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

Berlioz, Roméo et Juliette

Berlioz, Roméo et Juliette

베를리오즈 ‘로미오와 줄리엣’

Hector Berlioz

1803-1869

Géraldine Chauvet, soprano

Andrew Staples, tenor

Thomas Oliemans, bass

Groot Omroepkoor

Radio Filharmonisch Orkest

James Gaffigan, conductor

Vredenburg Leidsche Rijn Utrecht, Netherlands

2012.03.23

 

James Gaffigan/RFO - Berlioz, Roméo et Juliette Op.17

 

셰익스피어의 명작 <로미오와 줄리엣>에 기초한 음악작품으로는 구노의 오페라, 프로코피예프의 발레음악, 차이콥스키의 환상 서곡 등이 대표적이다. 그들에 비하면 베를리오즈의 교향곡 <로미오와 줄리엣>은 다소 ‘마이너’한 작품이라고 해야 할 텐데, 그 제목은 어느 정도 알려져 있을지라도 정작 제대로 들어본 사람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심히 부당한 일이다.

작곡자 자신이 ‘극적 교향곡’(symphonie dramatique)으로 명명한 이 이례적인 작품은 <로미오와 줄리엣>을 다룬 음악작품들 가운데 가장 독창적이고 완성도 높은 것이다. 외형적으로는 고전 교향곡의 틀을 차용하되 그것을 발전적으로 변용하고 독창과 합창까지 활용하여 오페라와 멜로드라마의 중간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원작의 스토리를 순차적으로 따르는 듯하면서도 보다 자유로운 환상을 쫓고 있다.

자신을 '베토벤의 계승자'라 추켜세운 후원자 파가니니에게 헌정

이 ‘극적 교향곡’이 작곡된 것은 1839년이지만, 그 기원은 182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9월 파리의 오데옹 극장에서 영국 셰익스피어 극단의 공연이 열렸는데, 그것은 베를리오즈에게 불시에 떨어진 청천벽력이었다. 셰익스피어의 연극은 그에게 예술의 하늘을 열어젖히면서 그 가장 깊은 곳을 비춰주었고, 그는 비로소 연극의 진정한 위대함과 아름다움과 진실을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 당시 그가 <햄릿>의 오필리어와 <로미오와 줄리엣>의 줄리엣으로 분한 여배우 해리엇 스미드슨에 대한 열정을 불태웠고, 그것이 그의 대표작 <환상 교향곡>의 작곡 동기가 되었다는 사실은 너무도 잘 알려져 있다. 아울러 그는 10년 내에 <로미오와 줄리엣>을 바탕으로 대작 교향곡을 쓰겠다는 구상도 품었다. 실제로 그는 작가인 에밀 데샹과 상의하여 대본까지 준비했지만, 이런저런 사정들로 인해 작곡은 무한정 연기되고 말았다. <햄릿>의 오필리어 역을 맡은 해리엇 스미드슨을 그린 그림.

그 후 그는 <환상 교향곡>을 먼저 완성했고, 로마 대상의 수상자로서 이탈리아 유학을 다녀왔으며, 파가니니의 의뢰로 두 번째 교향곡 <이탈리아의 해럴드>도 썼다. 그리고 그 모든 경험들, 특히 로마 대상을 위해서 쓴 칸타타, 이탈리아에서 접한 벨리니의 오페라 <카풀레티 가와 몬태키 가> 등이 교향곡 <로미오와 줄리엣>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작품의 완성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사람은 다름 아닌 ‘바이올린의 명수’ 니콜로 파가니니였다. 파가니니는 1838년 12월에 <이탈리아의 해럴드>를 듣고 감동한 나머지 베를리오즈를 ‘베토벤의 계승자’로 추켜세웠고, 나아가 그에게 2만 프랑의 후원금까지 보내주었던 것이다. 존경하는 선배의 호의로 경제적 곤궁에서 탈출한 베를리오즈는 마침내 오랫동안 별러왔던 <로미오와 줄리엣>에 착수할 수 있었고, 단 9개월 만에 작품을 완성시켰다. 완성된 작품은 당연히 파가니니에게 헌정되었지만, 안타깝게도 파가니니는 작품의 총보도 받아보지 못한 채 1840년 5월에 저세상으로 떠나고 말았다.

이례적이고 독창적인 ‘극적 교향곡’

이 작품은 베를리오즈가 <환상 교향곡>, <이탈리아의 해럴드>에 이어 완성한 그의 세 번째 교향곡이다. 그런데 과연 이 작품을 ‘교향곡’이라고 불러도 되는 것일까? 물론 작곡자는 ‘셰익스피어의 비극에 따른 극적 교향곡’이라고 불렀지만, 고전적인 견지에서 보자면 이 작품은 거의 교향곡이 아니다. 수법 면에서 보자면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에 빚을 지고 있음이 분명하지만, 그보다 한결 자유롭게 확장되어 있고 드라마적 속성도 더 강하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영화, 발레, 오페라 등 다양한 형태로 리메이크되었다. 올리비아 하세와 레너드 위팅이 주연한 영화의 유명한 발코니 장면.

