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과 시사

홍콩선거 범민주 압승·친중파 참패..'사상 첫 과반

image


(홍콩=뉴스1) 이재명 기자 =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후 홍콩 주룽 공원 수영장

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관계자들이 개표 작업을 하고 있다.


2019.11.25/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연합뉴스







홍콩 구의원 선거가 치러지는 24일(현지시간) 시민들이 투표를 하기 위해 투표소 앞에

길게 줄 서 있는 모습.


2019.11.24. [사진= 로이터 뉴스핌]





 

 


홍콩선거 범민주 압승·친중파 참패..'사상 첫 과반



사상 최대 294만명 투표 참여..역대 최고 71% 투표율 기록
유학생 귀국해 투표하는 등 젊은 층 참여가 승리 원동력
친중파 진영 참패로 수세 몰리던 시위 동력 살아날 듯





(홍콩=연합뉴스) 안승섭 특파원 = 홍콩의 민주화 요구 시위가 6개월째 접어든 가운데 홍콩 범민주 진영이 향후 시위의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여겨졌던 24일 구의원 선거에서 압승을 거뒀다.


2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홍콩 범민주 진영은 전날 치러진 구의원 선거에서 전체 452석 가운데 오전 6시(현지시각) 현재 개표 결과 무려 201석을 차지했다.

친중파 진영은 고작 28석에 그쳤으며, 중도파가 12석을 차지했다.

 나머지 211석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개표 작업 지켜보는 참관인들 (홍콩=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후 홍콩 구룡공원 수영장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참관인들이 개표작업을
 지켜보고 있다.

 2019.11.25 yatoya@yna.co.kr









이에 따라 범민주 진영은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사상 최초 과반 의석을 눈앞에 두고 있다.

홍콩 내 친중파 정당 중 최대 세력을 자랑하는 민주건항협진연맹(민건련)은 오전 5시 30분 현재 개표 결과가 나온 후보자 중 21명이 승리를 거뒀지만, 156명이 패배를 당해 참패를 면치 못했다.


반면에 범민주 진영인 공민당은 전체 36명 후보 중 32명이 승리를 거뒀으며, 노동당은 7명 후보자 전원이 승리를

 거뒀다.

오전 6시 현재 범민주 진영은 웡타이신, 췬완, 완차이, 중서구, 남구 등 5개 구에서 이미 과반 의석을 차지했다.







콩의 대규모 시위를 주도해 온 재야단체인 민간인권진선의 지미 샴 대표도 샤틴구 렉웬 선거구에서 당선됐다.

현재 홍콩의 구의원은 민건련이 115명을 거느린 것을 비롯해 친중파 진영은 327석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18개 구의회 모두를 친중파 진영이 지배하고 있다.


반면 범민주 진영은 118석으로 친중파 진영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민주당이 37명으로 가장 많은 구의원을 거느리고 있으며, 다음으로 신민주동맹(Neo Democrats)이 13석을 보유

하고 있다.



홍콩 구의원 선거 개표작업 하는 관계자들 (홍콩=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후 홍콩 구룡공원 수영장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관계자들이 개표작업을 하고 있다. 2019.11.25 yatoya@yna.co.kr


홍콩 구의원 선거 개표작업 하는 관계자들 (홍콩=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후 홍콩 구룡공원 수영장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관계자들이

개표작업을 하고 있다.


 2019.11.25 yatoya@yna.co.kr  


        


범민주 진영이 압승을 거둘 수 있었던 원동력은 현 정부를 심판하는 젊은 층의 적극적인 선거 참여라고 할 수 있다.

홍콩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총 294만여명의 유권자가 투표했다.

이는 앞서 가장 많은 220만여명의 시민이 참여했던 2016년 입법회 의원(국회의원) 선거 때보다 훨씬 많은 숫자다.

최종 투표율도 71.2%로 4년 전 구의원 선거 때의 47.0%보다 훨씬 높았다.


앞서 이날 선거를 위해 등록한 유권자는 413만명으로, 지난 2015년 369만명보다 크게 늘었다.

