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Opera)
음악을 중심으로 한 종합무대예술. 가극(歌劇)으로 번역된다.
그러나 오페라는 단순히 음악극이라는 뜻은 아니다. 음악을 주로 한 극이라면 오페레타나 뮤지컬도 있지만,
그것들을 오페라라고 하지는 않는다. 즉 오페라는 다음의 두 가지 조건을 구비해야만 한다.
첫째, 16세기 말에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음악극의 흐름을 따른 것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 이전에 유럽에 있었던 종교적인 음악극은 오페라가 아니며
또 이 흐름에 속하지 않는 음악극, 예컨대 창극 같은 것도 오페라가 아니다.
둘째, 대체로 그 작품전체가 작곡되어 있어야 한다.
즉 모든 대사가 노래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페레타나 뮤지컬은 이런 점에서
오페라가 아니다.
그러나 간혹 예외가 있어서 징슈필계열에 속하는《마적(魔笛)》《피델리오》
《마탄(魔彈)의 사수(射手)》등과 민속 오페라 계열의《팔려간 신부》등, 그리고 오페라
코미크로서의《카르멘》등은 노래 아닌 대사가 포함되어 있지만 오페라에 포함시키고 있다.
오페라는 원래 라틴어 오푸스(opus:작품)의 복수형이다. 오페라 발생기에는 드라마인
무지카(dramma in musica) 또는 드라마 페르 무지카(dramma per musica)라고 하였다.
이것은 '음악에 의한(을 위한) 극'을 의미하는데 나중에 오페라 인 무지카(opera in musica)가
되고 다시 오페라로 약칭되었다.
오페라는 복잡한 종합무대예술로 음악적인 요소는 물론이요,
문학 또는 시적인 요소(대사), 연극적인 요소(극으로서의 구성 ·연기),
미술적인 요소(무대장치 ·의상), 무용적인 요소 등이 합쳐진 것인 만큼 매력도 큰 데 비하여,
자칫 작품으로서의 통일성을 잃게 되기 쉽다. 특히 음악적인 요소와 극적인 요소를 어떻게
조화시키는가, 또는 어느 편에 중점을 둘 것인가 하는 등의 문제는 지금까지 항상 오페라의
숙제가 되어 왔다.
오페라는 원래 대사에 음악을 붙인 것이며 음악은 독창과 합창 및 관현악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독창은 등장인물이 맡고 성역(聲域)에 따라서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베이스 등으로 나뉜다. 그들은 독창을 하거나 중창을 한다.
전통적인 오페라에서는그 부르는 노래 하나하나가 완결된 독창곡이 많으며 극중의 순서를 따라서 번호가 붙어 있는
(번호 오페라) 것이 많다.
이들 독창자가 부르는 노래는 선율의 아름다움을 주로 한 아리아(唱:영창)와 이야기하는 것처럼
부르는 레치타티보(唱)로 나뉜다.
합창은 오페라 중의 군중역으로 등장한다.
관현악은 성악의 반주를 하고 등장인물의 감정이나 성격 ·행동을 묘사하며무대의 분위기를 묘사하는 등,
여러 가지 구실을 하지만 관현악만으로 연주하는 부분도 적지 않고오페라 전체의 서두에는 서곡이나
전주곡이 붙는 것이 많다.
또 전주곡은 제2막이나 제3막의 처음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
오페라 속에 삽입되는 발레음악도 오케스트라가 연주한다.
리브레토라고 하는 오페라의 대본은 작곡을 위하여 특별히 쓰여진 것으로, 옛날에는 오페라대본을
쓰는 전문가들이 있었다.
보통 운문으로 쓰여지며 막 ·장(場) ·경(景) 등으로 나뉘는데 이는 일반 희곡과 마찬가지이다.
작곡을 위한 대본이 아니고 완성된 희곡에 따라 작곡한 예외적인
작품(R.슈트라우스의 《살로메》)도 있다. 바그너는 대본을 스스로 쓰기도 하였는데 그 이후,
특히 현대에 이르러서는 작곡자가 직접 대본을 쓰는 경우도 많다.
