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플러스
[연합뉴스TV 제공]
사진=연합뉴스
중국서 신종코로나 사망 800명 넘어..확진 3만7천명 육박
후베이서만 하루새 사망 81명·확진 2천147명 늘어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의 누적 사망자가 800명을 넘어서고 확진자는 3만7천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9일 중국중앙TV에 따르면 중국 후베이(湖北)성은 지난 8일 하루 동안 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2천147명, 사망자가
81명 늘었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발병지인 우한에서만 새로 늘어난 확진자와 사망자가 각각 1천379명과 63명이다.
지난 8일까지 후베이성 전체의 누적 확진자는 2만7천100명, 사망자는 780명이다. 4천93명은 중태이며 1천154명은
위중한 상태다.
이에 따라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에서 발표하는 중국 전체 집계에서 신종 코로나 누적 사망자는 800명을 돌파
하고 확진자는 3만7천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건위는 8일 0시 현재 전국 신종 코로나 누적 확진자는 3만4천546명, 사망자는 722명이라고 발표했다.
president21@yna.co.kr
.jpg)
%20SM상선의%20미주노선에%20투입된%20'SM칭다오'%20호가%20캐나다%20밴쿠버항에%20접안%20중이다.(1).jpg)
ⓒ 맛있는 뉴스토마토,
![[D스토리]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 2](https://img8.yna.co.kr/etc/inner/KR/2020/02/07/AKR20200207134900797_01_i_P4.jpg)
하지만 중국 본토 밖에서는 홍콩과 필리핀에서 한명씩 발생한 것을 빼고는 아직 사망자가 없는 상황인데. 중국의
열악한 위생 관념과 의료수준, 초기 격리 치료에 실패한 것이 주된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중앙대학교 약학과 설대우 교수는 "중국의 의료 수준이 선진국보다 열악하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며 "환자를 조기 발견해서 어떻게든지 경증일 때부터 치료를 시작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서만 사망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또 다른 이유는 발원지인 우한 등지에서 단기간에 환자 수가 너무 많이 늘어
나면서 현지 병원의 수용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의료진은 한정돼 있는데 환자가 계속 늘어나니 제때 적절한 치료가 어렵고 병원을 찾아가도 방치되는 경우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만 사망자가 많은 것처럼 보이는 것이 착시 효과라는 설명도 있다.
중국에서 첫 사망 환자가 나온 것은 환자 수가 100명이 넘길 때였는데 해외에서 발생한 환자 수를 합하면 지난 4일 기준 100명 정도가 되기 때문에 두 명이 발생한 것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게다가 해외여행을 다닐 정도면 비교적 건강이 양호했을 것이라는 점도 외국인 사망률이 낮은 이유라는 설명이다.
과거와 달리 현재 중국의 의료 수준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분석도 있다.
2017년 미국 워싱턴 대학을 주축으로 진행된 국제 공동 연구팀 연구에 따르면 중국은 한국, 터키 등과 함께 25년 동안 보건의료의 접근성과 품질이 가장 많이 향상된 나라로 꼽혔다.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중국의 의료수준은 사실 무시할만한 정도가 아니다"라며 "다만 중국이 지금 우한에서 환자가 많이 발생하니까 환자에 대한 처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 부분도 작용하는데 그런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내에서 아직 사망자가 나오지 않은 것은 상대적으로 체계적인 감염자 관리가 이뤄지고 있는 점을 가장 큰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또 선진화된 의료 기술이 큰 도움이 되는데, 예방백신과 치료제는 없지만, 일종의 대증요법인 '서포티브 케어
'(supportive care)를 통해 증상을 호전시키는 치료가 가능하다.
서포티브 케어는 감염이 있으면 항생제를 쓰고, 열이 있으면 해열제를 쓰고, 호흡이 곤란하면 산소 공급을 해주는 등의 치료 방식을 말한다.
