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콩=뉴스1) 이재명 기자 =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후 홍콩 주룽 공원 수영장 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관계자들이 개표 작업을 하고 있다. 2019.11.25/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
연합뉴스
[출처] - 국민일보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후 홍콩 사우스 호라이즌스 커뮤니티센터에 설치된
투표소 인근에서 시민들이 투표를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홍콩 구의원 선거가 치러지는 24일(현지시간) 시민들이 투표를 하기 위해 투표소 앞에
길게 줄 서 있는 모습.
2019.11.24. [사진= 로이터 뉴스핌]
홍콩선거 범민주 압승·친중파 참패..'사상 첫 과반
사상 최대 294만명 투표 참여..역대 최고 71% 투표율 기록
유학생 귀국해 투표하는 등 젊은 층 참여가 승리 원동력
친중파 진영 참패로 수세 몰리던 시위 동력 살아날 듯
(홍콩=연합뉴스) 안승섭 특파원 = 홍콩의 민주화 요구 시위가 6개월째 접어든 가운데 홍콩 범민주 진영이 향후 시위의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여겨졌던 24일 구의원 선거에서 압승을 거뒀다.
2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홍콩 범민주 진영은 전날 치러진 구의원 선거에서 전체 452석 가운데 오전 6시(현지시각) 현재 개표 결과 무려 201석을 차지했다.
친중파 진영은 고작 28석에 그쳤으며, 중도파가 12석을 차지했다.
나머지 211석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에 따라 범민주 진영은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사상 최초 과반 의석을 눈앞에 두고 있다.
홍콩 내 친중파 정당 중 최대 세력을 자랑하는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은 오전 5시 30분 현재 개표 결과가 나온 후보자 중 21명이 승리를 거뒀지만, 156명이 패배를 당해 참패를 면치 못했다.
반면에 범민주 진영인 공민당은 전체 36명 후보 중 32명이 승리를 거뒀으며, 노동당은 7명 후보자 전원이 승리를
거뒀다.
오전 6시 현재 범민주 진영은 웡타이신, 췬완, 완차이, 중서구, 남구 등 5개 구에서 이미 과반 의석을 차지했다.
홍
콩의 대규모 시위를 주도해 온 재야단체인 민간인권진선의 지미 샴 대표도 샤틴구 렉웬 선거구에서 당선됐다.
현재 홍콩의 구의원은 민건련이 115명을 거느린 것을 비롯해 친중파 진영은 327석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18개 구의회 모두를 친중파 진영이 지배하고 있다.
반면 범민주 진영은 118석으로 친중파 진영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민주당이 37명으로 가장 많은 구의원을 거느리고 있으며, 다음으로 신민주동맹(Neo Democrats)이 13석을 보유
하고 있다.
홍콩 구의원 선거 개표작업 하는 관계자들 (홍콩=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후 홍콩 구룡공원 수영장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관계자들이
개표작업을 하고 있다.
2019.11.25 yatoya@yna.co.kr
범민주 진영이 압승을 거둘 수 있었던 원동력은 현 정부를 심판하는 젊은 층의 적극적인 선거 참여라고 할 수 있다.
홍콩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총 294만여명의 유권자가 투표했다.
이는 앞서 가장 많은 220만여명의 시민이 참여했던 2016년 입법회 의원(국회의원) 선거 때보다 훨씬 많은 숫자다.
최종 투표율도 71.2%로 4년 전 구의원 선거 때의 47.0%보다 훨씬 높았다.
앞서 이날 선거를 위해 등록한 유권자는 413만명으로, 지난 2015년 369만명보다 크게 늘었다.