일단 전체 4부로 나뉜 구성은 교향곡과 유사하지만, 각 부는 다시 몇 개의 하위 부분으로 나뉘어 있고, 그 각 부분마다 표제가 붙어 있다. 또 오케스트라에 더하여 독창자 세 명과 합창단이 동원되어 레치타티보와 아리아, 순수 관현악곡을 넘나드는 자유로운 형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오페라나 오라토리오라고 부르자면 또 어색하다. 독창자들 중에서 테너가 머큐시오를, 베이스가 로렌스 수사를 맡고 있지만, 두 주인공인 로미오와 줄리엣에게는 독창이 주어지지 않는다. 알토는 두 젊은이의 이미지를 아우르는 시를 노래할 따름이고, 그들이 겪는 사랑의 감정과 여정은 더욱 세밀하고 풍요로운 관현악을 통해서 표현된다. 따라서 이 작품은 ‘극적 교향곡’ 이외의 개념으로 규정하기가 불가능한 이례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이라 하겠다.

이제부터 작품을 따라가며 내용을 살펴볼 텐데, 한 가지 유념할 부분이 있다. 베를리오즈가 사용한 대본은 프랑스어 번역본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런데 당시에 통용되던 번역본은 셰익스피어의 원작이 아니라 18세기에 영국 배우 데이비드 개릭이 각색한 판본에 의존하고 있었다. 따라서 원작과는 다른 부분들이 있는데, 일례로 로미오가 죽기 전에 줄리엣이 깨어나는 부분이 대표적이다. 베를리오즈는 현명하게도 그런 한계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고, 그래서 작품을 보다 자유로운 형태로 재구성했던 듯하다.

Sir Colin Davis/LSO - Berlioz, Roméo et Juliette Op.17

Patricia Kern, alto

Robert Tear, tenor

John Shirley-Quirk, bass

John Alldis Choir

London Symphony Orchestra

Sir Colin Davis, conductor

Phillips, 1968

제1부

1. 서주(싸움 – 소란 - 공작의 중재) : 알레그로 푸가토

B단조, 2/2박자. 서주는 원작의 제1막 제1장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즉, 베로나의 오랜 앙숙인 캐풀렛 가문과 몬터규 가문의 대립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으로서, 하인들의 싸움에서 시작되어 급기야 양가 주인들의 칼싸움으로 번지는 모습, 그리고 그 자리에 베로나 공작이 나타나 소란을 잠재우고 두 집안사람들을 꾸짖는 모습이 그려진다. 두 집안의 분쟁은 격렬한 푸가토(fugato)로 전개되고, 공작의 호령과 질책은 트롬본과 튜바의 준엄한 울림으로 표현된다. 영국 화가 프랑크 딕시의 <로미오와 줄리엣>, 1884년

2. 프롤로그 : 모데라토

4/4박자. 제1부의 나머지 부분은 마치 작품 전체의 내용을 요약해서 들려주는 듯하다. 먼저 프롤로그에서는 알토 독창과 알토, 테너, 베이스로 구성된 소규모 합창이 두 가문의 오랜 대립과 분쟁, 그리고 금지된 사랑에 빠진 로미오와 줄리엣의 가련한 운명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이 합창의 전반부는 간간이 하프 반주를 수반하기도 하지만 거의 무반주로 진행된다. 중간에 무도회를 암시하는 경쾌한 음악이 잠시 나온 다음 후반부로 넘어가면, 합창은 두 연인의 애틋한 사랑을 노래하고 이어서 유명한 ‘발코니 장면’으로 인도한다.

3. 스트로프 : 안단테 아베크 소나티네

G장조, 6/8박자. 하프의 탄주와 알토 독창으로 진행되는 꿈결 같은 장면으로, 로미오와 줄리엣의 밀회장면을 감미롭게 그리고 있다. 별빛 쏟아지는 정원, 바람결에 실려 오는 오렌지 향기, 어디선가 들려오는 나이팅게일 소리 등 매혹적인 배경 속에서 달콤하면서도 설레는 젊은 남녀의 순수한 사랑이 아름다운 시구에 실려 노래된다. 특히 알토가 쿠플레의 2절을 노래할 때 보조를 맞추는 첼로의 그윽한 음률이 일품이다.

