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

Faure- Pavane Op. 50 - Walter Hilgers tuba Sebastian Knauer piano

                                                                                                         
 
 
 
 
 
 
Gabriel Faure                                                                                                            
 
 Pavane Op. 50                                                                          
 
Walter Hilgers tuba                                                                                                                        

 Sebastian Knauer piano                                                                                                               
 
                                                       

 

 

 

 

 

 

파반느는 16세기 초 스페인의 느릿한 2박자의 궁정무곡인데

공작새(pavo)를흉내 낸 기품있는 자태의 춤에 그 어원을 두고있다.

 

1886년 쥘레당베의 일련의 연주회를 위해 작곡한 관현악 소품으로
   포레는 이듬해 그레퓌렉 백작부인의 요청으로 곡의 후반부에 합창을  첨가시켰다. 

로코코 시대의 우아한 파반느 무곡 양식이 바탕이 된

안단테몰토 모데라토의 이 작품은 3부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주제는 작곡가의 전 작품 중 첫 손가락에 꼽힐 정도로 서정미가 넘친다.

극적인 중간부를 포함 포레다운 정교하고 날렵한 세련미로 인해

 널리 사랑받는 소품이다.

 

느릿한 2박자의 무곡.

어원은 이탈리아의 도시 파도바(옛 이름 Pava)에 있으며, 파반은 <파도바풍 무곡>이라는 뜻이다.

 에스파냐어로 파보(pavo)라고 하는 공작의 우아한 동작을 흉내낸 곡으로 위엄있는 모양으로

천천히 춘다.

 1508년 류트곡으로 처음 나타나 20년대부터 유럽에 널리 퍼졌다. 느린 2박자이며 종종 빠른

3박자의 가야르드가 이어진다.

 

50년 이후 파반과 가야르드는 파사메초와 살타렐로로 바뀌었으나, 영국의 버지널악파는 여전히

작곡을 계속하여 예술적으로 완성시켰다.

1600년 이후 파반은 파두아나라는 이름으로 독일 초기의 모음곡 중 양식화되어 느린 반주형의

 곡이 되었다. 근대에는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의 M.J. 라벨과 R. 본 윌리엄스 등이 명곡을 남겼다.

 

 

 

 

 

 

 

포레 (Gabriel-Urbain Faure 1845∼1924)                                           

 

어려서부터 음악재능을 인정받아 9세 때 파리 니데르메이에르 음악학교에 입학한 포레는 여기서

중세 르네상스 종교음악과 J.S.바흐. F.J.하이든의 작품을 공부하고, 생상의 제자가 되어

 베를리오즈, 리스트, 바그너 등의 음악을 배웠다.

 

재학 중이던 1863년 첫 작품인 피아노를 위한 《3개의 무언가》를 발표하였으며, 졸업 후 파리

마들렌교회의 오르가니스트, 파리음악원 작곡법 교수로 활동하였다.

1870~71년 프랑스, 프로이센전쟁에 종군한 뒤 1871년 당시 창립된 프랑스 국민음악협회에

참가하였다.

1905년부터 청력상실과 건강쇠약으로 퇴직할 때까지파리음악원 원장을 지냈으며, 1909년 아카데미회원이 되었다.

 라벨, G.에네스코 등을 가르쳤으며 퇴직 후에도 창작활동을 계속 하였다.

 

 근대 프랑스 서정파의 거장이며 나아가서는 근대 프랑스 음악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그는

 어려서부터 음악적인 천품이 나타났다.

우아한 기품을 지닌 그는 고전의 전통적인 형식과 거기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 넣었다.

그의 기교는 최고의 프랑스 음악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자유롭고 신선한 음의 취급과 섬세한 시적

감정에 차있다고 하겠다.

세련되고 심오하며 감수성 넘치는 작풍으로 성악, 피아노곡, 실내악곡, 관현악곡 등 거의 모든

 장르를 포괄하였는데, 전통적인 음악형식을 바탕으로 대담하고 창의적인 표현양식을 더하였다.

드뷔시, 라벨로 이어지는 근대프랑스음악 발전에 커다란 역할을 한 대표적 음악가였다.

 

그의 내성적인 기질은 실내악, 피아노, 그리고 특히 오페라를 그의 예술의 기본 바탕으로 하였는데 오페라는 프랑스 말과 떠날 수 없으리만큼 되어 있다.

그는 전통을 존중하였으며 그의 주의 깊은대담성은 드뷔시처럼 혁명적은 아니라 해도, 초기의 로맨티시즘을 제외하고는 그 수법을 순화하고 스타일을 세련시킨 그의 독창성과 노력은 놀랄 만하다.

 

낭만파의 시대로부터 근대의 길을 개척한 중요한 인물이며, 근대 프람스 음악계의 대 작곡가이며

 교육가인 포레가 차지한 비중은 크다고 하겠다.

 

 그는 드뷔시보다 20년 먼저 나서 근대 프람스 음악의 기초를 세운 선구자라 할 수 있다.

그의 세련된 미는 순수한 프랑스 향취를 발하고 있으며 대담하고 화성적인 감각에는 지금까지

맛볼 수 없던 새로운 세계를 그렸다.

 

그는 저명한 오르가니스트였으며 교육자로서 마스네의 뒤를 이어 파리 음악원의 교수가 되었다.

그의 문하생에는 라벨, 에네스코, 슈미트, 블랑제 등 저명한 작곡가들이 있다.

 그를 가리켜 대기 만성의 작곡가라고 한다. 걸작으로 알려진 실내악 작품들은 70세 이후의 소산이라 한다.

 

대표작품으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자장가》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발라드》 관현악

 모음곡 《마스크와 베르가마스크》 오페라 《프로메테우스》 《페넬로페》 오페라 《꿈꾼 뒤에》 《이스파한의 장미》와 100곡이 넘는 작품이 있으며 성악곡《진혼곡》과 야상곡, 즉흥곡 등 다양한 작품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의 실내악과 오페라은 브람스 이후 그만한 공적을 남긴 작곡가가

드물다.

그는 독자적인 선율과 화성적인 감각으로 자신의 개성적인 스타일에 알맞은 작품을 써 낸

작곡가라고 하겠다.  

<내용출처 : 네이버 지식iN >

 

 

 

 

 

 

 

 

 

 

 

 

 

 

 

요즘 트위터 페이스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