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


국민연금연구원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 최소생활비도 충당 못 해”
[시사위크=김민성 기자] 노후에 평범한 생활을 유지하려면 어느정도의 생활비가 필요할까. 노후를 앞두거나 노후생활을 하는 우리나라 50대 이상 중고령자가 생각하는 노후 적정생활비는 △부부의 경우 월 243만3,900원 △개인은
국민연금연구원의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 보고서(송현주·임란·황승현·이은영)에 따르면, 지난해
조사 결과, 연령별 월평균 ‘적정생활비’는 50대는 △부부기준 267만9,800원 △개인기준 168만6,600원이고, 60대는
노후를 앞두거나 노후생활을 하는 우리나라 50대 이상 중고령자가 생각하는 노후 적정생활비는 △부부의 경우
반면 월평균 ‘최소생활비’는 △부부 176만100원 △개인 108만700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왔다.
노후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은 조사대상자 스스로 노후시기에 진입했다고 여기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주된 노후준비 방법은 1순위는 국민연금이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중 스스로 노후에 해당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은 34.3%였다.
응답자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노후 시작 사건의 경우 응답자의 56.3%가 ‘기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시사위크(http://www.sisaweek.com)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매달 적정 노후생활비 "부부 243만·개인 153만원 필요"
국민연금, 노후대비 커녕 생활비도 부족
응답자 53.9% "노후준비가 충분하지 않다"
우리나라 50대 이상 중고령자가 생각하는 노후 적정생활비는 얼마일까?
국민연금만으로 노후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을까?
국민연금연구원이 25일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 보고서를 통해 "2017년 기준으로 노후에 평범한 생활을 유지하려면 부부는 월 243만4000원, 개인은 월 153만7000원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이 2017년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에 걸쳐 중고령자의 노후준비 실태를 알아보고자 50세 이상 4449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재무와 여가, 대인관계, 건강 등 항목에 걸쳐 국민노후보장패널 7차 조사를 한 결과다.
◆노후 적정생활비, 월 153만7000원…국민연금 20년 가입해도 91만원 받아
2018년 9월 현재 국민연금에 10~19년 가입한 수급자의 평균 연금액이 월 39만7219원에 불과했다. 20년 이상 가입자의 평균 급여액도 월 91만882원에 그쳤다.
성별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생각하는 최소 노후생활비 수준이 높았다.
적정 노후생활비는 주관적 판단으로 부부는 월 243만3900원, 개인은 월 153만7100원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월평균 적정생활비는 50대는 부부기준 267만9800원, 개인기준 168만6600원이고, 60대는 부부 242만3600원,

◆고학력 ·서울 살수록 생활비 기대치 높아
한편 정부의 국민연금 개편안대로라면 2050~2060년대엔 ‘국민연금 고갈’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고갈 뒤 제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보험료율은 24.6~33.5%에 이른다.
정부는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 방안에 대해 “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등을 통해 경제성장률을 높이면 기금 소진을
늦출 수 있다”고만 밝혔다.
막연한 장밋빛 전망만 내놓고 재정 안정화 방안은 제시하지 않은 것이다. 사실상 미래 세대에 부담을 떠넘겼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50세 이상 56% “도움없이 생활 힘들어”
50세 이상 중ㆍ고령층 절반 이상은 현재 타인 도움 없이는 생활이 힘들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생각하는 ‘노후가 시작되는 나이’는 평균 68.5세였다.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은 지난해 4월부터 6개월 간 50세 이상 가구원이 속한 4,449가구를 대상으로 ‘국민노후
보장패널 7차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50대 이상 중ㆍ고령층의 56.5%는 ‘현재 타인의 도움에 의지하지 않을 만큼의 독립적 경제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답했다.
주로 80세 이상(78.0%), 70대(64.5%)의 비중이 높았지만, 50대와 60대 비중도 각각 35.6%, 47.9%로 상당했다.
경제적으로 도움을 받고 싶은 대상으로는 자녀ㆍ손자녀(42.2%) 사회단체ㆍ정부(30.2%) 배우자(27.4%) 등이 거론됐다. 은퇴 후 필요한 최소 생활비는 부부기준 월 평균 176만원, 적정생활비로는 243만4,000원으로 추산됐다.
60세 이상 응답자들을 추려 살펴보면, 기초연금을 제외한 공적연금 수급자 비율은 10명 중 3, 4명(37.6%)에 그쳤다.
국민연금 수급자가 86.4%로 가장 많았고 공무원연금은 8.2%, 군인연금은 3.3%, 사학ㆍ별정우체국연금은 2.1%였다. 수급자 중 남성의 비율이 64.2%, 여성의 비율이 35.8%로 남성이 여성의 두 배 가까이 됐다.
응답자들은 평균 68.5세를 ‘노후가 시작되는 나이’로 인식하고 있었다.
