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

Liszt, Mephisto Waltz No.1

Liszt, Mephisto Waltz No.1

리스트 메피스토 왈츠 1번

Franz Liszt

1811-1886

Boris Berezovsky, piano

29th International Piano Festival

La Roque d'Anthéron 2009

 

Boris Berezovsky - Liszt, Mephisto Waltz No.1

 

파우스트는 서유럽에서 가장 오랫동안 전해 내려온 전설 가운데 하나로 악마에게 자신의 영혼을 판 독일의 마법사 혹은 점성술사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틸 오이렌슈피겔의 유쾌한 장난>에 등장하는 오이렌슈피겔처럼 파우스트 또한 실제로 존재했던 두 사람 가운데 한 명으로 추측되며, 이 사람은 악마와 의형제 혹은 친구 관계를 맺고 마술과 연금술, 점성술과 예언, 신학적 연구와 악마 연구, 남색과 엽기적인 기행을 남기고 1540년경에 죽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1587년에 출판된 <파우스트편>이 발간되어 유럽 전역에 널리 읽히며 파우스트는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비록 고급스러운 문학적 완성도를 띠지는 않았지만 파우스트라는 독창적인 캐릭터는 많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의 사랑을 그린 작품

이후 많은 예술가들은 파우스트라는 인물에 동경을 보내는 한편 그의 지적 추구를 높이 평가하며 시대에 맞는 상으로 그려내기 시작했다. 특히 계몽주의자 괴테는 파우스트를 통해 인간과 악마, 신을 둘러싼 진중한 대 서사극을 창조해냈다. 괴테가 23세 때 쓰기 시작하여 83세로 죽기 1년 전인 1831년에야 완성을 본 <파우스트>는 한 문필가의 문학적인 업적으로만 평가해버리기에는 너무나도 벅차다. 여기에는 거인 괴테의 전 생애가 투과되어 있으며, 인생과 우주에 대한 지칠 줄 모르는 정열을 품고 살았던 그의 장엄한 정신세계가 펼쳐져 있기 때문이다. 전 2부로 나뉘어 1만2000행에 이르는 대하 희곡을 형성하고 있는 <파우스트>는 파우스트 박사, 악마 메피스토펠레스, 그 사이에 끼어 있는 그레트헨을 대비시키며 극을 이끌어 간다.

희곡 <파우스트>는 파우스트 박사, 악마 메피스토펠레스, 그 사이에 끼어 있는 그레트헨을 통해 신과 인간, 사랑, 구원에 대한 철학적인 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괴테가 세상을 떠난 바이마르의 궁정 음악가로 임명된 리스트는 괴테의 정신적 유산을 계승하기 위해 1844년부터 스케치를 시작하여 1854년에 완성, 1857년 9월 5일 바이마르에서 자신의 지휘로 초연한 <파우스트 교향곡>을 작곡했다. 이후로도 리스트는 파우스트를 주제로 한 음악을 다수 작곡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은 악마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메피스토 왈츠>다. 네 개의 왈츠로 구성된 <메피스토 왈츠>는 1859년부터 1962년(1번과 2번), 1880년부터 1881년(3번), 1883년부터 1885년(4번) 사이에 불연속적으로 작곡한 작품들을 모은 것으로, 파우스트가 아니라 메피스토펠레스에 초점이 맞추어진 1836년에 출판된 니콜라우스 레나우의 <시로 쓴 파우스트>(Faust: Ein Gedicht)>를 토대로 한 것이다.

니콜라우스 레나우(Nikolaus Lenau, 1802-1850)는 헝가리 태생의 오스트리아 시인으로, 마자르인 특유의 격정과 독일적인 취향을 함께 지녔던 인물이다. ‘세계고(世界苦)의 시인’이라고 불릴 만큼 괴팍한 성격에 기구한 인생 체험이 곁들여져 특이한 작풍을 가진 그는 만년에는 정신병원에서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다. 바이올린을 잘 켰고 베토벤을 숭배했던 그가 바라본 파우스트는 동시대 작곡가들인 슈만이나 베를리오즈, 리스트나 바그너가 바라보았던 파우스트의 세계와 많은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기도 하다. 아마도 인간과 신의 관계까지를 포함하는 너무나 큰 초월적인 세계를 그린 괴테에 비해 레나우는 삶의 부조리함과 성격적 대비에 대한 은유적 표현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일 것이다. 니콜라우스 레나우의 초상화, 1839

이 가운데 ‘마을 선술집에서의 무도’(Der Tanz in der Dorfschenke)>라는 제목을 갖고 있는 <메피스토 왈츠> 1번은 2번과 더불어 ‘레나우의 파우스트에 의한 두 개의 에피소드’(Zwei Episoden aus Lenau “Faust”)라는 제목으로 작곡된 오케스트라용 작품(S.110/2) 가운데 첫 번째 곡이다. 출판 당시부터 유명세를 탔던 이 곡은 이후 피아노 솔로(S.514)와 듀엣(S.599/2) 버전으로 편곡되기도 했다(3번과 4번은 원래부터 피아노 솔로를 위해 작곡되었다). 오케스트라 버전을 고스란히 편곡한 듀엣 버전에 비해 솔로 버전은 비교적 독립적인 악상과 전개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후일 리스트의 제자인 카를 타우지히에게 헌정되었다.

