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과 시사

문 대통령,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行…동북아 외교 슈퍼위크





문재인 대통령이 무거운 과제를 안고 중국을 향한다. 23일부터 중국 청두(成都)에서

열리는 '8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한 일정이지만, 방중의 '하이라이트'

현지에서 열리는 한·, ·일 양자정상회담이다.


(자료사진)데일리안, 청와대








문 대통령, 내일 중국 방문…中·日 정상과 ‘비핵화·수출규제’ 논의


문재인 대통령이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리는 8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23)부터 12일 간 중국을 방문한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베이징청두 12방문시진핑·아베와 연쇄회담


8회 한일중 정상회의 참석, 비즈니스서밋도 열려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오전 12일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주석, 아베 신조 일본총리와 잇따라 정상회담을 갖는다. 쓰촨성 청두에서 열리는 제8차 한··(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이번 방중에서 문 대통령은 리커창 중국 총리와 별도 회담을 갖고, ··중 경제인들이 주최하는 비즈니스 서밋에도 참석한다.

문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이날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이어 오찬을 함께한다.

문 대통령은 최근한반도 정세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위해 한중 간 소통과 협력을 증진

하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한다.

한중 양자 관계의 발전과 교류·협력을 더욱 활성화하는 방안도 의제다 

문 대통령은 청두로 이동, 리커창 중국 총리와 양자 회담과 만찬 일정을 진행한다.

한중 간 경제·통상·환경·문화 등 구체적 분야에 협력을 제고해 나가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시 주석, 리 총리와 잇단 회담은 미국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한국에 배치한 데 따른 중국의 '한한령'

보복을 완전히 끝내는 것이 화두다 


방중 이튿날인 24일 문 대통령은 3국 경제단체가 공동 주관하는 비즈니스 서밋, 8차 한일중 정상회의와 공동기자

회견, '한일중' 2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고 아베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도 갖는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머니투데이,










image


[서울=뉴시스]문재인 대통령.(사진=청와대 제공)


2019.12.17. photo@newsis.com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출처:청와대>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출처:청와대>>









문 대통령,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동북아 외교 슈퍼위크


, 8차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출국
오늘 시진핑·내일 아베와 정상회담
시진핑과는 한반도 비핵화·한중관계 복원 방안 논의
13개월만의 한일정상회담에서는 갈등 해결 실마리 주목





문재인 대통령이 23~24일 오전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리는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23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출국했다. 
문 대통령은 방중 첫날인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는 데 이어 이튿날인 24일에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민감한 한일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먼저, 문 대통령은 베이징을 찾아 시진핑 주석과 한중정상회담을 갖는다.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은 지난 6월 말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달부터 대미 압박 수위를 한껏 높이는 북한의 도발을 최대한 막기 위해 시 주석의 중재 역할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도 지난 20(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모든 당사자가 타협하고 대화 모멘텀을 유지해야 하며 이는 모든 당사자의 공동 이해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위한 북미 양측 모두의

양보를 요구한 바 있다.

따라서 한중정상회담에서도 비핵화 협상의 틀을 유지하기 위한 두 정상의 강력한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한중정상회담에서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한반도에 배치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을 둘러싼 중국의

 적극적인 문제제기다.  

두 정상은 사드 배치를 둘러싼 양국의 입장을 충분히 교환하고, 내년 시 주석 방한 때 일정한 결과물을 도출하는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두 정상은 사드 배치 이후 중국이 실시한 한한령(한류금지령)의 해소 등 악화된 한중관계 복원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중정상회담이 끝나자마자 문 대통령은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리는 쓰촨성 청두로 이동한다. 

문 대통령은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양자회담을 갖고 한중간 경제·통상·환경·문화 등 실질 분야에서의 협력을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다음날인 24일에 문 대통령은 한중일 경제인들이 주최하는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으로 일정을 시작한다. 문 대통령은 기조연설을 통해 3국 경제 협력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 뒤 한중일 3국 정상은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해 최근 동북아 및 한반도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지난

20년 동안의 협력을 평가하는 한편 향후 제반분야의 협력 강화 방안을 의논할 예정이다. 