현행 노인복지법 상 노인 기준(65세)이나 국민연금 수급시작 연령(1969년 이후 출생자 기준 65세)보다 높았다.
특히 스스로를 ‘아직 노후가 아니다’라고 한 이들 10명 중 6명(62.9%)은 노후준비를 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왜 준비를 하지 않느냐는 물음에는 과반수가 ‘준비할 능력이 없어서’(54.7%)라고 답했고, 이어 ‘앞으로 준비할 계획
이어서’(31.7%) ‘자녀 결혼 비용을 준비해야 혹은 했기 때문에’(6.1%) ‘아직 노후에 대해 생각하지 않아서’(6.1%)
‘자녀에게 의탁할 계획이어서’(0.7%) 등이 꼽혔다.
신지후 기자 hoo@hankookilbo.com

● 퇴직 후 필요 생활비 알아야 ‘준비 없는 은퇴’ 안 한다
● 일 안 해도 ‘월급’ 받는 국민·퇴직·개인연금 포트폴리오
● 건강관리, 가족관계 개선, 취미 개발 병행해야
유엔은 2009년 ‘세계인구 고령화 보고서’를 내면서 100세 장수가 보편화하는 시대 인류를 ‘호모 헌드레드(homo
당신은 생각보다 오래 산다
![국민연금공단 서울 종로중구지사에서 노인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뉴시스]](http://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c/05/d4/48/5c05d4481e76d2738de6.jpg)
국민연금공단 서울 종로중구지사에서 노인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뉴시스]
이들 중 상당수는 지금 생각보다 훨씬 긴 시간 동안 살게 될 게 분명하다.
박진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장은 은퇴 설계 방법을 크게 4단계로 나눴다.
이 로드맵에 따라 먼저 은퇴 후 필요 생활비를 생각해보자.
다행스러운 건 실제 필요 자금이 이보다 적다는 것이다.
목표를 세웠으면 준비 상황을 점검할 차례다.
직접 계산해볼 수도 있다. 국민연금에 10년 이상 가입한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죽을 때까지 노령연금 수급
나의 은퇴준비 점수는?
취업포털 잡코리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 평균 취업 연령은 남성 27.1세, 여성 24세다. 평균 은퇴연령은 남성 55세, 여성 47.3세로 나타났다.
근로 중 개인연금을 월 30만 원씩 꾸준히 납입했다면 개인연금자산도 있다.
이제 노후준비자산과 목표노후자산을 비교해 현재 준비 정도를 확인할 때다.
이제 현실에 맞춰 대응 방안을 마련할 때다.
삶의 우선순위를 바꿔라
계획 수립 후 돌발 변수가 생길 수 있다.
개인연금을 추가 납입하려면 생활비 지출 조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부모들은 ‘내 노후 준비가 어려워도 자녀 먼저 지원하겠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김유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이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모 부양 책임자’로 ‘가족’을 꼽은 비율이 최근 20년 새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부모가 노후 생활을 ‘스스로 해결’(8.1%)하거나 ‘사회·기타’(2.0%)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답한 사람이 매우 적었다.
부모 세대 또한 자녀에 대한 경제적 의존을 줄이고 있다.
은퇴 후 삶이 10~20년에 불과할 때, 자녀가 ‘부모 노후는 내 책임’이라고 생각할 때, 경제성장으로 자녀 소득이 부모
연금만이 살길이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을 이용하면 국민·퇴직·개인연금 가입기간과 예상 수령액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퇴직급여를 일시 인출하면 생활비 등으로 흔적 없이 사라지는 게 현실이다.
연금 개시 후 최대한 길게 받는 것도 중요하다.
은퇴 당시 퇴직연금계좌 평가액이 5000만 원이라고 하자. 연금 수령 첫해에 받을 수 있는 연금액 한도는 ‘5000만 원
은퇴세대가 노후에 받을 수 있는 ‘월급’은 하나 더 있다
주택연금은 가입자 나이가 많고 주택가격이 비쌀수록 수령액이 많아진다.
주택금융공사는 매년 한 차례 주택가격 상승률과 생존확률 등 변수를 감안해 수령액을 조정한다. 이에 맞춰 일단 연금액을 정하고 나면 가입 기간 내내 불변이다. 집값이 오르거나 떨어져도 가입 당시 약속한 연금액을 그대로 받는다.
주택연금은 가입자와 배우자가 모두 사망할 때까지 종신형으로 선택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집 명의자 사망 후 배우자가 계속 주택연금을 받으려면 소유권이전등기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2016년 3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시간선택제 일자리 박람회’ 및 ‘경력직-중장년 일자리 박람회’를 찾은 중장년 구직자들이 구직에 필요한 서류를 작성하고있다. [서영수 동아일보 기자]](http://dimg.donga.com/ugc/CDB/SHINDONGA/Article/5c/05/d4/c6/5c05d4c61ddfd2738de6.jpg)
2016년 3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시간선택제 일자리 박람회’ 및 ‘경력직-중장년
일자리 박람회’를 찾은 중장년 구직자들이 구직에 필요한 서류를 작성하고있다.