오페라 가수는 목소리의 높이, 종류(리리코 ·드라마티고 등)에 따라서 배역이 결정된다.
오페라의 남녀 주인공은 소프라노와 테너인 경우가 많다.
관현악은 대개 오페라극장에 전속되고 대규모 오페라인 경우는 100명 또는 그 이상의 연주자가 필요하다.
또 일류 오페라극장에는 전속 발레단이 있어 발레만 단독으로 상연할 때도 있다.
오페라를 상연할 때 최고의 지도자는 지휘자로서 가수나 합창단원 그리고 무용수 등은 모두 그의 지휘에 따른다.
합창지휘자는 합창의 훈련을 담당하고, 극적 연출은 연출감독이 담당하며 연기를 비롯하여
중요한 것을 지도한다. 무용이 삽입될 때는 무용지도자가 안무나 무용지도를 한다.
기타 도구 ·의상 ·조명 등 담당자와 프롬프터 등은 일반 연극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오페라 상연에는 대단히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
이탈리아의 오페라는 특히 가창(歌唱)에서 뛰어나 벨 칸토라는 발성법이 발달하였다.
초기 오페라에서는 막간에 익살스러운 내용의 짧은 연극을 삽입하고 인테르메초라고 하였는데
후일 독립하여 오페라 부파가 되었다.
이에 대하여 정통적인 비극적 오페라를 오페라 세리아라고 하여 이 두 가지가 이탈리아
오페라의 전통적 형식이 되었다. 독일에서는 처음에 이탈리아 오페라의 형식을 따랐으나
민속적인 오페라로는 징슈필이 있고 정통적인 오페라의 영역에서는 베버 이후 낭만적 오페라가
전통적 형식이 되었다.
그리고 바그너의 악극에 의하여 전혀 새로운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프랑스에는 일찍부터 독자적인 형식이 확립되어 비극적 오페라의 영역에는 그랜드 오페라가
있고 부파의 계열에는 오페라 코미크가 있으나 이것은 반드시 희극적 내용을 가진다고는
할 수 없고 또 노래가 아닌 대사가 들어 있다
영국에는 희극적 오페라의 영역에 발라드 오페라가있다.
그리고 19세기 후반 이후에는 러시아에도 국민오페라가 출현하여 내용이나 음악에서
독특한 러시아양식을 만들어냈다.
1. 역사
오페라는 르네상스 말기인 1597년에 이탈리아 피렌체의 바르디 백작 저택에서 탄생하였다.
바르디 백작 저택에 모인 사람들은 고대 그리스극의 부활을 목표로 그리스신화에서 취재한
새로운 음악극《다프네》를 만들어서 상연하였다.
이것이 오페라의 효시로서, 독창을 주로 하고 악기 반주가 따르는 단성음악적(單聲音樂的)인 작품이었다.
이 악보는 남아 있지 않으며, 현재 가장 오래 된 오페라는 1600년에 상연된《에우리디케》로서
대체로 앞서의 작품과 같은 사람들(대본 카치너, 작곡 페리, 리누치니)이 제작을 담당하였다.
이 두 작품이 성공을 거두자 비슷한 작품들이 잇달아 발표되면서 피렌체로부터 이탈리아 전역에
보급되어 오늘날 오페라의 기원이 되었다. 다음에 오페라는 베네치아에 보급되어 번창하였으며
베네치아악파(樂派)의 작곡가 몬테베르디는 오페라의 극적 성격을 높였다.
이 도시에는 1637년에 최초의 오페라극장이 개관되고 17세기 말에는 그 수가 약 15개소에 달하였다.
18세기 들어서 오페라는 나폴리에서 성행했으며 스카를라티나 페르골레시 같은 뛰어난 작곡가가
나타났다.
그러나 오페라는 벨 칸토 창법이 발달하여 그 후 점차 명가수의 기교(技巧)에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으로 기울어져 갔다.
오페라는 17세기 후기부터 유럽 각국으로 옮겨가 프랑스에서는 륄리, 라모 등이 오페라의 프랑스양식을 확립하였다.