설대우 교수는 "아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치료제는 없지만, 에이즈 치료제나 C형 바이러스 치료제가 일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도 그런 걸 쓴 사례가 있다"며 "환자의 상황에 맞게 치료하는 것이 우리나라나 일본, 미국 같은 선진국은 잘 갖추어져 있으니까 한 명도 사망자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응급의료 시스템이 잘 구비된 것과 메르스 사태를 통한 교훈으로 국민 모두 감염병 예방에 대한 인식이 확고해
졌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메르스 사태의 중동 지역 사망률 34%에 비해 우리나라는 20%였는데 초반에 뻥 뚫린 방어벽을 다시 구축하면서 마련된 선진화된 응급의료 시스템이 큰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또한 명지병원과 원광대병원 등 민간병원에서도 에크모를 구비하고 음압격리 병상을 운영한 점, 모의 훈련 등 철저한 준비와 훈련을 해왔던 것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명지병원 안광용 대외협력실장은 "메르스 사태, 그 이전에 신종플루 사태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이번에 신종
코로나 감염증이 발생함과 동시에 바로 비상 대응 체제 시스템에 들어갔다"며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 보호자들 그리고 직원들에게 언론을 통해서 알게 하는 것보다 먼저 우리가 직접 알리는 것이 신뢰감을 얻을 수 있고 동요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해 선제 조처를 한 것이 상당한 효과를 봤다"고 말했다.
2017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발표한 회원국의 보건의료 수준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보다 높은 서유럽국 최고 수준이다.
특히 인구 1천 명당 병상 수가 11.7개로 OECD 국가 평균 4.7개보다 2.5배 정도 많다.
설대우 교수는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갑자기 터진 거라 (대응이) 완벽하기는 어렵다"며 "그런데도 우리 정부가 굉장히 잘하고 있는데, 좀 더 바라는 게 있다면 중국에서 유입되는 학생들에 대한 조치가 상당히 미흡해 보인다.
중국에서 유입되는 학생들을 어떻게 할 거냐고 하는 게 조만간 우리가 맞닥뜨리게 될 가장 큰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이슈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단 한 명의 사망자도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보건당국의 지침을 잘 따르고 개인위생에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인다.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이 비말(침방울)이나 접촉뿐만 아니라 에어로졸(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입자 또는 액체 방울) 형태로도 전파될 수 있다는 경고가 중국에서 나왔다.
상하이(上海)시 민정국 청췬(曾群) 부국장은 8일 신종코로나 관련 상하이시 기자회견에서 위생방역 전문가의 의견을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고 중국매체 펑파이가 전했다.
청 부국장은 "현재 확정적인 신종코로나 감염 주요경로는 직접 전파, 에어로졸 전파, 접촉을 통한 전파"라면서 "
에어로졸 전파는 비말이 공기 중에서 혼합돼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이를 흡입해 감염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직접 전파는 환자가 기침하거나 말할 때 나온 비말, 환자가 내쉰 기체를 가까이서 직접 흡입해 병에 걸리는 것"
이라고 말했다.
접촉을 통한 전파는 비말이 물건 표면에 내려앉은 뒤, 이를 접촉해 오염된 손으로 눈·코·입 등을 만져 감염되는 것
이라는 설명이다.
상하이(上海)시 청췬(曾群) 민정국 부국장
[CCTV 캡처]
청 부국장은 질병 예방과 관련해 "일체의 사회활동 관련 모임을 취소해야 한다. 신종코로나 상황이 심한 지역의 친지·
친구가 찾아오려는 경우 말려야 한다"면서 "창문을 열고 환기를 자주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손잡이·책걸상·변기 시트 등을 75% 에탄올 등으로 닦고 소독해야 한다"면서 손을 깨끗이 씻고 기침 시 입과
코를 가리는 등 개인위생에도 주의를 당부했다.
