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과 시사

태풍 '미탁', '타파'와 세력 비슷..2일 상륙, 3일까지 전국 영향

   


associate_pic
  

【울산=뉴시스】박수지 기자 = 30일 울산지역은 구름 많다가 오후부터 비가 내릴 전망이다.



parksj@newsis.com








(기상청 제공) © 뉴스1




태풍 '미탁', '타파'와 세력 비슷..2일 상륙, 3일까지 전국 영향



강한 중형급 태풍으로 발달..제주 산간 최고 600mm 비
전국 매우 강한 바람..전해상 최대 9m 이상 높은 파도



(서울=뉴스1) 김도용 기자 = 제18호 태풍 '미탁(Mitag)'이 오는 10월 2일 전남 해안을 통해 상륙, 개천절인 3일까지

 전국에 많은 비가 내리고 강한 바람이 불겠다. 전해상에는 높은 파도가 일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미탁은 29일 오후 3시 강도 중(중심기압 980hpa(헥토파스칼), 풍속 초속 29m) 크기 소형(강풍반경

 290㎞)의 세력을 유지하며,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720km 부근 해상에서 시속 21㎞의 속도로 북북서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탁은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 30일 오후에 대만 동쪽해상까지 북상하겠다.

10월 1일 오후에는 중국 상해 동쪽해상을 지나면서 북동쪽으로 진행방향을 틀어 점차 우리나라를 향해 올라오겠다.

이후 미탁은 2일 오후 제주도 서쪽해상을 지나 오후 늦게 전남해안으로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탁은 점차 북동진, 남부지방을 지나 3일에 동해상으로 진출하겠다.


기상청은 "미탁은 29도 이상의 해수면 온도가 높은 해상에서 발생, 앞으로 강한 중형급 태풍으로 발달하겠고, 제주도

 남쪽 해상으로 접근할 때까지도 강도를 유지, 제 17호 태풍 '타파'와 비슷한 세력을 보이겠다.

또한 우리나라 남부지방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 돼 전국이 강한 비바람의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미탁이 우리나라에 접근하면서 30일 오후에 남해안, 제주도를 시작해 10월 1일 오전에는 남부지방, 2일 오전에는 전국에 비가 내리겠다. 미탁이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면서 3일 오후 늦게서야 서쪽지방부터 비가 그치기 시작하겠다.

미탁이 한반도 접근하기 전인 30일 오후와 10월 1일은 태풍으로부터 강하게 유입되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기존에

우리나라에 머물던 찬공기를 타고 상승, 비구름대가 만들어져 제주도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리겠다.


이후 2~3일은 태풍에 동반된 강한 비구름대 영향으로 제주도, 지리산 부근, 동해안을 중심으로 30~50㎜ 이상의 매우 강한 비가 오겠다.

제주도 산지는 최대 600㎜, 지리산 부근을 중심으로는 초대 400㎜ 이상의 매우 많은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미탁은 강한 바람도 몰고 오겠다.

이번 태풍의 영향을 받는 1~3일까지 제주도와 남해안, 서해안을 중심으로 최대순간풍속이 초속 40~50m 이상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겠다.


그 밖의 지역에서도 강한 바람이 불겠으니 건물·공사현장 등에서의 시설물 피해 및 안전사고, 가을철 수확기 농작물

피해 및 낙과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30일 오후 제주도 남쪽 먼바다를 시작으로 1일은 제주도 전해상과 남해상, 서해 남부 해상까지, 2~3일은 전해상에 매우 강한 바람과 함께 최대 7~9m 이상의 매우 높은 파도가 일겠다.


특히 10월 2일까지는 바닷물 높이가 높은 기간이며, 2일 새벽은 만조시간까지 겹치는 시기로, 태풍의 영향으로 물결이 높아지는 시기와 겹치기 때문에 서해안과 남해안을 중심으로는 높은 물결이 방파제를 넘을 가능성이 매우 높겠다.


기상청 관계자는 "현재 태풍의 경로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서쪽 가장자리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져 가장자리가 서쪽으로 더욱 확장할 경우, 태풍의 이동경로가 다소 서쪽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로 인해 태풍 상륙지점이 서해안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며, 중부지방의 예상 태풍 영향강도가 더욱 강해질 가능성이 있겠다"고 밝혔다.




dyk0609@news1.kr






기상청제공



북태평양고기압 탓에 한반도로 오는 ‘태풍 길’이 뚫려 있다


태풍 또 온다, 60년 만에 7개째





태풍이 또 한반도를 향해 다가오고 있다. 기상청은 제18호 태풍 ‘미탁’이 다음 달 2일 밤 전남에 상륙할 것이라고 29일 예보했다.
미탁이 예측대로 북상하면 올 들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태풍은 모두 7개가 된다.

