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

Gershwin, Concerto for Piano and Orchestra in F major K.459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Gershwin, Concerto for Piano & Orchestra in F major

거슈인 피아노 협주곡 F장조

George Gershwin

1898-1937

Marc-André Hamelin. piano

Leonard Slatkin, conductor

Radio Filharmonisch Orkest

Vanuit het Concertgebouw in Amsterdam

2004

 

Marc-André Hamelin/Leonard Slatkin/RFO - Gershwin, Piano Concerto in F major

 

지휘자 월터 담로슈의 재촉으로 뉴욕 필하모닉의 전신인 심포니 소사이어티 오브 뉴욕(Symphony Society of New York)은 거슈인에게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을 작곡해 달라고 청탁을 했다. 1925년 봄에 이루어진 이 위촉은 약 8개월 전 거슈인이 작곡가이자 솔리스트로서 뉴욕 심포니와 담로슈와 협연을 한 뒤 좋은 반응을 얻었기에 이루어진 것이다. 이후 4월 17일 거슈인은 이 작곡 의뢰에 서명을 했는데 이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에 ‘뉴욕 협주곡’이라는 제목을 달아야 한다는 조항과 더불어 1925년 12월 3일과 1926년 1월 16일 사이 솔리스트로 연주회를 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거슈인은 아무런 주저함 없이 이를 받아들였다.

거슈인 피아노 협주곡 위촉자이자 초연자인 월터 담로슈.

1925년 6월 런던에서 돌아온 거슈인은 협주곡을 위한 주제들을 스케치하며 본격적으로 작품에 대해 구상하기 시작했다. 다음 달에는 거슈인은 친구들 앞에서 그 주제들을 연주해 보이며 의견을 구한 뒤 7월부터 전체 작품을 작곡하기 시작했다. 대략 3개월 정도의 작업을 거친 뒤 10월경에 수고본이 완성되었다. 그는 <랩소디 인 블루>에서 했던 것처럼 피아노 한 대는 솔로용으로, 다른 한 대는 오케스트라 파트에 사용하도록 했는데, <랩소디 인 블루> 때와는 달리 작곡가가 직접 오케스트레이션을 했다. 후일 거슈인 학자들은 작품의 오케스트레이션에 대해 입장이 갈리기도 했는데, 특히 거슈인을 오랫동안 보좌했던 빌리 데일리가 주장하는 편성이 힘을 얻기도 했지만 이를 입증할 만한 확실한 증거가 부족했다.

한편 1928년 페르데 그로페의 재즈 밴드 버전 리코딩도 새롭게 조명을 받게 되었다. 1924년에 재즈 밴드 편성의 <랩소디 인 블루>를 오케스트레이션하기도 했던 그로페는 이번에는 반대로 재즈적인 이디엄과 빠른 템포로 거슈인의 교향악 버전보다 훨씬 더 풍부한 색감과 느낌을 부여했다. 이 곡 자체가 재즈와 클래식 음악 양쪽을 오가는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어느 쪽도 옳지 않다고 말할 수 없지만, 어쨌든 <랩소디 인 블루>에서 사용된 재즈 밴드 편성보다는 고전적인 협주곡 양식으로 작곡한 거슈인의 오리지널 버전이 자주 연주되고 있다. 거슈인이 의도한 피아노 협주곡의 오케스트라 구성은 다음과 같다.

피콜로 / 플루트 2대 / 오보에 2대 / 잉글리시 혼 / 클라리넷 2대 / 베이스 클라리넷 / 바순 2대 / 혼 4대 / 트럼펫 3대 / 트롬본 3대 / 튜바 / 팀파니 / 타악기(찰스턴 스틱 포함) / 현악

1925년 11월 말 글로브 극장에서 거슈인의 피아노와 빌리 데일리가 지휘하는 55인조 오케스트라의 협연으로 초연에 앞서 시범적으로 연주를 했다. 당시 참석했던 담로슈는 이런저런 조언을 했고 이를 바탕으로 몇몇 장면들의 삭제와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12월 3일 카네기 홀에서 단순히 ‘피아노 협주곡 F장조’라는 제목으로 초연이 이루어졌고 대성공을 거두었다.

Hélène Grimaud/David Zinman/BSO - Gershwin, Piano Concerto in F major

Hélène Grimaud, piano

David Zinman, conductor

Baltimore Symphony Orchestra

Joseph Meyerhoff Symphony Hall, Baltimore

1997.05.24

거슈인은 세 악장으로 구성된 협주곡에 대해 첫 악장(I. Allegro)은 소나타 양식, 두 번째 악장(II. Adagio - Andante con moto)은 3부 형식, 마지막 악장(III. Allegro agitato)은 론도로 구성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1935년경 조지 거슈인의 모습.

“첫 악장은 찰스턴 리듬을 응용한 것으로서 빠르고 맥동하는 느낌으로 아메리카의 열정적이고 젊은 영혼을 표현하고자 했다. 케틀드럼에 의해 주제적인 리듬이 시작되고 다른 타악기들이 가세하며, 혼과 클라리넷, 비올라(첼로와 트롬본도 가세하여)의 도움으로 찰스턴 모티브가 등장한다. 주요 주제는 바순에 의해 제시되고 이후 두 번째 주제는 피아노에 의해 제시된다. 두 번째 악장은 서정적인 녹턴 풍으로서 아메리카 블루스라고 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루어지는 방식보다 훨씬 더 순수한 형식이다. 마지막 악장은 첫 악장의 스타일로 회귀한다. 떠들썩한 일종의 리듬의 향연으로서 난폭한 도입부로 시작한 뒤 계속 이러한 양상을 견지한다.”

<랩소디 인 블루>만큼 열광적이진 않았지만 이 피아노 협주곡 F장조 또한 서서히 당대에 가장 사랑받는 작품으로 인정을 받아 갔다. 프로코피예프는 이 작품을 너무나 경멸하기도 했지만, 스트라빈스키는 이 작품을 대단히 천재적인 작품이라고 칭송했고, 앨버트 코에츠 같은 영국 지휘자는 오케스트라 작품 역사상 50개 안에 드는 훌륭한 작품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유럽 초연은 1928년 5월 29일 파리의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블라디미르 골슈만의 지휘와 영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디미트리 티옴킨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추천음반

1. 얼 와일드(피아노), 보스턴 팝스 오케스트라, 아서 피들러(지휘). RCA

2. 미셸 카미요(피아노), 바르셀로나 심포니 오케스트라, 에른스트 마르티네츠 이즈퀴에르도(지휘). Telarc

3. 장-이브 티보데(피아노), 볼티모어 심포니 오케스트라, 마린 앨솝(지휘). DECCA

4. 스테파노 볼라니(피아노),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리카르도 샤이(지휘). DECCA

 

박제성(음악 칼럼니스트) 현재 서울문화재단 평가위원. 클래식음악 전문지 <음악동아>, <객석>, <그라모폰 코리아>, <피아노 음악>과 여러 오디오 잡지에 리뷰와 평론을 쓰고 있으며, 공연, 방송, 저널 활동, 음반 리뷰, 음악 강좌 등 클래식음악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베토벤 이후의 교향곡 작곡가들>을 번역했다.

 

  출처 : 네이버캐스트 오늘의 클래식>명곡 명연주 2013.09.06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66&contents_id=35463

 

요즘 트위터 페이스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