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anini, Nicolo (1782-1840 It.)
의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b 단조 작품 7 '라 캄파네라'
Violin Concerto No.2 in B minor, Op.7 'La Campanella'
이탈리아의 바이올리니스트·작곡가. 제노바 출생. 어려서 제노바의 오페라극장 지휘자 세르베토와 산로렌초성당의
악장 G.코스타 등에게 사사하고 9세 때 첫 바이올린 연주회를 개최하였습니다.
13세 때 다시 A.롤라에게 바이올린을, 기레티에게 작곡을 배우면서 그는 그 무렵부터 연주여행과 초인적인 기교를
발휘하기 위한 난곡(難曲)을 작곡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799년 루카에서 연주회를 열어 대성공을 거둔 후 북부 이탈리아 각지를 돌며 화려한 연주생활에 들어갔으나
1801∼04년 어느 귀부인과의 동거생활로 연주활동에서 떠나 어렸을 때 배운 기타에 열중하였다가 1805년 연주활동을 재개, 루카에서 대성공을 거두고 그 곳 궁정오페라극장의 지휘자로 임명되었습니다.
13년에는 밀라노에서 한 시즌에 36회나 연주회를 열고, 15년에는 베네치아로 옮겨 그 곳의 여가수 안토니아 비안키를 만나 두 사람 사이에 남자 아이가 태어났으나 그들은 2년 후에 헤어졌다.
이 무렵부터 건강이 나빠졌으나 그의 명예욕과 활동력은 건강과는 반비례적으로 불타올라, 23년에는 빈을 방문하여
이른바 파가니니선풍을 일으켰습니다.
이 선풍은 다시 프라하·드레스덴·베를린을 휩쓸고 31년에는 파리, 이어서 런던을 비롯한 영국 각지에까지 미쳤습니다.
이 여행에서 파가니니는 거만의 부(富)와 연주사상 공전의 명성을 얻은 후 32년 제노바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33년 파리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한 후부터 급격히 건강이 악화되어 마침내 인후암(咽喉癌)으로 죽었습니다.
그는 자기의 연주법을 비밀에 붙이고 제자도 단 한 사람 시보리뿐이었으며, 많은 명바이올린 연주자들처럼 유파(流派)를 형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주법은 현재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전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의 음량은 그다지 풍부하지 않았지만 음색은 매우 아름다웠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리고 4옥타브에 걸치는 넓은 음역, 각종의 중음(重音), 플라지올레토, 스타카토, 스피카토, 살타토 등의 기교를 극도로 구사하여 화려한 곡예적인 연주법를 창조하였습니다.
그것은 당시 급격히 무르익어 가고 있던 낭만주의음악의 일대 특징인 명인적(名人的)인 연주의 선구를 이루는 것으로,
그의 주법은 직접 후세에 전달되지는 못했으나 낭만주의음악에 준 영향은 매우 큽니다.
작품은 바이올린곡뿐이며, 모두가 어려운 기교를 곁들인 것으로 형식적인 면보다 즉흥적인 화려함에 특색이 있습니다.
1811년 그가 29세에 완성한 이 협주곡은 Eb장조로 되어 있었는데 독주 바이올린의 연주 기법이 어렵기 때문에 바이올린의 음을 반음 내려 D장조로 연주합니다.
지금은 오케스트라에 있어서도 D장조로 개정한 것이 있고 원곡대로 연주하는 예가 거의 없으며, 빌헬름 편곡,
클란이슬러 편곡 등을 사용합니다. 이 작품은 독창적이고 어려운 기교를 종횡으로 구사했으며 주요한 멜로디는 모두
이탈리아 풍입니다.
Violin Concerto No.2 in B minor, Op.7 'La Campanella'
바이올린의 귀재 파가니니가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은 6곡 정도 되었으나, 인쇄된 곡은 그 중 2곡이었고 오늘날
까지도 가장 자주 연주되는 곡이 바로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1번'입니다.
기교적인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화려하고 비르투오적이나 화음이나 형식에 있어서는 간단하고 형식적입니다.
1811년에 파가니니가 29세가 되던 해 완성되었으며, 초연은 파가니니 자신의 연주로 이루어졌다고 짐작됩니다.
1악장은 D장조 4분의 4박자로 소나타 형식이며, 장대하지만 화려하고 변화가 가득해 듣는 사람에게 흥미로움을
전해주는 악장입니다.
리드미컬하고 상쾌한 주제에 이은 행진곡풍의 전개부, 독주 바이올린의 카덴차풍 활약 그리고 이어지는 부드러운
노래와 연결되는 재현부는 화사한 바이올린의 기교를 충분히 구사할 수 있는 웅대하고 극적인 곡이며, 단독 연주하는
경우도 적지 않을 정도로 잘 짜여져 있습니다.
파가니니의 놀라운 연주 기교가 담긴 '바이올린 협주곡 제 1 번'은 과연 이탈리아 작곡가 답게 노래하는 듯한 아름다운
선율을 아낌없이 몇 개의 주제로 쓰고 있습니다. 그 서정적인 달콤함이 출중한 기교 속에 극적으로 고양(高揚)되는
부분은 파가니니만의 솜씨입니다.
파가니니는 자기가 직접 연주하기 위해 6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썻으나 오늘날 흔히 연주되는 작품은 제 1 번과
제 2 번 B 단조의 두 곡이며, 이밖에 제 4 번 D 단조 와 제 5번 A 단조를 가끔 들을 수 있을 뿐입니다.
사실 제 1 번과 제 2 번의 두곡만 들으면 나머지곡은 듣지 않아도됩니다. 이 두곡과 전 24곡으로 구성된"24개의
기상곡"(24 Cappricci per violino solo op.1)에 파가니니의 전모(全貌)가 깃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제1악장 고전적인 협주곡의 형식에 따라 관현악의 긴 전주로 시작되는데, 주부에 있어서도 정연한 제1테마와 발전부도 없으며 관현악의 간주가 이를 대행합니다.
제2테마에 해당하는 장조의 테마와 그 재현에 소나타 형식의 모습이 보이는데 여기서 독주 바이올리은 스타카토와
반음계등으로 얽혀 진행됩니다.
제2악장 관현악의 전주에 이어 아리아풍의 밝은 바이올린 선율이 흐릅니다.
제3악장 론도형식으로서 D장조의 제2테마가 나타나 종소리를 묘사합니다. 이곡은 특히 마지막 악장에서 리토르넬로가 나올때마다 그 앞에 종(캄파넬로)이 울리는 것으로 유명한데, 종의 맑은 울림이 바이올린 4번 현의 올림바(F#)에 녹아 들어가는 느낌을 줍니다
리스트는 이 제3악장을 '라 캄파넬라'라는 곡으로 편곡하여 이 론도악장의 인기를 더해주었습니다.
이 두 협주곡에는 기법의 진수라 할만한 것들이 모두 들어있어 다른 협주곡들에 나타나는 그것을 능가하고 있습니다.
또 카프리치오와 더불어 왼손 및 오른손을 위한 바이올린 기법의 고급교본으로도 이용됩니다.
' CLASSIC '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hler - Symphony No. 5 in C sharp minor (0) | 2016.08.04 |
---|---|
Haydn-Violin Concertos No.1 ~ No.4 / Giuliano Carmignola,Violin (0) | 2016.08.04 |
The Best of Baroque - Best of Early Music (0) | 2016.08.03 |
Ravel - Rapsodie Espagnole The Cleveland Orchestra (0) | 2016.08.02 |
Handel - Water Music Suite No.2 In D Major HWV 349(수상음악 모음곡 2번 D장조, HWV 349) (0) | 2016.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