손실을 본다.

지난 25 첫 만기가 돌아온 10억원 규모의 DLF 손실률은 -46.4%로 확정됐다. 당시 미국과 영국 금리가 각각

 연 1.586%와 연 0.776% 수준이었다.

손실률이 악화되자 중도환매 고객 수가 늘고 있다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 제출받은 'DLF 투자자수, 환매현황'에 따르면 지난 87일 투자자

기준으로 지난 13일까지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DLF 중도환매자수는 각각 94, 194명이었으며 총 환매금액은 890억원을 기록했다.

투자자들은 연말까지 환매 기회를 보고 있지만 환매 시점을 잡기는 쉽지 않다고 토로한다.

 금리가 하반기에도 완만히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도환매수수료는 원금의 7% 수준인데 하루 차이로

 손실률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만큼 환매시 더 큰 손해를 입을 수도 있다


  


dyeop@news1.kr









우리은행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투자 피해자들이 지난 19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우리은행 위례신도시점을 항의 방문해 불완전 판매를 주장하며 원금 회수를 촉구하고 있다. 성남/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우리은행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투자 피해자들이 지난 19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우리은행 위례신도시점을 항의 방문해 불완전 판매를 주장하며 원금

회수를 촉구하고 있다.


성남/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DLS·DLF, 규제 피하려 사모펀드 둔갑시켜 팔았는지 따진다




금감원, 미래에셋방지법위반 조사
사실상 공모펀드 쪼개서 판매 의심
확정 땐 피해배상 비율 높아질수도


 미래에셋 사고 뒤 만든 관련 조항
포괄적이라 적용엔 따져볼 점 많아
금융당국 선례 적어 결정 쉽잖아





최근 100% 원금 손실 사례까지 나오면서 소송전에 돌입한 주요국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S, DLF)이 이른바

미래에셋방지법위반에 해당하는지 금융당국이 들여다보고 있다.

사실상 공모펀드인 해당 상품을 은행이 규제를 피하기 위해 사모펀드로 쪼개서 판매한 게 아닌지 법리 적용을 검토하는 것이다

 

26일 금융당국과 업계 설명을 종합하면, 금감원은 지난달 23일부터 시작한 디엘에프 합동검사에서 판매된 상품들이

공모 회피용 시리즈 펀드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있다.

미래에셋방지법이라고 불리는 자본시장법 1198항 적용 여부를 검토하는 것인데, 해당 조항은 공모상품이 상대적

으로 규제가 엄격하다는 점을 회피하려고 사모로 위장하는 것을 막기 위해 2017년 제정돼 지난해 5월부터 시행됐다.


 미래에셋대우가 2016년 베트남 랜드마크72빌딩을 기초자산으로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면서 15개 특수목적

법인(SPC)을 설립한 뒤, 에스피시당 49명씩 투자를 권유해 사실상 사모의 탈을 쓰고 공모상품을 판매했다는 지적이 일자 법안이 마련됐다. 사모를 발행한 자산운용사는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가 없고 투자자 보호와 관련해서도 공모에

견줘 느슨한 규제를 적용 받는다

 

자본시장법과 시행령상으로 여러 사모상품을 공모로 판단하려면 증권의 발행·매도가 동일한 자금조달 계획에 따른 것인지 발행·매도 시기가 6개월 이내로 서로 근접한지 발행·매도 증권이 같은 종류인지 발행·매도로 발행인 또는 매도인이 수취하는 대가가 같은 종류인지를 종합적으로 보고 2개 이상 발행된 증권을 사실상 같은 증권이라고 볼 수

 있어야 한다.


조문 자체가 애매하고 포괄적이라 여러 해석이 필요한 데다, 독일 국채금리, ·미 이자율스와프(CMS) 금리 등 논란이 된 디엘에프의 기초자산을 미래에셋 사례처럼 고정된 부동산과 동일 선상에서 볼 수 있는지도 따져볼 문제다.


우리은행이 여러 운용사를 통해 판매한 독일 국채금리 디엘에프만 보더라도 모두 19건인데, 기준점이 되는 그때 그때의 금리도 제각각이고 제시한 수익률 구간과 배리어(손실가능 구간)도 조금씩 다르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시행된 법이라 축적된 선례가 많지 않은 상황이라 사실 관계 확인과 법률 자문 등을 거쳐서 결정해야해 쉽지 않다

 말했다.


이와 관련 투자자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한 금융소비자원의 조남희 원장은 이번 디엘에프·디엘에스는 애초에 공모펀드 상품을 사모펀드로 둔갑해 쪼개기로 판매한 것이라며 판매 의도나 방식에서 사기적인 의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모펀드 인정 여부는 투자자들의 배상액에도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다.

사모펀드의 경우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에서 불완전 판매가 인정되더라도 공모펀드에 비해 배상비율이 낮게 적용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이번 디엘에프·디엘에스 합동검사에 대한 중간결과를 금감원 국정감사(108) 전인 101일께 발표할

 예정이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깡통 펀드된 DLF국회서 잠자는 금융소비자 보호법



금융상품 판매에 대해 통합된 규제체계를 구축 및 손해배상 목적


시중은행에서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DLS에 투자한 펀드)의 손실액이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정치권도 대응방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DLF의 경우 수익률이 마이너스 100%에 달해 사실상 원금 전액을 날린 수준이다. 국내에 판매된 독일 국채금리 연계 DLF의 전체 판매 잔액은 1266억원에 달해 각 상품들의 만기가 돌아올수록 손실이 커져가는 상황이다. 