영국에서는 퍼셀이 오페라를 작곡하고, 독일에서는 슈츠가 작곡을 시도했으나
일반적으로 이탈리아 오페라의 지배를 받았다.
그러나 글루크는 빈에서《오르페오와 에우리디케》(1762) 이후의 작품을 가지고 극과 음악의
통일이라는 점에서 오페라의 대개혁을 이룩하였다. 또 모차르트는 이탈리아오페라의
테두리 안에서 독일음악의 특색이 풍부한 명작《피가로의 결혼》《돈 조반니》《마적(魔笛)》
등을 작곡하였고, 베토벤의 작품으로는《피델리오》가 있다.
19세기에 이르자 오페라에도 민족적인 색채가 짙어졌다. 베버의《마탄의 사수》(1821)에 의하여
독일 낭만파의 오페라가 시작된다. 이탈리아에서는 로시니, 도니체티, 벨리니의 3대 거성이
현대로 이어지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양식을 완성하였다. 프랑스에서는 그랜드 오페라 양식이
성하여 마이어베어가 활약하였으며 오페라 코미크도 출현하였다.
19세기 중반에는 두 사람의 대작곡가가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나타나 오페라를 독특한 무대예술로 향상시켰다.
바그너는 종래와 같은 번호 오페라의 양식을 배제하고 종합예술작품으로서의 악극을 대성하였다.
대표작은《방황하는 네덜란드인》《트리스탄과 이졸데》《니벨룽겐의 가락지》《파르치발》등이다.
이탈리아에서는 베르디가《리골레토》《라 트라비아타》《아이다》《오셀로》등 많은 걸작을 남겼다.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는 구노와 토마가 우아한 오페라를 남겼으며 비제는
청신한 극적 음악을 작곡하였다. 19세기 중반부터 러시아에도 뛰어난 오페라가 나타났는데
글린카, 차이코프스키, 무소르크스키, 보로딘, 림스키코르사코프 등이 유명하다.
바그너와 베르디의 영향은 다음 시대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또 19세기 말의 이탈리아에는
베리스모(현실파)의 경향이 나타나서 마스카니, 레온카발로, 푸치니 등이 그 대표적인 작품을
작곡하였으며 독일에서는 R.슈트라우스가 바그너의 이상을 추구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는 프랑스에 드뷔시, 라벨, 뒤카가 있고 독일에서는 베르크의《보체크》와
힌데미트가 유명하다.
러시아에는 프로코피예프, 쇼스타코비치 등이 있고 미국에 있는
스트라빈스키도 오페라를 작곡하였다. 영국에서는 브리튼의《피터 그라임즈》가 주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거슈윈 이래 많은 오페라가 제작되고 있다.
한국에서 오페라가 처음 공연된 것은 1940년 조선오페라단에 의한《흥부와 놀부》가 효시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연주회 형식의 공연이었으며, 본격적인 오페라 운동이 시작된 것은 48년 1월 국제오페라사가
주최한《라 트라비아타》공연부터이다.
50년대 이후에는 창작 오페라가 등장했는데, 50년 초연된 현제명의《대춘향전》이 최초의 창작오페라이다.
이후 김대현의《콩쥐 팥쥐》, 김달성의《자명고》, 홍연택의《논개》, 장일남의《원효대사》등
많은 창작오페라가 발표되었다. 또한 서울오페라단 ·한국오페라단 ·푸리마오페라단 ·고려오페라단
·대한오페라단 ·김자경오페라단 등 많은 오페라단이 생겨나면서 오페라운동은 활기를 띠었다.
특히 62년 창단된 국립오페라단은 정부의 지원을 받아 장일남의《왕자 호동》을 시작으로
베르디의《가면무도회》, 도니체티의《루치아》, 푸치니의《라보엠》과《아이다》,
공석준의《결혼》, 이영조의《처용》등을 공연하였다.
◈ 오페라의 종류
○ 오페라 세리아(opera seria ; 正歌劇)
그리스신화나 고대의 영웅담을 제재로 한 엄숙하고 비극적인 이탈리아 오페라.
오페라 부파(희가극의 하나)에 상대되는 말로 정가극(正歌劇)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오페라세리아에서는 레치타티보와 아리아를 특히 중시하고 중창이나 합창을 그다지 쓰지 않는다.
