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성호 기자
추징금 미납’ 전두환 연희동 자택 51억3천700만원에 낙찰
(서울=연합뉴스) 한혜원 김계연 기자 = 미납 추징금 환수를 위해 공매에 부쳐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이 6번째 공매 끝에 낙찰됐다.
낙찰가는 51억3천700만원.
21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따르면 지난 18∼20일 진행된 전 전 대통령 자택의 6차 공매에서 낙찰자가 나왔다.
공매 대상은 연희동 95-4, 95-5, 95-45, 95-46 등 토지 4개 필지와 주택·건물 2건 등 모두 6건이다.
추징금 미납' 전두환 연희동 자택 51억3천700만원에 낙찰(서울=연합뉴스) 미납 추징금 환수를 위해 공매에 부쳐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이 6번째 공매 끝에 21일 오전 51억3천700만원에 낙찰됐다.
2019.3.21 [연합뉴스 자료사진] hkmpooh@yna.co.kr
이 물건의 최초 감정가는 102억3천286만원에 달했으나 유찰되면서 감정가의 10%인 10억2천328만6천원씩 낮은 가격
으로 다음 공매가 진행됐다.
이번 6차 공매는 최초 감정가의 반값인 51억1천643만원에 시작했다.
시작가격보다 0.4% 높은 값을 부른 유효 입찰자 1명이 물건을 낙찰받았다.
이 물건은 전씨 부인 이순자씨와 며느리, 전 비서관 등 3명이 소유자로 올라 있어 낙찰돼도 명도가 쉽지 않은 점이 처음부터 단점으로 꼽혔다.
게다가 이씨 등이 캠코를 상대로 공매 처분을 취소해달라며 지난달 서울행정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집행정지를 신청해 더 복잡해졌다.
캠코에 공매 의뢰된 물건들은 6차 공매까지 낙찰자가 나오지 않으면 공매 절차를 끝내며 물건 처리 방침은 다시 처음에 공매를 위임했던 기관으로 넘어간다.
전씨 자택 공매는 1∼5차 공매를 통틀어 무효 입찰자 4명만 나오는 등 관심이 떨어지자 결국 6차 공매도 유찰돼 검찰로 넘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짙었다. 그러나 마지막 공매에서 다른 결과가 나왔다.
전두환 자택 공매 낙찰
(PG)[장현경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낙찰자가 누구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캠코 측은 "낙찰자 정보는 개인정보로 공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달 25일 매각결정이 이뤄지고 다음 달 24일까지 대금이 모두 납부되면 캠코 공매 절차는 완료된다.
매각대금은 추징금과 체납세금 등으로 배분될 전망이다.
전씨는 1997년 대법원이 무기징역과 함께 확정한 추징금 2천205억원 가운데 46.7%에 달하는 1천30억원을 아직
내지 않았다.
세금 역시 국세 30억9천900만원, 지방세 9억9천200만원을 체납했다.
다만 전씨 측이 자택 공매 처분을 취소하라며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여서 판결에 따라 추징금 추가 환수가 다소
지연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전씨 측은 '제3자'인 부인 명의 재산에 대한 추징금 집행이 위법하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연희동 자택이 전씨의 차명
재산이므로 환수대상에 해당한다는 입장이다.
전씨는 공매 처분에 대한 집행정지도 신청했다.
법원은 지난달 27일 집행정지 사건의 심문 기일을 열었지만, 결정은 이날까지 내리지 않았다.
hye1@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영종도=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미납 추징금 환수를 위해 공매에 부쳐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이 여섯 번째 공매 끝에 낙찰됐다.
사진은 21일 전두환 전 대통령 자택 모습. 2019.3.21

사진=연합뉴스 제공

전두환 전 대통령의 2015년 모습. 오른쪽 사진은 전 전 대통령 연희동 자택의 모습.
권유진 기자.
이 때문에 낙찰자가 잔금을 납부해도 실제 재산권 행사는 마땅치 않을 가능성이 크다.
헌재 관계자는 “아직 심리 중이라 언제 결정이 내려질 지는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라 말했다.

전두환(사진 오른쪽) 전 대통령의 연희동 자택 전경.
연합뉴스
![연희동 자택 나서는 전두환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3/21/a647fab9-0718-4934-a81d-ac1e60323c40.jpg)
연희동 자택 나서는 전두환
[연합뉴스]
[출처: 중앙일보] 전두환 자택 51억 팔렸지만…
21일 검찰에 따르면 다음주 안에 공매 위탁기관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매각 허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해당 조항은 2013년 입법 당시부터 국회에서 위헌성 논란이 일었다.
