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

Brahms / Piano Concerto No.1 in D major, Op.15

 
Piano Concerto No.1 in D major, Op.15
 
브람스 / 피아노협주곡 1번                
Johannes Brahms 1833 - 1897
                                George Szell, Conductor / Celveland Orchestra
 
 
 
제1악장 (Maestoso) d단조 6/4박자. 협주풍 소나타 형식              
반음계의 인상적인 음형으로 시작되는데,                               
마치 심장을 두드리는 것 같으며, 폭발할것만 같은                  
강한 위력의 서주의 길이가 엄청나다.                                    

 

당시의 시대적 감각으로는 진부하리만큼 서주부가 길다.       
              그러나 극적인 요소가 강하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게 음악에 빨려든다.
  서주의 종결 후에 등장하는 피아노는 거장적 풍모가 아니고    
 오케스트라의 한 부분처럼 움직인다.     그것이 감동을 준다.  
 
                            
1악장(Maestoso)                                                              
Leon Fleisher, Piano                                           
     George Szell, Cond / Celveland Orchestra           
제 2악장 (Adagio) D장조 6/4박자. 3부 형식                      
"나는 당신의 초상화를 그렸습니다" 라고                                 
 브람스가 클라라 슈만에게 고백한 간접적인 사랑의 고백이다
. 또한 "주의 이름으로 인하여 오는 자에게                                
    축복 있으라(Benedictus qui venit in nomine Domini)"라는
              기도문을 써넣었다가 나중에 지워버렸다고 전해지는 악장이기도 하다.
 그런 때문인지 종교적 경건히 깃든 악곡이다.                          

 

              
특히, 피아노의 명상 어린 표정이 깊은 인상을 남긴다.          
그런가하면 파곳과 클라리넷의 아름다운                              
 칸틸레나가 돋보이는 악장이다.                                     

 

 

                        
                                
2악장(Adagio)                                                          
Leon Fleisher, Piano                                               
George Szell, Cond / Celveland Orchestra          
제3악장 (Rondo,Allegro non troppo) d단조 2/4박자. 론도 형식  
클라라에게 바치는 간절한 연가(戀歌) 일까?                                     
청년 브람스의 분출하는 정열이 등장하는 제 3악장 론도에서     
 비로소 피아노는 독주 악기로서의 주장을 한다.                              

 

               
독주자의 영역이 확보되고 있는 음악인 셈이다.                            
 카덴자가 두 번이나 허락되는 것도 이해될 만 하다.                     
전반적으로 이 협주곡은 베토벤의                                           
                   영향(특히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제 3번)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1850년대 중반기의 로맨티시즘의                        
흔적을 엿보게 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첫 번째 피아노 협주곡의 초연과 재연에서 실패를 경험한 직후 
         브람스는 "두 번째의 작품은 전혀 다른 소리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특히, 라이프찌히의 청중들이 그의 작품에 대해 거부반응을 보인 것에
 심한 상처를 받은 브람스는 제 2번에 대한                              
 새로운 각오를 다짐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20여년이 지나도                                                        
  그의 두 번째 피아노 협주곡은 쓰여지지 않았다.                       
 
                                  
3악장(Rondo,Allegro non troppo)                                       

 

 

Leon Fleisher, Piano                                                             

 


George Szell, Cond / Celveland Orchestra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1번 Op.15 작품배경과 해설                  
브람스가 그의 최초의 피아노 협주곡 작곡에                            
 집중한 시기는 1856년부터 2년간이었다.                                  
       그러나, 이 협주곡의 시원(始原)은 1854년 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2월은 브람스의 스승인 슈만이 정신착란을 일으켜            
 라인강에 투신하는 비극적 사건이 있은 직후였다.                       
     이 무렵 그는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를 완성해 놓고 있었다.
 
