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격하락, 거래위축으로 꽁꽁 얼어붙은 부동산시장.
집값 하락에 집주인-세입자 갈등
[뉴스투데이=이진설 경제전문기자] 집값 하락세가 멈추지 않으면서 깡통주택 공포가 되살아나고 있다.
17일 주택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사고는 1~11월 중 316건으로 2017년 33건보다 857% 증가했다. 아직 통계가 잡히지 않은 12월까지 포함하면 1000%를 웃돌 것으로 추산된다.
깡통주택은 경매로 넘어간 집의 낙찰금액이 대출과 전세보증금을 합한 것보다 낮아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깡통주택의 피해는 세입자가 고스란히 지기 때문에 세입자들은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해야 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은 8만9350건에 달했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은 세입자가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경우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집주인 대신 전세금을 돌려

전셋값이 하락하고 거래도 이뤄지지 않아 기존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역전세난 사례도 늘고 있다.
직장인 L씨(35)는 최근 이사를 결정했지만 인천 송도에 거주하는 아파트 전셋값이 2년전 3억5000만원에서 2억원 초반까지 떨어지자 집주인으로부터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다.
L씨는 “집주인이 전세와 대출을 끼고 집을 산 갭투자자인 것 같은데, 전셋값이 하락하고 세입자를 구하는 것이 쉽지
전문가들은 집값 하락이 올해도 이어질 경우 집값이 2년전 크게 올랐던 전셋값에도 미치지 못하는 깡통전세 사태마저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부는 지난해 주택관련 세금을 크게 올리면서 은행대출은 대폭 규제하는 9.13 부동산 대책을 내놨고 이후 집값과