26일 정치권에서는 사실상 깡통펀드가 된 DLF의 상황을 주시하며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안'(이하 금융소비자

보호법)의 추진을 고민하고 있다.

금융소비자 보호법은 지난 2017년 최운열 의원이 대표발의한 뒤 2년째 국회에 계류 중이다. 

법안의 골자는 금융 소비자들에 대한 금융 교육 강화와 투자피해 발생 시 불완전판매 근거를 따져 금융회사에도 손실

책임을 지우는 것이다.

  모든 유형의 금융상품 판매에 대해 통합된 규제체계를 구축하고 손해액 추정 및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등 도입도

 검토한다.

제안이유에 따르면 금융시장 발전으로 인해 파생상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면서 금융소비자와 금융회사간의 정보의 비대칭성은 점점 심화됐다.

이에 따라 금융소비자의 보호가 미흡한 측면이 있어 피해자의 사전사후적인 구제수단을 강화하기 위함에 이 같은

법안이 추진됐다.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주요 내용을 크게 나눠보면 금융상품판매업자 등의 영업행위 준수사항 마련 금융소비자정책

위원회 및 금융교육협의회 설치 금융분쟁의 조정제도 개선 금융상품판매업자 등의 손해배상책임 강화 금융소

비자의 청약 철회권 및 위법 계약 해지권 및 과징금 제도 도입 등이다. 

일각에서는 금융소비자보호법 제정 분위기가 실질적인 제재나 처벌 규정이 없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개인의 투자책임을 판매측에 지우는 것에 관한 금융회사의 반발 움직임도 우려된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금융소비자 보호에 관한 공감대는 형성된 상태이며 이번 DLF사태를 계기로 법안의 제정이 좀 더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다.

정무위 여야 의원들은 우선 10월로 다가온 국정감사에서 DLF를 판매한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의 관련 실무 임원들을 증인으로 부를 예정이다.

의원들은 국감을 통해 사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한 후 11월께 법안심사소위를 열고 금융소비자 보호법 제정을 다룰 것

으로 예상된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파생결합펀드(DLF) 손실로 DLF에 대한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N



하나은행 DLF 대규모 손실에도 파생결합증권 대규모 환매움직임 없어


전체 파생결합증권 7월 현재 117조원

[뉴스투데이=정우필기자] 우리은행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에서 원금 전액을 날린 사례가 처음
으로 나오면서 파생결합상품에 대한 위험성 경고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은 7월말 현재 11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주가와 연계돼 수익률이 결정되는 ELS 발행잔액이 76조원으로 가장 많고 금리와 주가, 신용위험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414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2008년말 대비 905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연평균 19% 가량 늘어난 셈
이다.

파생결합증권은 기초자산의 변동에 따라 수익이 결정되는 구조인데, 이번 DLF 사태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은 각종
 위험이 당장 현실화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파생결합증권의 헷지자산 운용 현황을 살펴보면 국공채 242000억원, 회사채 197000억원 등 채권이 814000
으로 가장 많았다. 통상 레버리지를 수반하지 않는 채권에 대한 투자가 많기 때문에 금융기관의 연쇄적인 자산건전성 악화나 그로 인한 시장혼란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이다.

실제로 시장에서는 아직은 대규모 환매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DLF 사태가 부각된 지난 
7~8월 월평균 중도환매 규모는 2159억원으로 작년 월평균 환매액 2218억원과 비교해도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대규모 원금손실이 현실화된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DLF사태로 인해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이 환매를 한꺼번에 요구할 경우 시장혼란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중도환매 추이와 기초자산 가격 변동성을 등을 고려할 때 아직 파생결합증권 관련 잠재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시장 불확실성에 유의해 잠재리스크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밝혔다.

이런 가운데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6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모험자본 활성화를 위한 자본
시장 간담회에 참석한 후 기자들과 만나 진보를 위해서는 보호장치를 마련함과 동시에 규제완화를 계속해야 한다고 밝혀 주목된다.

앞서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대규모 투자자 손실을 낸 해외금리 연계 파생
결합상품에 대한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철저한 진상규명고 대책마련을 촉구한 바 있어 이에 대한 금융위원장의 반박
으로 해석된다.

 






우리은행 DLF 첫 원금 전액 손실 확정

우리은행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투자 피해자들이 지난 19
 오전 경기도 성남시 우리은행 위례신도시점을 항의 방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b>“DLF 피해 책임져라”</b> 조남희 금융소비자원장(오른쪽)과 법무법인 로고스 전문수 변호사가 25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 판매한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S·DLF) 관련 계약 취소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는 소장을 제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DLF 피해 책임져라 조남희 금융소비자원장(오른쪽)과 법무법인 로고스 전문수

 변호사가 25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 KEB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 판매한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S·DLF) 관련 계약 취소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는

소장을 제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감원, 원금전액 손실 우려 파생결합펀드(DLF) 실태조사...이번주 우리·하나銀 특별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