4. 레치타티보와 작은 스케르초 (맙 여왕) : 알레그로 레제로,

F장조, 2/4박자. 줄리엣과의 만남 직후 몽상에 빠진 로미오를 친구들이 놀려대는 장면이다. 특히 원작에서 로미오의 친구 머큐시오가 장난스럽게 읊어대는 ‘꿈의 요정, 맙 여왕 이야기’가 피치카토로 연주되는 첼로와 플루트의 경쾌한 리듬을 타고 테너 독창과 합창으로 익살스럽게 표현된다. 하지만 마지막 부분으로 넘어가면 음악은 안단테, 4/4박자로 바뀌고, 합창이 비극적인 결말, 그리고 양가의 화해를 암시한 후 마무리된다.

제2부

1. 로미오 홀로 (슬픔) : 안단테 말린코니코 에 소스테누토 - 멀리 무도회장에서 들려오는 음악소리 : 알레그로

F장조, 4/4박자 - 2/2박자. 제2부는 로미오가 캐풀렛 저택에서 열린 가면무도회에 참석하는 장면을 그리고 있다. 먼저 서주 부분에 흐르는 제1바이올린의 선율은 사랑의 아픔을 간직한 로미오의 슬픔과 우울을 나타낸다. 그리고 곧이어 제2바이올린의 물결치는 듯한 움직임 위에서 오보에와 클라리넷이 꺼내놓는 선율은 동경에 차 있다. 여기에 제1바이올린과 플루트까지 가세하여 서정미 넘치는 장면이 한동안 이어지는데, 얼마 후 무도회의 리듬이 끼어들며 상황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즉 로미오는 줄리엣을 발견하고 그의 마음에는 동요가 인다. 그런 그의 모습은 라르게토 에스프레시보, C장조, 3/4박자로 연주되는 오보에 선율로 표현되는데, 바로 이것이 ‘로미오의 주제’이다.

2. 캐풀렛 저택의 향연 : 알레그로

F장조, 2/2박자. 마침내 춤곡 리듬이 크게 부각되며 무도회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베를리오즈 특유의 현란한 리듬과 화려한 관현악의 색채가 눈부신 빛을 발하는 장면이다. 떠들썩한 무도회 속에서 젊은 연인들은 서로의 존재를 발견하고 운명적인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캐풀렛 가문의 청년들에게 로미오의 정체가 발각되면서 잠시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되는데, 이 긴박한 장면 역시 푸가토로 표현된다. 마지막에는 다시 처음의 흥겨운 분위기로 돌아가 찬란한 울림 속에서 마무리된다.

제3부

1. 합창 : 알레그로

A장조, 6/박자. 현이 어둡고 적막한 밤, 캐퓰렛 저택의 정원을 묘사한다. 멀리서 들려오는 노랫소리는 무도회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며 지난 시간의 즐거웠던 추억을 회상하는 젊은이들의 음성으로, 테너와 베이스의 4부 합창이 맡는다.

2. 사랑의 장면 : 아다지오

6/8박자. 합창이 저 멀리로 사라지면, 비올라와 2부로 나뉜 첼로가 약음기를 활용하여 은근하고 호젓한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전곡 가운데 가장 아름답고 감동적인 ‘사랑의 장면’이 시작된다. 이윽고 호른과 비올라가 그윽하고 아름다운 선율을 꺼내놓는데, 이것이 바로 ‘줄리엣의 주제’이다. 이 선율은 때로는 재잘대듯 활달하게 흐르고, 때로는 열정적으로 고조되며 줄리엣의 독백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흐름이 찬란한 절정에 도달하고 나면, 음악은 알레그로 아지타토, 2/4박자로 바뀌어 로미오의 흥분과 출현, 그리고 줄리엣의 불안을 묘사한다. 이후 음악은 다시 아다지오, 6/8박자로 돌아와 더없이 서정적이고 무한히 정열적인 ‘사랑의 밤’을 유장하고 넉넉하게 펼쳐 보인다.

제4부

1. 스케르초 (꿈의 요정, 맙 여왕) : 프레스티시모

F장조, 3/8박자. 고전적인 교향곡의 스케르초 악장에 비견할 수 있는 부분으로, 여기서 베를리오즈는 앞서 제1부의 말미에 나왔던 ‘맙 여왕의 에피소드’를 관현악곡으로 발전시켰다. 베버나 멘델스존을 방불케 하는 ‘요정음악’이라 할 수 있는 이 부분은 베를리오즈 특유의 문학적 상상력을 잘 드러내고 있다.

2. 줄리엣의 장례 행렬 : 안단테 논 트로포 렌토

E단조, 4/4박자. 첼로가 풍부한 감정을 담은 장송곡 주제를 연주하면서 시작되는 이 장면은 관현악의 푸가에 합창의 푸가가 더해져 진행된다. 각 2부로 이루어진 소프라노와 테너, 그리고 베이스 합창이 줄리엣의 (거짓) 죽음을 슬퍼하는 캐풀렛 가문 사람들의 심정을 전달한다.

