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연합뉴스

돈되는 일본식 가옥 집중 매입…'손혜원 의혹'의 정점
남편·조카 등 부동산 가치 높은 10여채 구입
등록문화재 지정땐 상속세 감면 등 혜택
목포시는 지난해 8월 만호동과 유달동 일대 11만4038㎡에 지정된 근대역사문화공간 내에는 300채의 건물이 있다고
손의원의 남편과 조카 등 주변인들이 2017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집중 매입한 10여채는 대부분 일본식 건물이다.

17일 오전 전남 목포시 근대역사문화공간인 대의동 일대가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의
투기 의혹이 일어 술렁이고 있다. 사진은 손 의원의 측근들이 매입해 운영하는 창성장의
간판이 보이는 거리의 모습.
연합뉴스
목포의 근대역사문화공간은 문화재청이 공모를 통해 지정한 등록문화재다.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이 목포근대역사문화공간에 부동산 투기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17일 오후 전남 목포시 근대역사문화공간 내 손 의원의 조카가 운영하는
카페에 손 의원의 얼굴이 새겨진 장식품이 걸려있다.
연합뉴스
등록문화재 심사 중에 손 의원 주변인들이 일본식 건물을 매입해 손 의원이 영향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손 의원 보좌관이 대표로 있었던 업체(한국무형유산진흥센터)가 지난해 9, 10월 두 차례에 걸쳐 목포에서 열린 ‘목포
![]() |
(목포=뉴스1) 황희규 기자 = 16일 오전 전남 목포 대의동에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조카가 매입한 것으로 알려진 '창성장' 게스트하우스 내부가 한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9.1.16/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
[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이 가족·지인의 목포 부동산 투기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전남 목포로 갈 것이라고 예고했다. 논란이 시작된 현장에서 인터넷 생방송을 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손혜원 의원은 18일 오전 페이스북에 연달아 글을 올리면서 이번 주말 목포행을 계획한다고 밝혔다.

손혜원 의원의 목포 부동산 투기 논란은 15일 SBS가 손혜원 의원 가족·지인들이 목포 땅과 주택을 매입한 과정이 석연치 않다면서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손혜원 의원이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부동산 매입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 |
(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내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 문이 17일 오전 굳게 닫혀있다. 2019.1.17/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

이에 대해 손혜원 의원은 “손혜원 목포 투기가 사실이 아니라는 데에 제 인생과 전 재산은 물론 의원직을 걸겠다”며

투기가 아니라면서 우호적인 입장을 보였던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부동산 수가 애초 알려진 것보다 늘어나자