공급 몰린 경기 용인·화성 등 역전세난
'전세금 받자'.. 세입자 경매신청 증가
"물량 부담에 전셋값 하방 압력 거세질 듯"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아파트의 대규모 입주로 시작된 전세값 급락세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깡통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깡통전세는 주택 매매가격이나 전세값 하락으로 전세 재계약을 하거나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세입자가 전세보증금을 다 돌려받지 못하는 주택을 말한다.
올해는 대규모 입주 물량 증가, 전세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세값 하방 압력이 더욱 거세져 지방에 이어 수도권에서도 ‘전세금 미반환 사태’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 강동구도 전셋값 평균 2000만원 내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 들어 1월 첫째주(1월 7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2% 하락하며 지난해 10월 마지막
주에 이어 11주 연속 하락했다.
수도권 전셋값도 11주 연속 내림세다. 특히 서울에서는 강남4구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송파 헬리오시티 등 신규 입주 물량 증가 등의 여파로 △강동구(0.3%) △강남구(0.29%) △서초구(0.28%) △송파구
(0.25%) 등 전셋값이 일제히 주저앉았다.
강북권에서도 신규 단지 입주에 따른 전세공급 증가 등의 영향으로 보합세를 보인 노원구를 제외한 전 지역이 내림세를 보였다.
서울 강남구 S공인 중개업소 관계자는 “송파구에서 1만 가구에 달하는 역대급 물량이 쏟아지면서 인근 강남권 일대
전셋값 하락세가 가팔라지고 있다”며 “인근 강동구나 강남구 전셋값도 최근 1000만~2000만원씩 떨어졌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수도권은 입주 물량이 몰려 있는 경기 남부권(용인·화성·평택·오산시 등)을 중심으로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아파트
잔금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거나 집주인이 빚을 내 전세금을 빼주는 현상이 일부 벌어지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화성시 장지동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지난해 입주 쓰나미에 전세시장이 소화 불량에 걸렸는데 올해도 적지 않은 물량이 쏟아지면서 전세값이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며 “서울에서 밀려온 수요자들도 전세 보다는 매매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하다”고 말했다.
올해도 입주 물량 부담은 여전하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입주 물량은 4만2936가구로 지난해 보다 17% 증가할 전망이다.
경기 지역은 13만8064가구로 역대 가장 많은 물량이 쏟아졌던 지난해 보다 감소하지만, 3년 연속 10만 가구가 넘는
대규모 입주물량이 몰린다.
함영진 직방 데이터랩장은 “전세시장은 투자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수급(수요와 공급)에 의해 움직이는 가장 민감한
시장”이라며 “올해는 3년 연속 수도권에 많은 입주 물량이 몰리면서 일부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집주인이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역전세난 현상이 거세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전세보증금 돌려받자” 경매신청 대거 늘어
전셋값 하락에 세입자들이 전세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한 경매 신청 건수도 급증하고 있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관련 경매 신청 건수는 2016년 153건, 2017년 141건에서 지난해 221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인 11월에는 월별 역대 최대치인 32건의 경매 신청 건수를 기록했다.
장근석 지지옥션 팀장은 “임차인이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해 신청한 강제경매가 올 들어서도 매월 20~30건은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며 “수도권에서도 경매로 넘어간 낙찰금액이 임차인 전세금(채권청구액) 보다 낮은 깡통주택 사례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역전세 및 깡통주택 관련 세입자 피해가 늘면서 전세보증금 번환보증 가입이 해매다 늘고 있다.
지난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은 8만9350건, 보증금액은 19조36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모두 두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은 전세 계약이 끝난뒤 1개월이 지나도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으면 주택도시보증공사
(HUG)가 보증금 전액을 반환해주는 보험이다.
김기덕 (kiduk@edaily.co.kr)
경기 침체의 여파로 상가나 오피스 등 부동산 시장에도 불황의 그늘이 짙어지고 있다.
서울에서 소위 ‘잘나가던’ 핵심 상권조차 공실이 급증하면서 권리금이 실종되고 있다.
서울 오피스 시장도 오랫동안 비어 있는 사무실이 많아 세입자 구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늘어나는 빈 상가에 사라지는 권리금
서울 시내 주요 상권에서 빈 상가가 많아졌다는 건 수천만 원의 권리금을 주고 들어온 상인들이 권리금을 포기한 채
장사를 접을 만큼 경기가 나빠졌다는 걸 보여준다.
서울의 대표 상권인 명동까지 장기 공실이 늘면서 이 일대 임대료도 일부 조정되고 있다.
중개업자 이 씨는 “오래 비어 있던 1층점포(약 40m²)를 지난해 12월 보증금 5000만 원, 월세 500만 원에 계약했다.
직전 세입자가 보증금 2억5000만 원, 월세 1200만 원에 옷가게를 운영했던 곳”이라고 했다.
인근 D중개업소 대표는 “명동 일대가 전체적으로 권리금이 50% 이상 빠졌다.
중요한 건 그런데도 거래가 안 된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런 현상은 용산구 이태원 경리단길처럼 단기간에 ‘뜬’ 상권일수록 심하다.
같은 날 경리단길 일대 중개업소들에 붙어 있는 상가 임대 매물 안내문에는 대부분 ‘무권리 점포’라고 써 있었다.
A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는 “공실이 아닌 곳 중에도 권리금 500만 원이라도 건지고 싶어서 문 닫아놓고 버티는 가게
들이 많다”고 했다.
5개월 전 문을 연 경리단길의 한 식당은 직전 세입자보다 월 임대료를 50만 원 낮춰 200만 원에 계약했다.
권리금도 없었다.
2년 전 권리금 7000만 원을 주고 들어온 카페 주인이 권리금을 포기한 채 장사를 그만둬서다.
○ 오피스 시장도 ‘무료 임대’ 내세워 세입자 모시기
신축 대형 빌딩이 많은 종로 일대는 세입자 찾기가 더 어려운 형편이다.
종로구 관훈동의 지상 12층짜리 한 빌딩은 현재 2개 층이 비어 있다.
이 빌딩 관리사무소 부장은 “올 3월이면 한 층이 더 빈다. 원래 계약 만료 두 달 전에는 세입자를 찾는데 요즘은 사업
규모를 줄이거나 아예 접는 사람이 많아져 문의조차 없다”고 했다.
개인이 소유한 중소형 빌딩은 임대료를 깎아주기도 한다. 종로구 공평동의 D중개업소 관계자는 “공평동 사거리에 있는 6층 규모 빌딩의 한 세입자가 1년 전 직전보다 30만 원 싼 월 90만 원에 계약했는데 계약이 끝나 나가려고 하니까 건물주가 더 내려줄 테니 나가지만 말라며 붙잡고 있다”고 전했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 등으로 상업용 부동산 임대시장은 지난해
보다 더 상황이 좋지 않다”고 내다봤다.
주애진 jaj@donga.com·조윤경 기자