또 "공기·접촉을 통한 전파를 피해야 한다"면서 "의심환자의 신체 분비물과 접촉을 피하고, 개인 생활용품을 함께 쓰지 말아야 한다. 악수나 포옹 등도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터넷플랫폼 바이두(百度)의 질병 집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중국에서는 3만명 넘는 확진자와 700명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고, 상하이에서는 확진자 286명, 사망자 1명이 나온 상태다.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 핑루자오(馮錄召) 연구원
[CCTV 캡처]
이와 별개로 이날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국무원 신종코로나 공동 예방·통제 메커니즘' 기자회견에서는 '대변-구강
경로' 전염 가능성 등과 관련한 전문가의 설명이 나왔다.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 핑루자오(馮錄召) 연구원은 이 자리에서 "신종코로나의 주요 전파 경로는 호흡기 비말을 통한 전파와 접촉을 통한 전파"라고 말했다고 중국중앙(CC)TV가 전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사실, 전염병에서 대변-구강 경로 전파가 결코 드물지 않다"면서 "현재의 예방·통제작업은 이미 대변-구강 경로 전파의 위험성을 충분히 고려했다"고 밝혔다.
대변-구강 경로 전염은 환자의 대변에 있던 바이러스가 손이나 음식물 등을 거쳐 타인의 입속으로 들어가 병을 전파
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는 "식당 종업원들은 양호한 개인위생습관을 기르고, 손 위생을 유지해야 한다"면서 "대중들은 밥 먹기 전이나 화장실에 다녀온 후, 또는 오염되기 쉬운 물건을 만진 후 손을 씻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핑 연구원은 '아파트 단지 내에 확진자가 있을 경우의 전염 가능성'에 대해서는 "확진자는 모두 지정병원에서
격리치료를 받는다. 밀접접촉자도 격리 관찰된다"고 밝혔다.
이어 "확진자 가정의 가금류나 주거단지, 공공구역 등은 모두 소독한다"면서 "주거단지 주민은 지나치게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계속 개인 방호를 잘하면 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에 이어 가짜와 싸우는 중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몸살을 앓는 중국이 ‘가짜’와도 전쟁을 벌인다.
소셜미디어에서 가짜뉴스가 유포되고 허술하게 제작된 마스크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대량으로 판매되기 때문이다.
알리바바에서만 적발된 가짜마스크 수만 57만개에 이른다.
6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 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망자가 확산되면서 마스크 품귀현상이 발생했다.
마스크 수요가 늘자 알리바바와 징둥닷컴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짜 마스크' 판매가 기승을 부린다는 점이다.
먼지만 막을 수 있는 마스크를 바이러스까지 막는 기능을 가진 마스크라고 속이거나 3M 로고를 붙여 비싼 가격으로
중국 장쑤성 우시 경찰은 일반 마스크를 독일제 N95(바이러스 방지 기능) 마스크라고 속여 판매한 일당을 적발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들이 갖고 있던 가짜 마스크만 5만개에 달한다.
알리바바와 징둥닷컴 등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도 비상이 걸렸다.
가짜뉴스 차단나선 中, 소셜미디어 검열 늘어
중국 정부는 가짜뉴스 검열에도 나섰다.
2월 6일 중국 인터넷 감독 및 통제기관인 CAC(Cyberspace Administration of China)는 소셜미디어인 웨이보와
위챗에서 ‘반 유인리(Van Youyinli)’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자동차 블로거 계정은 ‘악의적인 소문 확산'을 이유 로 정지됐다. 중국 소셜미디어인 더우반(Douban)에는 하루 단위 일상을 공유하는 다이어리 기능이 사라졌다.
CAC는 "코로나 바이러스 위기 속에서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 선전을 강화하고 온라인 미디어 통제 수위를 높여야 한다"고 전했다.