목포가 지역구인 박지원 의원은 “목포의 국토부(국토교통부) 3건의 도시재생사업, 문화재청 지정사업 1건과 함께 4건 사업의 차질 없는 집행으로 목포 구도심의 발전을 완성하겠다”는 말도 남겼다.
박지원 의원은 손혜원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직후 여러 매체를 통해 “목포 문화재 지정 사업은 내가
신은정 기자 sej@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 16일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 측근이 매입한 것으로 알려진 전남 목포
"창성장"에 적막이 흐르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손 의원은
목포 원도심 일원이 문화재로 지정되기 전 측근을 통해 건물 다수를 매입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 연합뉴스
|
1897년 개항한 목포는 일제 시대 지어진 건축물 등 근대문화유산이 대거 남아있다.
이 논란을 바라보는 목포시민들은 어떤 입장일까.
"새삼스러울 것 없는..." 목포는 당연히 알고 있던 사실들 몇가지
우선, 논란에서 거론되는 사실들은 적어도 목포에서만큼은 새삼스러운 사실도, 숨겨진 비밀도 아니라는 점이다.
더구나 손 의원의 조카로 알려진 손아무개씨는 목포지역 문화창작집단 '그라제'의 연극무대에 서는 등 활발하게 지역
활동을 하고 있다.
손씨는 목포지역 지인들을 만날 때마다 건물 구입과정과 동기, 앞으로의 계획 등을 말하며 수시로 의견을 교류했다.
논란 이후 손 의원이 밝힌 건물 구입 과정과 나전칠기박물관 건립 계획 등은 손 의원과 조카 손씨가 이미 지속적으로
밝혀온 것들과 다를 바 없다. 조카 손씨와 친분이 있는 한 지역인사는 "목포 사람이라면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사실들이 '투기' '4배 폭등' 등의 자극적인 단어와 맞물려, 전국적으로 목포가 투기의 온상이 된 것 같은 기분"이라고 말했다.
또 한 가지 팩트는 투여된 자금 규모다.
개항문화거리 인근 부동산 관계자는 "언론에서 건물 9채, 10채 말하니 도시의 빌딩 9채를 생각하는 것 같은데, 실상은 2천~3천만원의 폐가 수준의 건물들을 포함한 것"이라고 말했다. 숫자는 많지만 금액 자체는 크지 않다는 것이다.
어찌되었든 SBS의 보도로 다시 한번 전국적 관심을 끌면서 목포시민들은 복잡한 속내를 드러내놓고 있다.
마치 '목포발전을 위한 시민대토론회'가 개최된 분위기다.
식당이나 술집, 찻집에서 단연 화제는 일명 '손혜원 투기 의혹'이다.
SNS에서는 목포 사람들이 있는 곳이면 이 주제로 온통 도배되다시피 하고 있다.
▲ 16일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 측근들이 전남 목포시 근대역사문화공간 내
건물 다수를 매입해 논란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손 의원의
측근들이 건물 다수를 매입한 시점은 목포 원도심 일원의 문화재 지정 이전이다.
사진은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전경.
ⓒ 연합뉴스
|
비판론 "쇠락한 거리의 건물 사줘서 고맙다 해야 하나"
일부 시민들은 공인으로서 적절치 못했다는 의견을 내놓는다.
지난 17일 MBC 라디오에 출연한 정태관 목포문화연대 대표는 "투자보다는 근대유산 보존 방법을 마련했더라면
익명을 요구한 한 시민은 "국회의원이라는 사람이 가족과 보좌관을 동원해 10여 채를 사들인 것을 투기 아니면 뭐로
또 다른 시민은 "국회의원이라는 직위를 이용해 문화재 지정 정보를 입수한 의혹이 짙다"며 "사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하지만 다수 여론은 손 의원에게 우호적으로 쏠리는 형국이다.
옹호론 "불꺼진 거리에 한집 두집 불 밝힌 게 그리 잘못인가"
이아무개씨는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어 보이지만 오랫동안 무관심 속에 있던 그 거리가 이렇게라도 살아난다는 건
또 다른 이아무개씨는 "목포에 사는 저도 모르는 가치를 손 의원의 페이스북 활동을 보며 알게 됐는데 무조건적인 비판은 참 아쉽다"고 했다.
사진작가 박종길씨는 "꺼진 창이라는 도심의 밤거리를 걸어봤다면 사람의 흔적도 없는 상가의 퇴색한 불빛도 보았으리라, 그러한 그곳에 한집 두집 불을 밝힌 계기를 마련한 일이 왜 그리 잘못이란 말인가"라고 질타했다.
음모론도 나왔다.
하지만 손 의원 측은 "재개발 갈등이 있긴 했지만 다른 건설사"라고 해명한 바 있다.
신중한 지역전문가들 "투기 여부는 몇 년 지났을 때 판단 가능"
목포지역 주요 정치인들은 손 의원을 두둔하고 있다.
최기동 전 목포시의회 의장은 "폐허가 된 원도심 땅값이 오르고, 건물이 리모델링되고, 가게들이 들어서고, 더 많은
지역전문가들도 신중한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 목포지역 향토사학자인 목포대학교 최성환 교수는 "손 의원이 투기 목적이었다면 SNS에 공개하지 않고 은밀하게 했을 것"이라며 "투기 여부는 건물을 산 사람들이 지역에 정착해서 몇 년이
최 교수는 "개항문화거리가 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국회의원 한 명의 영향력이 아니라 역사적 가치와 함께 지역 문화예술활동가, 지역민들의 노력이 모여 가능했다"고 주장했다.
SBS 정면 반박하는 지역 언론들