 태풍 관측 이래 가장 많은 태풍이 영향을 미친 1959년과 그 숫자가 같게 된다. 미탁이 물러간 이후에도 또 다른 태풍이 한반도로 올 수 있어 기록을 경신할 가능성도 있다.
기상 전문가들은 올해 유독 한반도에 태풍이 많이 찾아오는 이유로 일본 규슈 인근 해상에 있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존재를 들었다.

태풍은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는 특성을 지니는데, 규슈 인근 해상의 북태평양고기압이 10월이
다가오는데도 세력을 수축하지 않아 일본이나 태평양으로 이동해야 할 태풍이 한반도로 향한다는 것이다. ‘한반도로
 오는 태풍 길이 뚫려 있다’는 의미다.

문일주 제주대 태풍연구센터장은 “올해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 큰 특징은 쉽게 커지지도 작아지지도 않는 것”이라며 “가을이 되어서도 크게 수축하지 않아 태풍을 한반도 방향으로 유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은 “북태평양고기압은 10년을 주기로 세력을 오랫동안 유지하는데 작년과 올해가 주기에 포함되는 기간”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지구온난화로 인한 바닷물의 온도 상승이 태풍의 발생과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태풍이 발생하는 필리핀 해상의 수온은 가을이 다가왔는데도 낮아지지 않고 있다.

 반 센터장은 “수온이 10월이 다가오면 낮아져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 세계 다른 지역에서도 열대 저기압이 더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 센터장은 “높아진 수온은 태풍의 강도를 더 세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했다.

태풍 미탁은 29일 오후 3시 현재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720㎞ 부근 해상에서 한반도를 향해 시속 21㎞의 속도로
 접근 중이다.
미탁은 대만 해상에서 세력을 급격히 부풀린 이후 늦어도 다음 달 2일 제주도를 시작해 한반도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겠다.

 기상청은 북태평양고기압이 이번 주 오히려 세력을 확장하면서 미탁이 한반도 중심부를 관통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호남과 영남 충청 강원남부에 강풍과 함께 많은 비가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태풍 링링이 지나갔을 때 강풍 피해가 컸던 만큼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










▲2019년 9월 29일 10시 40분 위성사진. ⓒ기상청 

  



태풍 '미탁' 수요일 남부 관통…제주 600㎜ 물폭탄


현재 소형 태풍→제주 접근땐 '타파'와 비슷 
오는 30일부터 제주·남해안서 강한 비 바람 
600㎜ 이상 비…7~9m 이상 높은 파도 동반


【서울=뉴시스】이창환 기자 = 필리핀 인근에서 발생한 제18호 태풍 '미탁'(MITAG)이 내주 한반도에 상륙할 전망이다.
29일 기상청에 따르면 미탁은 이날 오후 3시 기준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720㎞ 부근 해상에서 시속 21㎞ 속도로
북북서진하고 있다. 현재 중심기압 980hPa·풍속 29m/s의 소형 태풍 미탁은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며 세력을 유지하고 있다.

기상청은 미탁이 오는 30일 오후 대만 동쪽해상까지 북상한 뒤 10월1일 오후 상해 동쪽 해상을 지날 것으로 관측했다. 점차 북동쪽으로 진행방향을 틀어 한반도를 향해 북상해 내달 2일 낮 제주도 서쪽해상을 지날 것이라는 게 기상청의
설명이다.

태풍 미탁은 같은 날 오후께 전남해안으로 상륙, 점차 북동진하면서 이튿날 동해상으로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미탁이 내달 1일까지 27도 이상의 높은 해수구역을 지나기 때문에 추후 강한 중형급 태풍으로 발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때문에 제주도 남쪽해상으로 접근할 때까지 강도를 유지하면서 제17호 태풍 '타파'와 비슷한 세력을
보일 것이라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오는 30일 오후부터 남해안과 제주도, 10월1일 새벽부터는 남부지방에 비가 내리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튿날인 2일 오전부터는 전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 비는 태풍이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는 3일 밤부터 4일 오전께 그치겠다. 이 기간 전국이 강한 비바람의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태풍에 동반된 비구름대의 영향으로 오는 2~3일 제주도·지리산 부근·동해안을 중심으로 시간당 30~50㎜
이상의 매우 강한 비가 내리겠다"며 "제주도산지엔 최대 600㎜, 지리산 부근엔 400㎜ 이상의 비가 내릴 것"이라고
예보했다.