특히 18∼35세 젊은 층 유권자가 12.3% 늘어 연령대별로 최대 증가 폭을 보였는데, 진보적 성향의 젊은 층 유권자가
많이 늘어난 것은 범민주 진영에 결정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선거를 위해 해외 유학생마저 귀국해 투표하는 등 젊은 층은 적극적인 선거 참여 의지를 보였다.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함에 찰의 강경 진압으로 수세에 몰렸던 홍콩 시위대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당장 범민주 진영의 공민당은 승리를 거둔 32명 구의원 후보자 전원이 현재 경찰의 원천 봉쇄를 당하고 있는 홍콩
이공대로 달려가 교내에 남아 있는 시위대를 격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 행정 수반인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은 이번 선거에서 친중파 진영이 참패함에 따라 지금껏 강경 대응으로
일관했던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대응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ssahn@yna.co.kr
(홍콩=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후 홍콩 구룡공원
수영장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한 참관인이 휴대폰으로 개표작업을 촬영하고 있다.
2019.11.25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코즈웨이베이 커뮤니티센터에 설치된 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하기 위해 줄지어 서 있다. 홍콩 시민들은 이날 선거를 통해 18개 선거구에서 구의원 452명을 선출한다.
/연합뉴스
(홍콩·상하이=연합뉴스) 안승섭 차대운 특파원 = 홍콩 민주화 요구 시위의 향배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홍콩 구의원 선거가 24일 홍콩 유권자들의 뜨거운 참여 속에서 평화롭게 마무리됐다. 이번 구의원 선거는 외형만 보면 풀뿌리 단계의 선거일 뿐이다. 하지만 지난 6월 이후 홍콩에서 대규모 시위가 반년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홍콩인들의 민심을 정확히 드러내는 첫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선거는 이날 오전 7시 30분(이하 현지시간)부터 밤 10시 30분까지 홍콩 일반 투표소 610여곳과 전용 투표소 23곳에서 일제히 진행됐다. 선거구별 당선자는 25일 오전부터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어느 때보다 뜨거운 선거 열기를 보여주듯 도심 센트럴에서 외곽의 위엔룽에 이르기까지 상당수 투표소는 몰려든 유권자들로 긴 줄이 형성됐다. 일부 지역에서는 밤늦게까지 투표하는 데 한 시간 이상 기다리기도 했다. 이날 선거는 홍콩 사상 가장 많은 시민이 참여한 선거라는 새 기록을 세웠다. 홍콩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오후 8시 30분 현재 274만8천244명이 투표했다. 이는 앞서 가장 많은 220만여명의 시민이 참여했던 2016년 입법회 의원(국회의원) 선거 때보다 훨씬 많은 숫자다. 투표 종료까지 두 시간을 남겨둔 현재 투표율도 66.5%로 4년 전 구의원 선거 때의 47.01%보다 훨씬 높았다. 앞서 이날 선거를 위해 등록한 유권자는 413만명으로, 지난 2015년 369만명보다 크게 늘었다. 투표소 주변에서는 우려했던 큰 혼란이 빚어지지는 않았다. 경찰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투표소 인근에 폭동진압 경찰을 배치했지만 선거 영향 논란을 의식한 듯 최대한 유권자들의 눈에 직접 드러나지 않는 방식으로 경비를 섰다. 민주화 요구 진영에서도 선거일에는 최대한 폭력을 자제하고 투표로 현 정부를 심판하자는 목소리가 컸다. 전체적으로 투표 절차가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서 치러졌지만, 어느 때보다 치열한 선거전이 벌어지면서 부정선거 고발 건수는 크게 늘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번 선거와 관련해 4천800여 건에 달하는 부정선거 고발이 접수됐다고 보도했다. 이날 트위터에서는 중국 본토와 가까운 삼수이포 지역에서 누군가가 노인들에게 주황색 가방을 무료로 나눠주는 장면이 찍힌 사진이 올라왔다. 다만 이 행위가 선거와 관련된 것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또 샤틴 지역의 한 투표소에서 능(63)모씨는 이미 누군가 자신의 이름으로 투표를 하고 갔다고 선거 관리 당국에 신고 하기도 했다. 홍콩 시민들은 이날 선거를 통해 18개 선거구에서 구의원 452명을 뽑는다. 