▲ 투기 의혹에 휩싸인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자료사진)
ⓒ 유성호
|
한편, 지역 언론은 SBS 보도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목포MBC는 개항문화거리 일대 지역 주민들 인터뷰를 통해 여론을 전하면서 "SBS 보도에 해당 지역주민들은 사실과
이번 논란의 원인을 손 의원 특유의 스타일에서 찾는 의견도 있다. 사회단체 제3의길 주동식 대표는 "손 의원 투기 의혹의 본질은 목포의 토호세력 일부들이 자신들이 해먹을 땅에 외지 사람이 들어와 숟가락 들이댄다고 반발한 사건"으로 봤다.
그는 "손 의원의 행동은 계산적이지 않고 본인이 평소 느낀 대로 거리낌없이 내지르는 스타일에 가깝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박지원 "재산·의원직 걸 것 아니라 스스로 검찰수사 의뢰해 의혹 밝혀야"
(서울=연합뉴스) 차지연 기자 =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은 18일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 관계된 단체 등이
조사에 응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 검찰수사를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손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검찰수사를 의뢰하라는) 박지원 의원님 말씀대로 검찰수사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단, 서산온금지구 조선내화 부지 아파트 건설 관련 조합과 중흥건설이 같이 검찰조사에 응한다면"이라고
조건을 단 뒤 "SBS 취재팀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시 말해 이번 의혹을 제기한 언론사와, 의혹 제기의 배후에 있는 것으로 손 의원이 보고 있는 관련 단체들이 모두
검찰 조사에 응할 경우 수사를 의뢰할 용의가 있다는 것이다.
손 의원은 "조속히 답 주시면 바로 검찰수사를 요청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손 의원이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기 전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은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손 의원은
차명이나 투기를 했다고 하면 자기 목숨과 모든 재산권과 의원직도 걸겠다,
이렇게 강하게 나오셨는데 그러실 것이 아니라 검찰에 본인 스스로가 수사 의뢰를 해서 그 의혹을 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저는 손 의원이 문화재 특구로 발표된 이전에 부동산을 두 채 샀기 때문에 굉장히 감사하게 생각하고
그 이상은 없는 것으로 알았다"며 "그런데 지금 토지 등 20곳, 또는 15채, 16채 이렇게 있다고 하면 상당히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합목적적이라도 과정과 절차가 정당하지 않으면 있을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손 의원이 목포를 사랑해서, 문화재를 사랑해서 그런 일을 했다고 하지만 요즘 유명한 퀸(Queen)을 보면
'Too Much Love Will Kill You' 이런 노래가 있다.
'너무 사랑하면 당신을 죽이게 된다',
그래서 여기에 참 적당한 구절이라는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charg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뉴시스
▲ ⓒ데일리안 DB
서로 일면식 없는 20대 초반의 젊은이 3명의 공동명의 구입 왜?
박물관 하려면 땅이 500평(1653㎡)은 있어야…한필지 아닌 흩어져 있어 왜?
개발, 사유재산권 행사 등 제한…목포시, 투기대책 마련에 고심 왜?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 측이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일대에 매입한 부동산 규모가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면서 의혹도 일파만파(一波萬波)로 커지고 있다.
손 의원은 목숨·전재산·의원직을 걸고 강력 부인하지만 날마다 터져나오는 새로운 팩트에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언론 보도로 처음 알려졌을 때 건물만 9채였는데 문화재청이 지난해 8월 관보에 등록한 근대역사문화공간 필지 현황과 등기부등본을 확인한 전체 부동산 602곳 중 손 의원 측이 매입한 부동산이 건물 17채, 땅이 3곳으로 밝혀진 것이다.
이와 같은 손 의원 측의 부동산 매입을 과연 어떻게 봐야 하는가?
본인의 해명과 민주당의 판단처럼 사재까지 털어 목포 근대 문화재 보존과 구도심 재생을 위해 노력한 순수한 의도로 봐야 하는가?
아니면 국회의원으로 이해충돌의 부적절한 상황에서 직접 부동산 매입에 나선 전형적인 투기로 봐야 하는가?
필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손 의원 의도의 순수성을 의심한다. 필자가 비록 목숨·전재산·변호사직을 걸 순 없지만
손 의원의 부동산 매입은 전형적인 투기로 판단한다.
첫째, 손 의원이 사재를 털어 희생하려고 했다면 왜 근대역사문화공간에서도 가장 투자 가치가 높은 '일본식 가옥
(적산가옥)'만 집중 매입한 것이냐 하는 점이다.
지난해 8월 만호동과 유달동 일대 11만4038㎡에 지정된 근대역사문화공간 내에는 300채의 건물이 있는데, 이 중 일본식 가옥은 100여채다.
그런데 손 의원 측이 2017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집중 매입한 10여채는 대부분 1930∼1945년에 지어진 일본식 목조
건물이다.
"목포에 처음 갔을 때 어린 시절 살던 (서울) 명동에 있던 적산가옥이 생각났고, 이 동네는 보물이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1~2년 뒤엔 목포 구도심이 엄청난 관광지가 될 것이다."