[서영수 동아일보 기자]
OECD는 ‘5년 동안 일자리를 갖지 않은 상태’를 실질적 은퇴로 정의한다.
탄탄한 노후 자산 설계는 은퇴 후 찾아오는 ‘소득불안’을 잠재우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건강관리, 관계관리, 취미개발
건강은 하루아침에 완성되지 않는다.
공적 연금을 활용하고 일찍부터 미래를 설계하면 ‘경제적 어려움’은 차근차근 해결할 수 있다.
- 송화선 기자
- spring@donga.com

[국민연금공단 천안지사장 이종신] 현장에서 국민연금 가입자를 만나거나 개인적으로 지인들과 마주할 때 “제도를 너무 자주 바꾸니 믿을 수가 없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된다. 그럴 때마다 국민연금제도가 처음 도입된 1988년의 사회상황을 말씀드림으로써 이해를 돕곤 한다.
당시까지만 해도 환갑을 축하하는 잔치를 하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는 구호로 출산을 제한하는 등 지금과는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30년이 흐른 지금 우리사회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급증하는 노인들의 생계를 걱정하고, 저출산이 심화되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며 출산을 장려해야 하는 형편이 됐다.
이처럼 국민연금제도 도입 당시에는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상황으로 사회가 빠르게 변하는데 국민연금제도만 그대로 둔다면 제도의 지속가능성은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국민의 불안감이 오히려 커지게 될 수밖에 없으므로 변해가는 상황에 맞게 제도를 점진적으로 개편해가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사실 사회상황의 급격한 변화가 없더라도 국민연금제도의 개편은 예정되어있었다. 제도 도입 시 연착륙을 시키고 부모부양과 자식양육을 모두 해야 하는 기성세대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보험료로 내는 돈보다 훨씬 많은 연금을 받도록 설계가 되었으니 당연한 귀결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미 두 차례에 걸쳐 받는 연금을 낮추는 개선을 했지만, 아직 재정불균형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예상보다 빠르게 저출산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제도개편 압력이 커진 것이다.
최근 정부에서 국민연금제도 개편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번에는 제정안정화 뿐만이 아니라 노후소득보장을 균형 있게 이루기 위해 노력하였고, 전문가와 이해관계자 및 일반 국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해 개편방안에 녹여냈다는 것이 지난 두 차례의 개편 때와는 다른 점이다.
개편안의 윤곽을 살펴보면, 국민신뢰를 높이기 위해 국가지급보장을 명문화하고 이혼 시 연금분할 방식을 개선하는 등 제도운영과정에서 제기된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은 확정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소득보장수준과 보험료부담율을 함께 고려하여 개편하는 4가지 정책조합을 제시한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4가지 정책조합의 기본목표는 공적연금을 통해 최저 노후생활비(1인 가구 기준 95~108만원)을 보장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가지 변수의 범위를 설정하여 최적조합을 찾기 위한 대안을 예시한 의미가 있다. 첫째 변수인 보험료율은 현행 9%에서 13%까지, 둘째 변수인 소득대체율(일할 때 소득 대비 받는 연금의 비율)은 40%에서 50%까지, 그리고 마지막 변수인 기초연금액은 30만원에서 40만원까지로 설정되었다.
과거 정부가 단일안을 제시했던 방식과 달라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겠으나 각 세대와 입장에 따라 워낙 첨예한 의견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급적 다양한 의견을 더 많이 반영함으로써 실질적 논의가 활성화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정부안이 국회로 넘어가고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연금개혁특위’가 설치돼 곧 사회적 논의가 시작 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단일 방안을 제시하면 논의의 폭을 제한하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2007년 연금개혁 이래 10년 만에 제도 개선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것이니만큼 이번에야말로 국민의 적정 노후소득보장과 국민연금제도의 지속가능성을 균형 있게 이루어갈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쪽으로 개혁이 완성됨으로써 국민연금제도가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고 사랑받는 제도로 더욱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
2018.12.24/뉴스1 phonalist@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미플루 포비아' 확산..독감 앓고 있으면 복용 중단하면 안돼 (0) | 2018.12.26 |
---|---|
2018 국제 10대 뉴스 (0) | 2018.12.26 |
제주도 가파도 여객선 ‘암초 긁혀’ 좌초… 승객 전원 구조 (0) | 2018.12.25 |
세계는 지금 산타클로스와 함께 '메리~크리스마스' (0) | 2018.12.24 |
[2018 국내 10대 뉴스]미투ㆍ남북정상회담ㆍ최강폭염…뜨거웠던 ‘무술년’이 진다 (0) | 2018.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