그리고 18세기 나폴리파 오페라에서 발전하여 고전파에서 쇠퇴하였다.
반주는 현악합주에 의한 간단한 오케스트라가 맡고, 음악은 독창자의 기교를 극도로 중시했기 때문에
극적인 박력이 부족하였다.
헨델은 40곡 이상의 오페라를 남겨 이탈리아 오페라세리아의 최고봉으로 불리고 있다.
또 오페라세리아에서는 여주인공역을 맡는 남성가수로서 카스트라토(去勢男性歌手)가
16∼19세기에 걸쳐 성행하여 인기가 있었다.
○ 그랜드 오페라(grand opera)
화려하고 대규모적인 오페라.
영어로는 명확한 개념이 없고 오직 화려하고 규모가 큰 오페라를 말하는 데 불과하다.
프랑스어의 그랑토페라(grand opra)는 비극적인 내용으로 화려한 무대가 전개되는 오페라를
말한다. 19세기 프랑스에 출현하였는데 합창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발레가 많이 포함되며,
보통 5막(때로는 장면이 더 나누어짐)으로 구성된다. 말하는 대사가 없이 전부가 작곡되어 있으며,
오페라 코믹(opra comique)과 대립된다. 파리의 오페라극단을 '그랜드 오페라'라고 부르기도 한다.
○ 오페라 부파(opera buffa)
18세기에 발생한 희극적 오페라. 곧 오페라세리아(正歌劇)의 상대적 호칭으로서
이탈리아어로 쓰여진 가벼운 내용의 희극적인 오페라를 가리킨다.
초기의 베네치아 오페라에서는 막간에 익살스러운 내용의 짧은 연극을 넣고 인테르메초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인기를 얻어 그뒤 나폴리시대에는 독립된 오페라가 되어 오페라부파로 불렸다.
제재(題材)는 서민적인 일상생활의 유머를 다루고, 음악은 현악합주의 오케스트라가
반주하는 독창 ·중창을 중심으로 한 명랑한 내용으로 되었다.
서창(唱)부분에서는 쳄발로 등의 건반악기가 반주를 맡는 것이 특징이다.
페르골레시의《마님이 된 하녀》(1733)는 본래 그의 오페라세리아의 막간극으로 작곡, 상연한 것인데 오히려 이것이
더 유명해져 오페라부파의 가장 오래 된 걸작으로 꼽히며,
이후 로시니가《세비야의 이발사》(1812)에 의해 오페라부파의 마지막 대작곡가로 인정받고 있다.
모차르트의《피가로의 결혼》이나《돈 조반니》는 내용적으로 반드시 가벼운 것은 아니나
양식상으로는 오페라부파에 속한다.
○ 오페라 부프(Opera Buffe)
프랑스의 희가극으로 어원적으로는 오페라 부파와 비슷한 점이 있으나 양자에 사이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오페레타와 비슷한 가벼운 음악희극으로 대화의 부분에 가사를 사용한다.
○ 오페라코미크(Opera comique)
프랑스의 희극적 오페라. '익살스러운 오페라'란 뜻이지만 프랑스에서는 희가극의 총칭인
영어의 코믹 오페라와는 다른 특수한 의미를 지녔다. 즉 반드시 희극적 내용이 아니더라도
대화로 이루어지는 대사가 있는 오페라는 오페라코미크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비제의《카르멘》은 비극적 내용이지만 그 원보(原譜)는 연극적 대사가 있어
원래 이 장르에 포함되는 작품이다. 오페라코미크의 원류(源流)는 13세기 후반 트루베르(북프랑스의 음유시인)
아당 드 라 알의 연극적 대사와 음악으로 된 목가극, 17세기부터 들어온 이탈리아의 오페라부파의
자극을 받고 일어난 오페라 부프(bouffe)라는 희가극, 18세기 초 대화와 노래로 된 보드빌이란 희극 등으로 생각된다.
○ 오페레타(operetta)
소형의 오페라. 희가극(喜歌劇) 또는 경가극(輕歌劇) 등으로 번역된다.