손 의원의 해명처럼 적산가옥은 식민지 조선의 아픔이 깃든 곳으로 가장 좋은 곳에 위치하여 보물중의 보물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보물은 손 의원이 먼저 싹쓸이하고 나머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투자하라고 홍보하는 것이 과연 순수한 의도인가?
사재를 털어 희생한다면서 왜 가장 투자가치가 높은 노른자위 땅만 골라 매입하였는가?
대부분의 부동산 투자는 몇년 후를 보고 장기투자를 하는데 1~2년 뒤엔 목포 구도심이 엄청난 관광지가 될 것이라는
판단 자체가 투기 의도가 아닌가?
손 의원은 누가 부동산 투기를 SNS를 통해 공개적으로 하느냐는 강변에 앞서 위의 의혹에 대해 먼저 진솔한 해명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실거주 목적이라면 게스트하우스로 사용하는 창성장과 또 다른 건물 한채를 왜 서로 일면식도 없는 20대 초반의 젊은이 3명의 공동명의로 구입했느냐의 점이다.
군대에 있는 손 의원의 조카, 손 의원 보좌관의 딸과 손 의원 남편이 대표로 있는 문화재단 이사의 딸이 어떻게 한 건물에 실제 거주할 수 있는가?
부동산 투기와 실거주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의 하나가 바로 단독명의냐 공동명의냐의 구분이다.
공동명의의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실거주보다 시세차익을 노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국민들은 '다스'의 실소유자가 누구인가 보다 '창성장'의 실소유자가 누구인지에 대해 더 큰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손 의원은 서로 일면식도 없고, 직접 투자할 돈도 없고, 경영에 관여할 의사나 능력도 없고, 목포에 내려가 같이 살 의사도 없는 위 3명의 젊은이가 어떻게 공동명의로 건물을 매입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그 경위를 소상히 밝혀야 할 것이다.
셋째, 손 의원은 남편이 이사장으로 있는 문화재단이 목표에서 건물을 사들인 이유에 대해 "박물관을 하려고 했다.
박물관을 하려면 땅이 500평(1653㎡)은 있어야 한다.
지금 확보한 게 250평(826㎡)쯤 된다"고 했는데 이 땅들이 과연 한필지로 붙어 있냐는 점이다. 만약 박물관을 하려는 땅이 곳곳에 흩어져 있다면 사실상 불가능하지 않은가?
한편 손 의원이 문화재단은 사익추구가 불가능함으로 투기가 될 수 없다는 주장도 내로남불의 전형이다. 과거 손 의원은 미르·K스포츠 재단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퇴임 후 돈을 빼내려고 만든 것”이라고 맹비난한 장본인인데 남편
재단에 넣은 재산은 도로 가져갈 수 없다는 것이 말이 되는가?
마지막으로, 손 의원은 문화재로 지정되면 개발, 사유재산권 행사 등이 제한돼 시세차익을 얻을 수 없다고 강변하는데 그렇다면 왜 목포시에서 투기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냐는 점이다.
목포시 관계자에 의하면 “문화재 등록을 준비할 때부터 부동산 상승, 투기자본의 유입 등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내부적인 고민이 있었다”면서 이와 관련한 대책으로 “부동산 거래 과열 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거나 투기목적으로 판단되면 지원을 배제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손 의원의 해명과 정반대의 설명이 아닌가?
'지정 문화재'와 달리 '등록 문화재' 지역 건물은 매매에 제약이 없고 카페 같은 상업적 이용도 가능해 건물값이 뛰는 게 일반적이며, 실제로 문화재 등록 이후 이 지역 건물 호가는 2배 이상 뛰었다는 것이 현지 부동산 전문가들의 확인인
바 손 의원은 더 이상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 오만으로 국민들을 속이려 해선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손 의원 해명의 의혹에 대해 몇가지 살펴보았는데 그럼에도 손 의원은 역시 정치인답게 전재산과 의원직,
목숨까지 건다는 공약(空約)으로 끝까지 억울함을 호소하며 오히려 적반하장으로 자신을 비판하는 사람들에게도
전재산과 목숨을 걸라고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손 의원의 재산은 대부분 재단과 조카 명의로 이전되었기 때문에 걸 실익이 없고, 목숨은 과거
신재민 사무관에 대한 비판처럼 결단의 용기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역시 사안의 경중상 걸 필요가 없고, 의원직도 어짜피 이번 임기가 마지막이기 때문에 실익이 없다.
결국 손 의원은 무책임하고 지킬 수 없는 불가능한 약속만 할 것이 아니라 좀 더 증거와 팩트에 입각한 진솔한 해명을 해야 한다.
견강부회(牽强附會)의 궤변이 아니라 국민의 눈높이와 상식에 맞는 합리적인 해명을 해야 한다.
투기 의혹뿐만 아니라 국립박물관에 특정 학예연구사의 인사 교류를 지속해서 압박했다고 하는 새로운 의혹에 대해서도 성실하게 해명해야 한다.
강하게 부정하는 사안일수록 대부분 진실로 밝혀졌다는 것이 역사가 보여주는 진리다.
검찰과 국회 윤리위의 철저한 수사와 조사가 필요한 이유다.
글/서정욱 변호사
(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지인 아들 재판 청탁 의혹을 받고 있는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과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내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 문이 닫혀
있거나 직원들만 의원실을 지키고 있다.
2019.1.17/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웨이, 세계 절반이 등을 돌리다 (0) | 2019.01.19 |
---|---|
백악관 "북미 2차정상회담 2월 말께 열릴 것…장소 추후 발표" (0) | 2019.01.19 |
'빙상계 적폐 청산 1순위' 전명규의 끈질긴 생명력 (0) | 2019.01.18 |
미세먼지 마스크의 불편한 진실 (0) | 2019.01.17 |
페널티킥 얻고 추가골 어시, 손흥민 합류 덕에 중국전 '완승' (0) | 2019.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