이날 일정의 최대 관심은 오후로 예정된 아베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이다.

한일정상회담은 지난해 9월 뉴욕 유엔총회에 이어 13개월 만에 열리게 된다.
양국 정상이 지난 7월 일본의 대 한국 수출규제 발표 이후 우리 정부의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맞대응 등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한일 관계 개선의 계기를 마련될 지 주목된다. 

특히, 일본 정부가 20일 한국에 수출되는 반도체 소재인 포토레지스트를 특정 포괄허가 대상으로 변경하는 '포괄허가 취급요령 일부 개정령'을 공시하는 등 일부 수출규제 완화를 실시했지만 청와대는 아직 근본 해결 방안이 아니라는

 입장이기에 일본의 추가적인 조치가 나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한일 갈등을 국내 정치에 이용해 온 아베 총리가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 수출규제 조치를 지난 7월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선언을 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일 정상이 만나는 것 자체는 큰 의미가 있지만 일괄타결식 성과를 기대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TV

image



오사카(일본)=뉴시스박진희 기자 = -중 정상회담이 열린 27일 오사카시

 웨스틴 호텔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9.06.27. pak7130@newsis.com


문재인 대통령 - 일본 아베 총리 (PG)


문재인 대통령 - 일본 아베 총리

(PG)[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그래픽] 문재인 대통령 방중 - 한중일 정상회담 주요 일정


[그래픽] 문재인 대통령 방중 - 한중일 정상회담 주요 일정(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오후(현지시간)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아베 신조
(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고
청와대가 20일 공식 발표했다

 jin34@yna.co.kr



 한중일 정상회담 비핵화·동북아 상생 일보 진전돼야






문재인 대통령이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23일 중국을 방문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베이징(北京)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다음날인 24일 청두(成都)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만난다.
 연말 동북아 국제정세를 판가름할 한중일 3국 정상의 '외교 대회전'이 막을 올리는 것이다.

한중 정상회담에선 '크리스마스 선물'을 운운하는 북한의 도발을 막으면서 미북 대화를 다시 본궤도로 올려놓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한반도 배치를 둘러싸고 불거진 갈등을 해소하는 방안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어지는 아베 총리와의 회담에선 대한(對韓) 수출규제 철회,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복귀 등이 핵심의제가 될 것이란 관측이다.
한일 정상이 만나는 것은 지난해 925UN총회 이후 15개월만이라고 한다. 

일단 북한 비핵화 문제가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주요 의제가 될 것이다. 중국의 대북 영향력은 여전해 대화 재개를 위한 중국 역할론이 힘을 얻는 분위기다. 일본 역시 북핵 문제 논의에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이번 한중, 한일 연쇄 정상회담은 북한의 도발을 막을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란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만약 북한이 '새로운 길'을 선택한다면 새해 한반도는 온통 잿빛 공포에 휩싸이게 된다.

 이번에 3국 정상들은 한 목소리로 대북 메시지를 발신해 북한이 도발을 자제하고 대화에 나서도록 압력을 가해야한다. 한일 관계 역시 합리적 해결방안을 모색해 반전의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는 지난 7차례 회의와 비교해보면 무게감이 다르다.
 어느 때보다도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이 설정한 연말 대화 시한을 앞두고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는 엄중한 상황인데다, 한일 간 마찰이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지를 가늠할 수 있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돌파구를 열 열쇠는 3국 정상의 손 안에 있다. 미래를 위한 초석을 놓는다는 마음으로 상호 신뢰를 쌓으면서 실마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머리를 맞대 북한 비핵화, 한일관계 개선에 새 전기를 마련하면서 동북아 상생협력을 일보 전진시켜야 한다.
특히 문 대통령이 이번 회의에서 외교역량을 발휘해 의미있는 성과를 가지고 돌아오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