                                       그러나, 작품의 발표를 미루고 있다가 그해 여름에  제 1악장을 관현악곡으로 편곡하였다.
    이때의 의도는 교향곡 제 1번으로 고쳐 쓰고자 했던 것이다.         
                 허지만 이 역시 마음에 들지 않았다. 계획을 수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1855년 2월 7일 밤, 브람스는 클라라 슈만에게 편지를 썼다.      
        "나의 불행한 교향곡은 피아노 협주곡으로 사용 됐습니다".                    
   결과적으로 그의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중에서                
 피아노 협주곡으로 채택된 악장은 제1악장 뿐 이었다.                
 제 2악장과 3악장은 전혀 새로운 것으로 만들어 졌다.                 
                   이렇게 해서 1856년이 거의 저물어갈 무렵에 제 2악장 아다지오(Adagio)와
 제 3악장 론도(Rondo)가 완성되었다.초연은 1859년 1월 22일,
                                     하노바에서 브람스의 피아노 독주와 요아힘의 지휘로 행해졌으나  이때의 연주는 '실패'로

 

기록되고 있다.                                                                            
               재연은 닷새 후, 당시 음악의 중심지였던 라이프찌히(Leipzig)에서 열렸다.
 브람스는 그의 친구 요아힘(Joachim)에게 이렇게 설명했다         
                              "연주는 빛났지, 그러나 결정적인 실패였소". 작품의 탄생 배경에서도 눈치챌 수 있듯이
                      이 작품의 생 동기가 교향곡에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피아노 협주곡에 비하면
 교향악적인 비중이 대단히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이 작품을 일러서 '피아노 있는 교향곡'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러한 표현은 칼 그레드너와 한스리크가 사용했다).                     
          물론, 여기에서도 피아노는 독주 악기로서의 위상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그러나 여타의 협주곡처럼 피아노가 오케스트라를 압도하는 모습이 아니고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인 특성보다도 우리가 더 관심을 가질 부분은      
 이 협주곡이 브람스의 청년기의 작품이라는 사실이다. 말하자면     
 그의 '질풍노도의 시대'에 쓰여진 작품이라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협주곡에서 그의 다른 작품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강렬한 빛깔의 정열을 만나게 된다는 사실이다.                              

 

              
                          레온 플라이셔(Leon Fleisher 1928~ )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난 플라이셔는
 10세 때 아르투르 슈나벨에게 인정되어 1938년부터                      
 1939년에 걸쳐 이탈리아 코모 호반에 있던 슈나벨 집안에 들어가   
              친히 가르침을 받았으며 1942년에 피에르 몽퇴 지휘 샌프란시스코 교향악단
의 뉴욕 공연에 솔리스트로서 참가하였다.                                       
1944년에 몽퇴 지휘 뉴욕 필하모닉의 연주회에 데뷔                      
          1952년 브뤼셀의 퀸 엘리자베트 국제 콩쿠르에서 처음으로                      
               피아노 부문이 실시되었는데 여기서 그는 제 1위로 우승, 1960년대 전반까지
   조지 셀 지휘 클리블랜드 관현악단과 함께 많은 레코딩을 하였고,       
               1963년에는 레온 키르히너의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의 초연을 담당하였다.    
 
  1965년 그의 오른손이 질환 때문에 쓸 수 없게 되자                         
라벨과 프란츠 슈미트 등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오른 팔을 잃어버린 피아니스트 비트겐슈타인을 위해 썼던                             
        왼손을 위한 작품을 레퍼토리로 삼게 된다.                                            

 

                                       
             1968년에 워싱턴의 시어터 쳄버 플레이어즈의 지휘자로서                        
                               지휘 활동을 시작, 메릴랜드 주의 애너폴리스 교향악단의 지휘자를 거쳐                       
      1976년부턴 볼티모어 교향악단의 보조 지휘자로 취임,                       
1959년 이래 피바디 음악원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레코드는 셀과 협연한 그리그, 슈만, 베토벤의 협주곡(모두 CBS)이 있다.                      
 
글출처: 웹사이트                                                                          

요즘 트위터 페이스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