현재 홍콩 내 친중파 정당 중 최대 세력을 자랑하는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이 115명의 구의원을 거느린 것을 비롯해 친중파 진영은 327석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18개 구의회 중 절대다수를 친중파 진영이 지배하고 있다. 반면 범민주 진영은 118석으로 친중파 진영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민주당이 37명으로 가장 많은 구의원을 거느리고 있으며, 신민주동맹(Neo Democrats)이 13석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선거는 지난 6월 8일 범죄인 인도법(송환법) 반대 100만명 행진을 계기로 홍콩에서 전면적인 민주화 요구 운동이 벌어진 이후 진행되는 첫 선거라는 점에서 역대 구의원 선거와는 정치적 위상이 완전히 다른 차원의 선거로 평가된다. 아울러 이번 선거는 차기 행정장관 선거를 위한 전초전의 의미도 갖는다. 452명 구의원 중 117명은 홍콩 행정장관을 선출하는 1천200명의 선거인단에 포함된다. 홍콩 행정 수반인 행정장관은 유권자의 직접선거가 아닌 선거인단의 간접선거로 선출된다. 구의원 몫의 117명 선거인단을 선출하는 것은 진영 간 표 대결을 통해 이뤄진다. 따라서 구의원 선거에서 이긴 진영이 선거인단 117명을 독식하게 된다. 아울러 홍콩은 내년 국회의원에 해당하는 입법회 의원 선거도 앞두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대 수백만 명이 참여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수개월째 이어진 가운데 이번 선거에서 야권이 유리할 것 으로 예상한다. 지난 2003년 국가보안법 사태 직후 치러진 구의원 선거에서도 범민주 진영이 반정부 시위 흐름을 타고 승리한 바 있다. 다만 올해 야권이 과반 의석까지 달성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보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범민주 진영이 승리할 경우 중국 중앙정부의 강경 대응 방침 등으로 최근 들어 수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시위대에 큰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행정장관 직선제 등 정치개혁 요구가 활기를 띨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친중파 진영은 최근 두드러지는 시위대의 폭력에 반감을 가진 '침묵하는 다수'의 의견이 이날 투표를 통해 표출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홍콩 민주화 요구 시위는 최대 수백만 명까지 참여하면서 폭넓은 호응을 얻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경찰의 강경 진압 속에서 시위대 상점 파괴와 도로 교통 마비 등 극단적인 폭력을 행사하면서 온건·중도층의 참여가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친중국 진영이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둔다면 수세에 몰린 시위대의 기세가 더욱 꺾일 가능성이 크다. ch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3만 경찰 비상대기 속 투표소 인근 배치는 자제…내일 오전 당선 윤곽

24일 치러진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지미 샴 민간인권전선 대표 사진
AP연합뉴스
홍콩 선거, 민주파 압승 “홍콩 시민의 승리”…지미샴 당선
민주화를 요구하며 거리로 쏟아져 나온 홍콩 민심이 표심까지 이어졌다. 24일 진행된 구의원 선거에서 민주파 진영이 압도적 승리를 거뒀다.
수세에 몰린 시위대에 큰 힘을 실어주고 행정장관 직선제를 비롯한 정치개혁 요구가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2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명보 등 현지 언론을 종합하면 홍콩 민주파 진영은 전날 치러진 구의원 선거에서 전체 452석 가운데 오전 6시(현지시각) 현재 개표 결과 201석을 차지했다.
건제파(친중파) 진영은 28석에 그쳤으며, 중도파가 12석을 차지했다. 나머지 211석은 개표 중이다.
범민주 진영은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사상 최초 과반 의석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건제파 정당 중 최대 세력을 자랑하는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은 오전 5시30분 현재 개표 결과가 나온 후보자 중
21명이 승리를 거뒀지만, 156명이 패배를 당했다. 반면에 범민주 진영은 노동당은 7명 후보자 전원이 승리를 거뒀다.
현재 친중파 진영은 327석의 의석으로 홍콩 내 18개 구의회를 모두 지배하고 있다.