집값·전셋값 동시 하락 ‘깡통전세’ 우려가 현실로
보험료 부담 불구 ‘전세보증금 보장보험’ 가입 고려할만
[FE금융경제신문=정순애 기자]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세가 하락세가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에 ‘깡통전세’에
정부가 세금은 올리고 돈줄은 막는 9.13부동산 대책과 함께 신규 아파트 물량 증가, 집값·전세가 하락세가 맞물려 돈을 융통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집주인과 세입자간의 전세 보증금을 둘러싼 갈등이 커지는 양상이다.
특히 전세와 대출 등을 끼고 거의 자기자본 없이 집을 구매하는 갭투자에 나섰던 집주인들이 심각한 상황을 맞고 있다.
갭투자가 성행했던 2~3년 전에는 사기만 하면 집값이 올라 전세보증금으로 집값을 충당할 수 있었으나 정부의 거듭된 규제 정책과 신규 입주물량 증가 등으로 매매·전세가 모두 하락며 전세가율 역시 급락하고 있다.
여기에 9.13부동산 대책의 후속조치로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이 까다로워져 대출을 받아 보증금을 돌려주는 것도 사실상 어려워졌다.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어 이자 등 금융비용 부담도 점점 커지는 양상이다.
이에 2년전 수준의 전세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전세 계약기간이 만료된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전문가들은 세입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세금 반환보증 보험’ 가입 의무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으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전세금 안심대출보증)’에 가입할 경우 피해를 최소화할
다만 해당 주택에 경매나 압류, 가압류, 가처분 등이 없어야 하고 또 다른 세대의 전입이 있으면 가입이 불가능하다.
계약기간도 1년 이상 남아 있어야 한다. 미분양관리지역의 경우 전세 계약 만료 6개월 전에도 신청할 수 있다.
계약 만기가 지나도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다면 관할 지방법원에 ‘임차권 등기명령’을 신청할 수도 있다.
또 법원에 지급명령을 신청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깡통주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세 계약 전 대출이나 근저당 설정 등 문제가 없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된다고 조언했다.

건수·금액 전년보다 급증
전세금하락에 불안 커져
보증사고도 10배 증가해
1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은 8만9350건, 보증금액은 19조364억원을
전문가들은 최근 보증 실적이 급증한 이유를 세입자들의 전세보증금 반환에 대한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본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전세시장은 1.8%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서울 전세금 하락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HUG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집주인의 동의 없이 가입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꾼 데다 전세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면서 가입이 많이 늘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손동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대출 때 필수가입 ‘상환보증’은
집주인이 못돌려줄 땐 소용없어
주택도시보증공사만 취급하는
반환보증 가입한 세입자의 경우
계약종료 뒤 반환청구로 해결돼
직장인 A 씨는 최근 전세계약이 종료됐는데도 집주인으로부터 보증금 2억 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최근 부동산 경기가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전세 가격 하락 현상이 지방에서 서울로 들이닥치고 있다.

◇전세자금대출 보증서의 보장 범위를 확인하라 = 한국은행이 지난해 6월 공개한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전세금 시세가 20% 떨어지면 집주인 10명 중 2명은 은행에 빚을 내지 않고는 보증금을 돌려주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때 세입자는 별도의 보증(보험)료를 낸다. 이는 전세자금대출이 보증기관의 보증서가 뒤따르는 보증부 대출이기 때문이다. 보증기관은 세입자로부터 보증료를 받고 일정 금액을 보증하게 된다.
◇반환보증이 보다 안전 = 전세금 돌려받을 걱정을 100% 덜고 싶다면 반환보증이 제격이다. 반환보증은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자금 안심대출’에만 있다.
만약 세입자가 반환보증이 포함된 전세대출을 받은 상태에서, 전세 계약이 종료됐는데도 1개월 내에 집주인으로부터
집주인에게 채권 양도에 대해 미리 충분히 설명하는 것도 필요하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 마스크의 불편한 진실 (0) | 2019.01.17 |
---|---|
페널티킥 얻고 추가골 어시, 손흥민 합류 덕에 중국전 '완승' (0) | 2019.01.17 |
구조의 여왕? 안락사의 여왕?…케어 박소연 대표 '논란의 역사' (0) | 2019.01.16 |
손혜원 의원, 목포 근대역사공간 건물 투기 의혹 (0) | 2019.01.16 |
트럼프·김정은, 2말3초 베트남이나 태국서 만난다" (0) | 2019.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