특히 18∼35세 젊은 층 유권자가 12.3% 늘어 연령대별로 최대 증가 폭을 보였는데, 진보적 성향의 젊은 층 유권자가

 많이 늘어난 것은 범민주 진영에 결정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선거를 위해 해외 유학생마저 귀국해 투표하는 등 젊은 층은 적극적인 선거 참여 의지를 보였다.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압승함에 찰의 강경 진압으로 수세에 몰렸던 홍콩 시위대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당장 범민주 진영의 공민당은 승리를 거둔 32명 구의원 후보자 전원이 현재 경찰의 원천 봉쇄를 당하고 있는 홍콩

이공대로 달려가 교내에 남아 있는 시위대를 격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 행정 수반인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은 이번 선거에서 친중파 진영이 참패함에 따라 지금껏 강경 대응으로

 일관했던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대응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ssahn@yna.co.kr


베이징|박은경 특파원 yama@kyunghyang.com









image


(홍콩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25일 (현지시간) 홍콩의 툰먼 구에서 범민주

진영 지지자들이 구의원 선거에서 승리를 거두자 기뻐하고 있다.


. ⓒ AFP=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민주주의 선택한 홍콩, 반정부 시위 다시 거세지나



사상 최대 투표율 속 범민주연합 압승…
젊은층 투표 나서 시위대 지지


역대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홍콩 선거에서 시민들은 민주주의와 반정부시위에 대한 지지를 선택했다.

이번 선거에서 야권인 범민주연합의 압승이 확실시되고 있다. 정국의 주도권이 범민주연합으로 넘어가면서 홍콩의

 반정부 투쟁의 동력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5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현지시간) 현재 범민주연합은 278개의 구의원 의석을 확보했다. 친중파 당선자는 42명뿐이다.
홍콩 시민들은 이날 선거를 통해 18개 선거구에서 구의원 452명을 뽑는다.


지난 24일 오전 7시30분부터 오후 10시30분까지 진행된 투표에는 413만명의 유권자중 약 294만명이 투표에 참여, 투표율 71.2%를 기록했다. 지난 2015년 투표율이 47%에 그쳤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폭 오른 수치다.

 2016년 입법회 선거 투표율도 58%에 그쳤다.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유권자의 투표 참여가 크게 늘었다.

이번에 18∼35세 젊은층 유권자가 12% 증가했다.

정치에 무관심했던 젊은 계층이 시위대에 대한 지지의 의미로 투표에 나섰다는 의미다.

 젊은 유권자들은 친중파 의원들이 낙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구의원선거는 홍콩 행정장관 선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 452명 구의원 중 절반 이상을 가져간 진영이 117명의 선거인단을 가져간다.

범민주연합이 이미 선거인단을 확보한 셈이다.

이번 구의회 선거에서 범민주 연합이 압승을 거두면서, 차기 행정장관 선거 1년 전인 2021년에 선출될 전체 선거인단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 친중 진영이 행정장관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 과반수(600명)를 채우는 게 어려워질 수 있다. 

이번 선거를 통해 홍콩 시민들이 당국에 분명한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평가다. 홍콩 시민들은 이번 선거를 국민투표로 간주하고 있으며, 홍콩 시위에 대한 자신들의 의견을 표명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홍콩 시위를 주도해 온 재야단체, 민간인권진선의 지미 샴 대표도 샤틴구 렉웬 선거구에서 당선됐다.

 샴 대표는 "민주주의 지지자가 친중 세력보다 더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파인 공민당 소속 알빈 영(Alvin Yeung) 의원은 "이날 당선된 모든 범민주파 의원에게 홍콩이공대로 가서 아직

교정에 남아 있는 시위대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이공대는 시위대의 '최후 보루'로 여겨졌으나, 경찰의 진압 작전으로 사실상 무너진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 소수 학생이 남아 경찰과 계속 대치하고 있다.  