선거 결과는 민주화를 열망하는 민심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홍콩 대규모 시위를 주도해 온 재야단체 연합 민간인권진선의 지미 샴 대표가 샤틴구 렉웬 선거구에서 당선됐다.
지미 샴 당선자는 3283표를 얻어 재선을 노리는 건제파 후보 웡 위에혼(2443표)를 앞섰다. 그는 당선 발표 후 “내가
이긴 것이 아니라 유권자들이 청년층에게 표를 던진 것”이라면서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홍콩의 승리”라고 했다.
샴 당선자는 “이제 시작일 뿐”이라며 “강경한 캐리 람 행정장관이 이제 여론에 부응해 5대 요구를 수용하기 바란다”고 했다. 지미 샴 당선자는 앞서 10월 쇠망치 등 둔기를 든 4명의 괴한에게 테러를 당해 중상을 입기도 했다.

24일 치러진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지미 샴 민간인권전선 대표
사진 AP연합뉴스
2014년 민주화 운동인 ‘우산혁명’을 이끈 청년 활동가 조슈아 웡이 피선거권을 박탈당한 후 민주파 진영 후보로 나온
케빈 람도 당선됐다.
사우스호라이즌스 웨스트 구에 출마한 케빈 람은 4164표를 얻어 재선에 도전한 친중파 신민당 주디 찬을 900표차로
앞섰다.
람 당선자는 “민주파가 여러 선거구에서 승리한 것은 홍콩 정부와 중국 중앙 정부의 정책에 시정에 불만을 표한 것”
이라고 했다.
24일 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10시30분까지 진행된 이날 선거는 시작부터 열기가 뜨거웠다.
홍콩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총 294만여명의 유권자가 참여해 최종 투표율 71.2%를 기록했다.
4년 전 구의원 선거 때의 47.0%보다 훨씬 높았다.
투표율은 시위 사태로 인해 높아진 정치 참여도를 반영한다.
또 홍콩 시민들이 여전히 평화로운 방식으로 사회 변화를 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선출되는 구의원은 우리나라 지방의원에 해당된다. 4년 임기로 시정, 교통 등 지역정책을 다룬다.
특히 구의원 452명 중 117명이 홍콩 행정장관을 선출하는 1200명의 선거인단에 포함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행정장관은 직접선거가 아닌 선거인단 간접선거로 선출되는데, 구의원 몫의 117명 선출은 진영 간 표 대결을 통해
이뤄진다.
구의원 선거에서 이긴 진영이 선거인단을 싹쓸이하게 된다. 그런 만큼 이번 선거는 2022년 행정장관 선거에 중요
밑거름이 된다.
베이징|박은경 특파원 yama@kyunghyang.com
![]() |
(홍콩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25일 (현지시간) 홍콩의 툰먼 구에서 범민주 진영 지지자들이 구의원 선거에서 승리를 거두자 기뻐하고 있다. . ⓒ AFP=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
역대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홍콩 선거에서 시민들은 민주주의와 반정부시위에 대한 지지를 선택했다.
이번 선거에서 야권인 범민주연합의 압승이 확실시되고 있다. 정국의 주도권이 범민주연합으로 넘어가면서 홍콩의
반정부 투쟁의 동력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5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현지시간) 현재 범민주연합은 278개의 구의원 의석을 확보했다. 친중파 당선자는 42명뿐이다.
홍콩 시민들은 이날 선거를 통해 18개 선거구에서 구의원 452명을 뽑는다.
지난 24일 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10시30분까지 진행된 투표에는 413만명의 유권자중 약 294만명이 투표에 참여, 투표율 71.2%를 기록했다. 지난 2015년 투표율이 47%에 그쳤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폭 오른 수치다.
2016년 입법회 선거 투표율도 58%에 그쳤다.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유권자의 투표 참여가 크게 늘었다.
이번에 18∼35세 젊은층 유권자가 12% 증가했다.