아울러 태풍의 영향을 받는 내달 1~3일까지 제주도와 남해안, 서해안을 중심으로 최대 순간풍속이 시속 144~180㎞
초속 40~50m) 이상에 달하는 매우 강한 바람이 불 것이라고 기상청은 전했다. 
기상청은 오는 30일부터 내달 3일까지 전해상에 7~9m 이상의 매우 높은 파도가 일 것으로 예상돼 풍랑·월파에 주의하라고 당부했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미탁의 상륙 예상 지점이 서쪽으로 옮겨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기상청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강해져 가장자리가 서쪽으로 더욱 확장할 경우, 미탁의 이동경로가 다소 서쪽으로 변경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중부지방에 예상되는 태풍의 영향강도가 더욱 강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23일 태풍 ‘타파’의 영향으로 명승으로 지정된 거창 수승대에서는 강쪽으로 난 소나무 두 그루가 위태롭게 넘어졌다. /연합뉴스

지난 23일 태풍 ‘타파’의 영향으로 명승으로 지정된 거창 수승대에서는 강쪽으로 난
소나무 두 그루가 위태롭게 넘어졌다.

 /연합뉴스






태풍 ‘미탁’ 북상에 제주·남해안 ‘비소식’…수도권 미세먼지 ‘나쁨’



월요일인 30일 제18호 태풍 '미탁(MITAG)'의 영향으로 제주와 남해안에 비가 오겠다.
미탁이 현재와 같은 경로로움직일 경우 다음달 2일 전라 지역에 상륙할 전망이다.

29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미탁은 오후 3시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720㎞ 부근 해상에서 시속 21㎞ 북상 중이다.
 중심기압은 980헥토파스칼(hPa), 중심 부근 최대풍속은 시속 104㎞다. 현재 강풍 반경은 290㎞로 중간 강도의 소형
태풍이지만, 대만 동쪽 해상을 지나는 30일 오후 강풍 반경 340㎞의 강한 중형 태풍이 될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태풍 미탁이 현재 경로대로 이동하면 다음달 2일 오전 제주 서쪽 바다를 지나, 오후 3시쯤 전남 폭포 남서쪽
약 150㎞ 떨어진 해상으로 접근할 전망이다. 그대로 호남 지역에 상륙하면 이른바 '위험 반원'에 해당하는 태풍 진로의 오른쪽에 해당하는 전라·경상 지역이 비바람에 의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겠다.




associate_pic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30일 부산지역은 구름 많다가 오후부터 비가 내릴 전망이다.
                    

오는 30일 오전부터 밤까지 제주에는 20㎜~60㎜의 비가 내리겠고, 남해안에도 5㎜~30㎜의 비가 오겠다.
기상청 관계자는 "제주와 남해안에는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를 동방한 시간당 20㎜ 이상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며 "안전 사고가 없도록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30일 기온은 평년보다 2~4도 정도 높겠다. 기온은 평년보다 2~4도 정도 높겠다.
주요 지역의 오전 기온은 △서울 17도 △인천 18도 △수원 16도 △춘천 14도 △강릉 18도 △청주 16도 △대전 16도
 △전주 18도 △광주광역시 19도 △대구 19도 △부산 21도 △제주 22도 등으로 예상됐다.

오후 기온은 △서울 28도 △인천 25도 △수원 28도 △춘천 28도 △강릉 28도 △청주 28도 △대전 28도 △전주
29도
 △광주광역시 29도 △대구 29도 △부산 27도 △제주 26도 등으로 예보됐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는 서울과 인천·경기 남부·충남은 '나쁨' 수준으로, 나머지 지역은
 '좋음'~'보통' 수준으로 예상됐다. 오존 농도 역시 인천과 경기·충북·충남·전북은 '나쁨' 수준을 보이겠고, 나머지 지역은 '좋음'~'보통' 수준일 것으로 예상됐다.




       









김정훈 기상전문기자 kspa@ksp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