Sviatoslav Richter - Liszt, Mephisto Waltz No.1 (1958)

피아노 레퍼토리에서도 난곡 중의 난곡으로 손꼽혀

<소나타 B단조>와 더불어 리스트의 악마적인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낸 명곡으로 지금까지도 널리 사랑받고 있는 <메피스토 왈츠> 1번은 레나우의 서사시에 나오는 장면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으로,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처럼 일종의 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메피스토펠레스와 동행했던 파우스트가 어느 시골 선술집으로 들어가 거기서 메피스토펠레스가 켜는 바이올린에 이끌려 검은 눈의 미인과 사랑에 빠진다는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다.

그 악마적인 힘과 특유의 광란적인 무곡 리듬, 미스터리하고 세속적이며 드라마틱한 전개를 갖추고 있는 이 <메피스토 왈츠> 1번 피아노 버전은 피아노 연주사에서 대단히 특징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연주자로 하여금 무한한 체력과 강인한 집중력, 고도의 기교, 상상력 풍부한 극적 감수성을 요구하는 만큼 피아노 레퍼토리에서도 난곡 중의 난곡으로 손꼽히는 이 곡은 대단히 특별한 능력을 부여받은 극소수의 연주자만이 성공적으로 연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임스 후네커는 이 작품에 대해 “트리스탄 스코어 가운데 가장 육욕적인 에피소드들을 연상케 하는 나른한 싱커페이션 멜로디를 갖고 있다.”고 이 작품만의 독특한 음악적 특성을 극명하게 설명한 바 있다.

전체적으로 A-B-A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작품은 온전하지는 않지만 하나의 주제를 제시하고 이를 변형, 대비시킨 뒤 다시금 제시한다는 면에서 3부 형식의 기본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맨 처음에 등장하는 첫 번째 부분은 향응이 벌어지고 있는 시골마을의 한 선술집에 드리워진 메피스토펠레스의 그로테스크한 분위기가 압도적인 힘과 격정적인 리듬을 통해 묘사된다. 오케스트라를 위해 작곡했던 만큼 확장된 스케일과 압도적인 다이내믹, 다채로운 표현력, 복잡한 세부 디테일과 내선율들이 피아노 건반을 통해 웅장하게 표현된다. 외젠 들라크루아, <파우스트, 공중의 메피스토펠레스>,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 소장.

도입부부터 악마적인 스타카토와 디오니소스적인 옥타브, 종횡 무진하는 스케일의 향연이 펼쳐지며 술집의 쾌락적인 분위기와 메피스토펠레스의 그림자를 강렬하게 내비치고, 뒤이어 메피스토펠레스를 상징하는 왼손의 반복되는 음형과 오른손의 도약이 심한 동형 진행 리듬을 통해 그로테스크한 왈츠가 전개된다.

두 번째 부분은 파우스트의 구애를 담고 있다. ‘사랑스럽고 표정을 담아 연주하라’는 Un poco meno mosso로, 파우스트를 상징하는 주제는 리듬과 음정, 템포, 다이내믹이 조금씩 변형되며 다양한 모습으로 펼쳐진다. 바그너가 발전시킨 이 리스트의 주제변형 기법은 헝가리적인 집시 음계와 동형 진행과 반복, 음역을 넘나드는 확장된 스케일을 통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마지막 세 번째 부분에서는 메피스토펠레스의 기묘한 피들 연주가 다시 등장하여 조소하는 듯한 혹은 음모를 꾸미는 듯한 분위기를 고조시키긴 뒤 음악은 클라이맥스를 향해 돌진하며 광적인 트릴과 스펙터클한 옥타브 연타 및 상하 스케일이 쏟아지는 격정적인 코다로 끝을 맺는다.

 

추천음반

1.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RCA

2. 죄르지 치프라 EMI

3. 라자르 베르만 Arts

4. 존 옥돈 Testament

5. 보리스 베레조프스키 Mirare

 

박제성(음악 칼럼니스트) 클래식음악 전문지 <음악동아>, <객석>, <그라모폰 코리아>, <피아노 음악>과 여러 오디오 잡지에 리뷰와 평론을 쓰고 있으며, 공연, 방송, 저널 활동, 음반 리뷰, 음악 강좌 등 클래식음악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베토벤 이후의 교향곡 작곡가들>을 번역했다.

 

  출처 : 네이버캐스트 오늘의 클래식>명곡 명연주 2013.05.24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66&contents_id=27800&leafId=936

 

요즘 트위터 페이스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