3. 캐플렛 가묘의 로미오 : 알레그로 아지타토 디스페라토

E단조, 2/2박자. 줄리엣의 무덤을 찾아온 로미오와 두 사람의 마지막 순간을 그린 이 장면은 전곡 가운데 가장 연극적이다. 급히 달려온 로미오는 줄리엣의 주검 앞에서 절망하여 독약을 단숨에 들이키지만, 그가 쓰러지려는 찰나에 줄리엣이 눈을 뜬다. 재회로 인한 폭발적인 환희도 잠시, 로미오는 숨을 거두고 이내 줄리엣도 사랑하는 이의 뒤를 따른다. 이제까지의 아름다운 추억이 일거에 흩어지는 안타까움, 그리고 줄리엣의 마지막 결의가 비수처럼 듣는 이의 가슴을 파고든다.

몬터규 가와 캐풀렛 가는 두 젊은 연인의 죽음을 보고 양가의 화해를 맹세하게 된다. 영국 화가 프레데릭 레이트가 1855년에 그린 명화.

4. 피날레 : 알레그로 - 화해의 맹세 : 안단테 운 포코 마에스토소

A단조, 4/4박자 - 9/8박자.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의 3부 합창이 2개조로 나뉘어 각각 캐풀렛 가 사람들과 몬터규 가 사람들로 분한다. 묘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비통함을 토로하는 사람들 앞에 로렌스 수사(베이스 독창)가 나타난다. 로렌스 수사는 사람들의 놀라움 속에서도 그간의 자초지종을 차분히 설명한다. 하지만 두 무구한 영혼의 희생에도 불구하고 두 집안사람들은 원한과 앙심을 쏟아내며 서로를 비난하기에 여념이 없다. 로렌스 수사는 그런 사람들을 제지하며 자못 단호하고 엄숙한 어조로 신께 기도를 올리고, 그에 따라 두 가문 사람들은 로미오와 줄리엣을 추도하며 차츰 서로에 대한 증오를 씻어내게 된다. 이제 로렌스 수사는 두 젊은이의 주검 앞에서 두 가문의 화해가 이루어졌음을 신께 고하고, 모든 인원이 참여한 합창이 화해의 맹세를 노래하는 가운데 대단원의 막이 내린다.

끝으로 이 작품의 역사적 의의를 짚어보면, 우선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에 미친 영향을 거론해야 할 것이다. 바그너는 1839년 파리에서 이 작품을 처음 접하고서 깊은 감명을 받았고, 이것을 베를리오즈의 최상의 작품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1855년 런던에서 이 작품을 한 번 더 들었고, 그 선율의 유연성과 관현악의 표현력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 그리고 1860년에는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총보를 베를리오즈에게 보내면서 다음과 같은 헌사를 동봉했다.

“위대한 ‘로미오와 줄리엣’의 작가에게,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작가가 감사하며.”

아울러 우리는 리스트의 ‘표제 교향곡’과 말러의 ‘내러티브 심포니’ 이전에 베를리오즈의 ‘극적 교향곡’이 존재하고 있었음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추천음반

[음반] 콜린 데이비스(지휘)/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외. LSO Live

[음반] 실뱅 캉브렐랭(지휘)/남서독일 방송교향악단 외. Haenssler

[음반] 샤를 뒤투아(지휘)/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외. Decca

[음반] 리카르도 무티(지휘)/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외. EMI

[DVD] 존 엘리엇 가디너(지휘)/혁명과 낭만의 오케스트라 외. Philips/Decca (시대악기)

 

황장원(음악 칼럼니스트) 클래식 음악 감상실 ‘무지크바움’ 실장과 한국바그너협회 사무간사를 역임하였다. 무지크바움, 부천필 아카데미, 성남아트센터, 풍월당에서 클래식음악 교양강좌를 맡고 있다. <객석>, <스테레오뮤직>, <그라모폰>, <라무지카> 등에 칼럼을 기고했고 현재 서울시향 프로그램 노트를 담당하고 있다. 

 

  출처 : 네이버캐스트 오늘의 클래식>명곡 명연주 2013.08.21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66&contents_id=34324

 

요즘 트위터 페이스북 더보기

' CLASSIC '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ndelssohn -Piano Trio No. 1 in D minor op. 49  (0) 2013.11.18
Debussy, 12 Études   (0) 2013.11.18
Gershwin, Rhapsody in Blue   (0) 2013.11.18
Shostakovich, Jazz Suite No.2 'Waltz II'   (0) 2013.11.18
Grieg, Lyric Pieces   (0) 2013.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