오페레타의 내용은 희극적이지만 희극적인 오페라를 모두 오페레타라고 하지는 않는다.
즉 오페라 부파도 희극적인 내용으로 되었지만 오페레타는 아니다.
또 오페레타는 일반 연극과 같은 대사가 있고 무용이 많이 들어 있으나 그것만으로 오페레타로 정의를 내릴 수는 없다.
말로 표현하는 대사는 오페라코미크나 독일의 민중 가극 징슈필에도 있고 무용적 요소는
그랜드 오페라에도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오페레타의 개념은 역사적으로 규정된다.
그것은 첫째 파리에서 오펜바흐가 시작한 희가극의 계통을 잇는 프랑스의 오페레타로,
이 유대계 작곡가가 1855년에 소극장 ‘부프 파리지앵’을 개관하였을 때를 기점으로 하여
1858년《천국과 지옥》이 성공을 거둔 후 많은 작품이 나왔다.
둘째 계열은 빈 오페레타로서 1860년 오펜바흐가 이 도시를 방문하여 그의 작품을 상연하면서 성행되었으며 뒤이어
프란츠 주페, 요한 슈트라우스, 칼 밀뢰커 등의 대가들이 나타났고 다시 프란츠 레하르에 이르러
헝가리적 요소가 가미되었다. 빈 오페레타의 특징은 아름다운 왈츠가 많이 들어 있는 점이다.
셋째의 흐름은 영국으로서, 1870년대에 오펜바흐의 작품이 유행하면서부터 길버트와 설리번이
만들어낸《미카도》등의 오페레타이다. 이 밖에 미국에서는 빈이나 파리의 오페레타를
소개한 뒤 이윽고 독자적인 오페레타를 만들어내게 되었다.
《알칸타라의 의사》를 작곡한 아이히베르크에 의하여 미국 오페레타의 역사는 시작되는데,
어빙 벌린, 제롬 칸 등의 뮤지컬 플레이가 이 범주에 속한다.
또 빈 오페레타에 자극되어 독일에서도 퀴네케 등의 오페레타 작곡가가 나타났다.
* 징슈필(Singspiel)
독일어로 '노래의 연극'이라는 뜻.
18세기 후반 이후 독일에서 성행한 민속적인 연극 형태로서, 이름 그대로 노래가 풍부하게
삽입되어 있다. 독일어로 쓰여졌고, 가사와 대사로 되었으며, 희극적 내용을 지닌 것이 특색이다.
16세기경부터 북독일의 민간에 보급되기 시작하여 18세기 중엽에는 영국의 발라드오페라나
프랑스의 오페레타의 영향에 의해 독일의 독특한 경음악극(輕音樂劇)으로서 대단한 인기를 얻고
부흥하여 많은 작곡가가 이를 작곡하기에 이르렀다.
처음에는 독일희가극이라고 하였으나 후에 징슈필로 불리게 되었다.
그 시조로 간주되고 있는 것은 J.힐러의 작품들이다.
한편 빈에서도 징슈필은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어 1778년부터는 궁정극장(宮廷劇場)에서도
상연되고, 모차르트는《후궁으로부터의 도주》와 같은 뛰어난 징슈필을 작곡했다.
모차르트의《극장지배인》이나《마적(魔笛)》도 근본적으로는 징슈필의 형식으로 작곡된 것이다.
그러나 징슈필은 19세기 후반에는 오페레타가 융성하게 되어 거의 쇠퇴해 버렸으나,
19세기의 독일가극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Lucia Popp, soprano
출처 : http://cafe.daum.net/sfpiano
'오페라, Musi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rdi/ Otello 전곡 감상 (0) | 2014.09.23 |
---|---|
Verdi / 오페라, 라트라비아타(春姬) (0) | 2014.09.23 |
Mozart/ 오페라 '차이데' Opera 'Zaide', K.344 (0) | 2014.09.21 |
Mendelssohn 의 오라토리오 '엘리야(Elijah)' (0) | 2014.08.19 |
PUCCINI - O MIO BABBINO CARO (ANNA NETREBKO) (0) | 201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