판사 출신 이현곤 변호사는 “법원에서 연희동 자택이 추징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전두환 추징법에 대해 위헌
박사라ㆍ박태인 기자 park.sara@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새 주인 찾은 전두환 연희동 자택… 추징금 납부로 이어질지는 불투명
6번 공매 끝 51억3700만원에 낙찰…
전씨측 ‘취소·무효 소송’ 결과 주목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지난 18~20일 진행된 전 전 대통령 자택의 6차 공매에서 낙찰자가 나왔다고 21일 밝혔다.
이 부동산은 2013년 9월 서울중앙지검 외사부가 압류 조치한 것이었다.
이 부동산에 전 전 대통령의 명의는 없다.
부인 이순자씨는 지난달 캠코를 상대로 공매처분 취소 소송을, 며느리 이윤혜씨는 지난해 10월 국가를 상대로 압류처분 무효 소송을 제기했다.
캠코는 “소송 결과에 따라 공매처분 정지 및 매각처분 취소가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경원 조민영 기자 neosarim@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재산권 행사 힘든 51억 전두환 자택 누가 샀나
‘5전 6기’ 끝에 공매 낙찰된 전두환 전 대통령 연희동 자택을 과연 누가 매입했을지 세간의 이목이 집중된다.
21일 법원경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18~20일 진행된 전씨 자택에 대한 6차 공매 입찰 결과 최저가인 51억1643만원보다 0.4% 높은 51억3700만원을 제시한 응찰자가 나왔다.
이 주택은 최초 감정가 102억3285만원의 절반 수준에 팔렸지만, 재산권 행사에 제약이 많은 물건이다.
현 소유주인 전씨 부인 이순자씨와 며느리, 전 비서관 등 3명은 지난달 법원에 공매 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했다.
이와 별개로 낙찰자는 별도 명도소송을 진행해야 하는데 최소 1년 이상 걸릴 전망이다.
매입 후 개발 가치도 낮다. 전씨 주택은 4개 필지를 합해 총 1652㎡(약 500평) 규모인데 1종 전용주거지역으로 최대 2층까지 높이 8m 이하 단독주택이나 다가구주택만 신축할 수 있다.
상가와 주택이 결합된 근린생활시설을 지을 수 있지만 용도는 휴게음식점, 카페 등으로 제한되며 사무실로도 쓸 수
없다.
사실상 실거주 목적 외에는 활용이 어렵다는 의미다.
때문에 전씨 주택은 지난 1~5차 공매를 통틀어 무효 입찰자만 4명 나오는 등 관심이 떨어지는 매물이었다.
만약 이번에도 낙찰자가 나오지 않으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위탁 공매 절차가 종료되고 추징금 환수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마지막 6차 공매에서 최저가보다 높은 유효 응찰자가 나왔다.
업계에서도 이번 결과가 의외라는 반응이다.
장근석 지지옥선 팀장은 "명도 부담에다
예상치 못한 소송까지 제기된 공매 물건이 매각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만약 낙찰자가 대출을 받아 잔금을 납부한다면 매매, 임대 등 재산권 행사가 가능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자금 압박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연희동 자택 전경.
/사진제공=뉴스1
입찰자가 중도에 입찰을 포기하면 이미 낸 계약금 10%(5억1000만원)은 캠코로 자동 귀속된다.
이는 그만큼 인수 의향이 강력하다는 반증이다. 캠코는 내부 심의를 거쳐 다음주 중 정식 입찰자에 대한 정식 매각
여부를 결론낼 것으로 보인다.
법원 현장에서 진행되는 경매와 달리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공매는 입찰자 개인정보가 공개되지 않는다. 캠코 측도 구체적인 입찰자 정보 제공에는 난색을 표한다.
이에 업계 안팎에선 베일에 싸인 입찰자가 누구인지 다양한 관측이 제기된다.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시나리오는 전씨 지인이나 가족 등 친인척이 매입할 가능성이다.
전씨와 부인 이씨가 고령의 나이에 강제퇴거되는 수모를 겪지 않도록 주변에서 자금력이 있는 사람이 도울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지난 2003년 전씨 자택 별채 경매에선 전씨 처남이 매입했고, 이를 며느리가 다시 인수했다.
