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닉 지상주의시대라고 말할 수 있는 80년대, 록 프레이즈의 빠르기와 난이도는 한꺼번에 높아졌다. 그 불씨를 만든 것이 에드워드 밴 헤일런이라면 그것에 기름을 부어넣은 남자가 북구에서 씬으로 날아든 잉배이 J.말름스틴이다.
1963년 6월 30일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태어났다. 5세의 생일 때 어머니로부터 기타를 선물받았고 2년 후에 지미 헨드릭스를 체험하고 9세때 리치 블랙모어의 신자가 된 그는 구 소련의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이머가 연주하는 파가니니의 24개의 카프리스를 듣게 된 12세를 전후하여 지미+리치를 루트로 하면서 클래시컬한 세계를 연출하는 독자의 스타일을 확립했다.
그후 83년 미국으로 건너가 스틸러에서 데뷔하고 같은 해에 알카트라즈에 참가하여 퍼스트 앨범 알카트라즈로 일약 그 이름을 세계에 알렸다. 이후 알려지지 않았던 하모닉 마이너, 디미니쉬의 울림, 바이올린 같은 코드 아르페지오 주법, 그리고 무엇보다도 종래의 틀을 초월한 속주로 여타 기타리스트를 압도했다. 클래식이라는 록에 있어서는 컨템포러리한 수법을 도입하고 반대로 지미나 리치의 플레이, 그리고 그들에게서 계승받은 스트래트캐스터와 마샬 앰프라는 매우 고전적인 세트의 음색을 고집하는 보수적인 면, 이 서로 상반되는 패러독스가 그의 매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알카트라즈 시절만 해도 아리아 기타를 애용했던 잉베이는 이후 자신의 솔로 앨범을 통해 모든 수록곡을 펜더 스트래토캐스터로 연주하고 있다.
[라이징 포스](84년), [마칭 아웃](85년)에 이어지는 본작은 이상의 솔로 프로젝트 초기 삼부작 <트릴로지>의 라스트를 장식하는 의미를 지닌 타이틀을 지니고 있다. 릴리이즈에서 약 9년 록 씬의 흐름을 말한다면 한 세대전의 작품이 되어 버렸지만 예를 들면 <유 돈 리멤버>, <트릴로지 슈트 오퍼스 파이브> 등, 지금도 쇼의 하이라이트로서 플레이되고 뜨거운 리액션을 얻는 곡이 이 앨범에는 많다. 결론적으로 <트릴로지>는 기타 프리크의 사이에서 지지도가 높고 잉베이가 발표한 모든 연주곡 중에서도 최고봉의 것으로 평가된다.
스윙주법에 의한 코드 아르페지오, 여러 가지 피킹기술을 구사한 속주, 잉베이 스타일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하모닉 마이너 스케일과 디미니쉬 코드에 의한 프레이즈 등 클래시컬한 세계를 연출한 플레이의 여러면은 틀림없이 이 곡 중에 하이레벨로 집약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앨범이 발표된 이듬해에 그는 생사의 고비가 된 자동차 사고를 당했다. 이후의 플레이에는 본래의 맛이 없었고 록 기타의 혁명아였던 레벨까지 회복하는 데에는 수년이 필요 했는데 그러한 기억도 있고 잉베이 자신도 역시 이 작품을 베스트 앨범이라고 공언하고 있다. 하지만 80년대 초, 중반 전세계의 기타계를 깜짝 놀라게 했던 잉베이는 이 앨범 이후에 계속되는 상업적 실패로 여러번 멤버교체를 하면서 활동해야 했다.
'POP SONG & R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Joe Satriani - Crying (0) | 2013.08.25 |
---|---|
Blonker - Anak (0) | 2013.08.24 |
Marty Friedman - Farewell (0) | 2013.08.24 |
Roy Buchanan - The Messiah Will Come Again (0) | 2013.08.24 |
John Lennon - Happy Christmas (War is Over) (0) | 201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