정치에 무관심했던 젊은 계층이 시위대에 대한 지지의 의미로 투표에 나섰다는 의미다.
젊은 유권자들은 친중파 의원들이 낙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구의원선거는 홍콩 행정장관 선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 452명 구의원 중 절반 이상을 가져간 진영이 117명의 선거인단을 가져간다.
범민주연합이 이미 선거인단을 확보한 셈이다.
이번 구의회 선거에서 범민주 연합이 압승을 거두면서, 차기 행정장관 선거 1년 전인 2021년에 선출될 전체 선거인단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 친중 진영이 행정장관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 과반수(600명)를 채우는 게 어려워질 수 있다.
이번 선거를 통해 홍콩 시민들이 당국에 분명한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평가다. 홍콩 시민들은 이번 선거를 국민투표로 간주하고 있으며, 홍콩 시위에 대한 자신들의 의견을 표명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홍콩 시위를 주도해 온 재야단체, 민간인권진선의 지미 샴 대표도 샤틴구 렉웬 선거구에서 당선됐다.
샴 대표는 "민주주의 지지자가 친중 세력보다 더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파인 공민당 소속 알빈 영(Alvin Yeung) 의원은 "이날 당선된 모든 범민주파 의원에게 홍콩이공대로 가서 아직
교정에 남아 있는 시위대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이공대는 시위대의 '최후 보루'로 여겨졌으나, 경찰의 진압 작전으로 사실상 무너진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 소수 학생이 남아 경찰과 계속 대치하고 있다.
![]() |
(홍콩=뉴스1) 이재명 기자 =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전 홍콩 코즈웨이 베이 커뮤니티센터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를 하기 위해 줄을 길게 서 있다. 2019.11.24/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
24일 치러진 홍콩 구의원 선거의 투표율이 70%를 돌파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구의원 선거는 홍콩 정부의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반대해 6월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가 6개월째로 접어든 가운데 열렸다. 중국 공산당 정부의 지휘를 받는 캐리 람 홍콩 정부에 대한 심판 성격이 짙다.
반중(反中)파와 친중(親中)파의 대립 속에 치러진 이번 선거의 결과가 홍콩 민주화 시위의 방향과 홍콩 사회의 미래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 선거관리위원회는 일요일인 이날 오전 7시 30분(현지 시각) 시작해 오후 10시 30분 끝난 구의원 선거에서
294만 명이 투표했다고 밝혔다. 총 투표율은 71.2%로 집계됐다.
투표 마감 한 시간 전인 오후 9시 30분에 이미 투표율이 69.04%(투표자 285만 명)를 기록해 총 투표율이 7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구의원 선거 투표율은 최고 투표율을 보인 2016년 입법회 선거 기록(투표율 58%, 투표자 수 220만 명)을 깼다.
오후 9시 30분 기준 추엔완을 포함한 4개 구의 투표율이 70%를 돌파했다. 투표가 끝나자마자 이미 일부 투표소에서
개표가 진행되고 있다.
홍콩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날 이른 시간부터 홍콩 시민이 투표장으로 향하면서 각 투표소 앞에 긴줄이 생겼다.
지난주 홍콩이공대를 비롯해 각 대학 캠퍼스에서 시위대와 경찰의 격렬한 충돌이 있었던 것을 감안해 이번 선거엔
이번 구의원 선거는 2022년 행정장관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 척도로 꼽힌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공식 개막] 문재인 대통령 “아시아는 공동운명체이자 세계의 미래 (0) | 2019.11.26 |
---|---|
홍콩시민이 키운 '불만의 쓰나미' 시진핑 '중국夢' 흔들다 (0) | 2019.11.26 |
황교안-전광훈 손잡자 속끓는 야권..약일까 독일까 (0) | 2019.11.25 |
계속 쌓이는 지방 미분양..금융 리스크 '뇌관' 되나 (0) | 2019.11.24 |
운명의 10일’…중, 트럼프 ‘홍콩법안’ 서명 저지 총력전 (0) | 201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