하지만 필요한 자금 규모가 상당하고 불법증여 문제 등으로 검찰과 국세청의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어 이번에는 주변
지인이 나서기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전씨와 아무런 연고가 없는 자산가가 매입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지난 3월 11일 전두환 전대통령이 퇴임 후 32년 만에 사자명예훼손 혐의로 광주지법에서첫 심리가 열렸다. 검사는 광주에서 분명 헬기사격이 있었고, 그 헬기사격은 전일빌딩에서 있었다고 주장한 모양이다. 검사는 또 미대사관 극비정보에 ‘헬기사격이 있었다.’는 확실한 증거가 담겨 있다고도 주장한 모양이다. 설사 다른 곳에서 헬기사격이 있었다 해도 그것은 조비오 신부가 보았다고 주장한 5월 27일에 발생한 것은 아니다. 다른 지역에서 발생했다는 헬기사격은 조비오신부의 증언과는 무관한 것들이다.” 이런 요지로 진술한 모양이다. 헬기 사격이 있었는지 없었는지의 쟁점에 대하여 가장 중요한 증언자는 당시 출동했던 육군 31·61항공단 소속 헬기 조종사들이다. 이들은 지난 30여 년간 일관되게 한 사람의 예외도 없이 “무장한 채 출동했지만 한 번도 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정치보복이라는 비판 또한 강하다. 물론 12.12사태의 책임이 있고, 비자금 모집의 과오가 있다. 전두환 전대통령 집권기를 살펴보자. 6.29 선언을 통하여 우리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흐름을 수용하였을 뿐 아니라, 建國 이후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 하여, 민주국가의 든든한 버팀목인 중산층을 육성한 공이 더 크다. 또한 튼튼한 경제를 바탕으로 직선제 개헌과 평화적 정권 교대가 이뤄졌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추진한 경제적 성공과 튼튼한 국가안보, 그리고 단임을 실천하고, 6.29 민주화 선언(직선제 개헌이 핵심)과 서울올림픽 성공을 반드시 상기 할 필요가 있다. 가를 우리 스스로 자문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두환 전 대통령을 독재자로 볼 수 없다. 하였다. 당시 일본도 호황이었지만 우리 대한민국은 성장률에서 세계 최고였다. 그 여세를 몰아 우리 대한민국은 구매력 기준으로 일본의 1인당 국민소득을 능가하였다. 전두환 전대통령은 역사상 國富(국부)를 가장 많이 키워 한일 간의 격차를 줄인 통치자였다. 이 기간 국민소득은 2.3배로 늘었고 무역적자 구조는 무역흑자로 바뀌었다. 두 자리 수의 물가상승률은 2%대로 안정되었다. 외채도 크게 줄었고 국민저축률은 일본을 앞서는 세계최고 수준에 달했다. 1980년대 전두환 정부는 통신망 설치와 전자산업 육성을 국책사업으로 추진하여 1990년대 이후 한국이 세계적 인터넷 -전자산업 강국으로 도약하는 조건을 만들었다.
이룩함으로써, 전두환 전 대통령이 경제에 성공했다는 것을 부인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정치는 상당부분 경제를 관리하는 기술이다. 경제에 성공했다는 것은 정치도 실패하지 않았다는 반증이다. 정부도 전두환 정부이다. 국가안보에 있어서도 대북 우위를 확실하게 확보했다.
가를 우리 스스로 자문할 필요가 있다. 물론 5.18 광주 사태 시의 군 발포는 전두환 장군과는 관련이 없다. 발포 명령 자체가 없었다. 위험을 느낀 군인들의 자위적 발포가 시작이었을 뿐이다. 이다. 평화적 정권교체의 역사가 그 나라의 민주주의 성숙도 지표이다. 정권교체는 옛날엔 전쟁이나 암살, 쿠데타를 통해서 이뤄지는 것이 정상이었지만, 민주주의 시대엔 선거가 이를 대신한다. 그만큼 선거는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우리 대한민국은 1988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퇴임을 통해 정권교체의 전통이 시작되었다. 불행하게도 북한과 중국은 아직도 정권교체의 꿈을 꿀 수 없는 곳이다. 없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대한민국은 선동세력이 강하고 국민들의 교양이 약해 국론이 분열되고, 국가안보는 북한의 대남적화노선과 북핵 위기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나아가 이를 국민 모두가 소중히 가꿔나가야 할 것이다.
대경일보 webmaster@dkilbo.com <저작권자 © 대경일보, |

지영의 기자 ysyu1015@kukinews.com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압박, 한국 경고, 중국 부담.. '3중 포석' 노린 미국 (0) | 2019.03.23 |
---|---|
버닝썬 게이트 정준영 구속-승리 4차 경찰조사-최종훈 FNC 퇴출…'승리제국' 몰락 (0) | 2019.03.22 |
"이부진 프로포폴 투약 의혹 확인 중"..."불법투약 사실 아냐" (0) | 2019.03.21 |
항지진…조급한 정치적 사업추진이 빚은 인재(人災) (0) | 2019.03.21 |
주총 앞두고 전운 감도는 한진그룹…위임장 확보등 총력전 (0) | 2019.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