                                                                                     






               

홍콩 구의원 선거가 치러진 24일 오후 홍콩 시내 코즈웨이 베이의 커뮤니티센터
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하기 위해 길게 줄을 서 있다. 지난 6월 시작된 홍콩 시위
사태로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날 오후 8시 30분(현지 시각) 현재 투표율
 66.5%로 역대 최고 투표율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image


(홍콩=뉴스1) 이재명 기자 = 홍콩 구의원 선거일인 24일 오전 홍콩 코즈웨이 베이

커뮤니티센터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를 하기 위해 줄을 길게 서 있다.


 2019.11.24/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반중 대 친중’ 홍콩 선거 투표율 71% 돌파…역대 최고





24일 치러진 홍콩 구의원 선거의 투표율이 70%를 돌파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구의원 선거는 홍콩 정부의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반대해 6월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가 6개월째로 접어든 가운데 열렸다. 중국 공산당 정부의 지휘를 받는 캐리 람 홍콩 정부에 대한 심판 성격이 짙다.

반중(反中)파와 친중(親中)파의 대립 속에 치러진 이번 선거의 결과가 홍콩 민주화 시위의 방향과 홍콩 사회의 미래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 선거관리위원회는 일요일인 이날 오전 7시 30분(현지 시각) 시작해 오후 10시 30분 끝난 구의원 선거에서

 294만 명이 투표했다고 밝혔다. 총 투표율은 71.2%로 집계됐다.


투표 마감 한 시간 전인 오후 9시 30분에 이미 투표율이 69.04%(투표자 285만 명)를 기록해 총 투표율이 7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구의원 선거 투표율은 최고 투표율을 보인 2016년 입법회 선거 기록(투표율 58%, 투표자 수 220만 명)을 깼다.
오후 9시 30분 기준 추엔완을 포함한 4개 구의 투표율이 70%를 돌파했다. 투표가 끝나자마자 이미 일부 투표소에서

 개표가 진행되고 있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24일 열린 구의원 선거에서 투표하고 있다. /홍콩 정부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24일 열린 구의원 선거에서 투표하고 있다.

 /홍콩 정부




                    

               

18개 구의 구의원 452명을 뽑는 이번 선거엔 1104명이 후보자로 나섰다.
 일반 투표소 약 610곳, 전용 투표소 23곳에서 투표가 이뤄졌다. 투표 등록을 한 유권자는 역대 최대인 413만 명으로,
 2015년 구의원 선거 당시 유권자 수(312만 명)를 훌쩍 넘어섰다.

홍콩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날 이른 시간부터 홍콩 시민이 투표장으로 향하면서 각 투표소 앞에 긴줄이 생겼다.
이미 이날 오후 3~4시 195만 명 이상이 투표해 2015년 구의원 선거 총투표율 47.01%(투표자 146만 명)를 넘어섰다.

지난주 홍콩이공대를 비롯해 각 대학 캠퍼스에서 시위대와 경찰의 격렬한 충돌이 있었던 것을 감안해 이번 선거엔
 경찰 3만 명이 넘게 투입됐다
. 돌발 상황에 대비해 폭동 진압 경찰도 배치됐지만 시위대와 경찰 간 별 충돌은 없었다. 반중 진영에선 홍콩 정부와
경찰에 빌미를 주지 않고 투표를 통해 캐리 람 정부를 심판하자는 뜻에서 평화적인 선거와 투표를 독려했다.

이번 구의원 선거는 2022년 행정장관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 척도로 꼽힌다.
 홍콩 행정장관은 중국 정부가 지명한 인물을 놓고 대의원 120 0명이 투표하는 간선제(間選制) 방식으로 선출된다.
이번에 선출되는 구의원 452명 중 117명이 대의원 선거인단에 포함된다.

범민주계인 야당이 이번 선거에서 승리하면 117명 선거인단을 차지하게 된다.
한국의 국회 격인 입법회 의석 6석도 확보할 수 있다.
현재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는 홍콩 시민은 1인1표 직접선거를
통한 행정장관 직선제를 요구하고 있다.

        




       







778,505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