차현아 기자
중국 성장률 0%로 떨어진다"…'사스'와는 비교 못할 공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때문에 사람들이 외출하지 않고 쇼핑도 하지 않는다. 경제적 타격이 중국에 집중되면서 올 1/4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0%에 그칠 것이다." (에드 하이먼 에버코어ISI 회장) 심지어 '제로성장'이란 극단적 비관론까지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경제에 미칠 충격에 대한 시장의 공포를 대변한다. 여행과 소비의 급감 뿐 아니라 중국내 공장 가동 중단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혼란까지. 시장은 2003년 사스(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를 훨씬 뛰어넘는 글로벌 경제의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中 공장 재가동 연기에 글로벌 공급망 충격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워릭 매키빈 호주국립대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세계 경제의 피해가 최대 1600억달러(약 19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 제조·물류허브인 우한시를 비롯한 중국내 공장들의 조업 중단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의 충격까지 고려한 수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중국의 춘제(春節·중국 설) 연휴 연장은 우리나라 제조업체들의 부품 수급 차질로 이어졌다. 이 때문에 현대자동차는 4∼11일, 쌍용자동차는 4∼12일 공장별 순차 휴업에 들어갔다. 연장된 춘제 휴무는 9일로 끝나지만 일부 글로벌 기업의 중국내 합작법인 공장들은 조업 재개 시점을 추가로 늦추기로 했다. 토요타는 톈진시와 쓰촨성, 지린성, 광둥성 등에 위치한 공장의 재가동을 17일로 미뤘다. 혼다 역시 중국내 공장의 가동 재개 시점을 14일 이후로 연기했다. 올 1/4분기 중국의 경제성장 전망치는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중국의 1/4분기 GDP (국내총생산) 성장율을 4.5%로 예상했다. 중국의 GDP 집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당초 5.9%를 예상했던 호주 투자은행 매쿼리는 4%로 대폭 낮춰 잡았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1/4분기 성장률이 불과 2.0%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따른 경제적 충격이 과거 사스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클 것으로 예상했다. 사스가 창궐했던 2003년 2/4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9.1%로 전분기 대비 2%포인트 하락한 뒤 다음 분기 10.0%로 회복했다. 당시 글로벌 경제에 미친 타격은 미미했다. 그러나 이번엔 사정이 다르다. 손성원 미국 로욜라 메리마운트대 교수는 "과거 사스는 공장이 밀집돼 있지 않은 곳에서 주로 발생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중국 남부 공업 중심지에서 확산됐다"며 "또 2002년엔 중국이 전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20%에 가깝다"고 강조했다. 현재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지위도 무시할 수 없다. "지금 나오는 경제지표 의미 없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따른 글로벌 경제 충격이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지난 주말 뉴욕증시는 나흘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7일 블루칩(우량주) 클럽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77.26포인트(0.94%) 떨어진 2만9102.5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 지수는 18.07포인트(0.54%) 하락한 3327.71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51.64포인트(0.54%) 내린 9520.51에 마감했다. 고용호조 소식도 장세를 뒤집진 못했다. 이날 미 노동부에 따르면 1월 미국의 비농업 부문 신규 취업자 수는 22만5000명으로 당초 시장이 예상한 16만명을 크게 웃돌았다. 어센트캐피탈운용의 톰 해인린 전략가는 "지금 나오는 경제지표는 모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하기 전의 것들이란 점에서 의미가 없다"며 "새로운 상황을 반영하는 경제지표들은 3월 중순에나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이상배 특파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 |
멈춰선 중국 칭다오 항구. /사진=AFP |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
사실 간단한 문제다.

8일 오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장인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서 마스크를 쓴 수험생들이 입실하고 있다. 마스크를 쓰지 않은 수험생과 열이 37.5도 이상인 수험생은 출입이 통제됐다.
/뉴스1
해결책은 하나다.
우선 중국 유학생.
지금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고향으로 돌아갔던 중국 유학생의 입국을 막는 것이다.
그들을 못 오게 해야 한다. 교육부가 총대를 메야 한다.
일부 대학에서 1~2주 연기한단다. 부족하다.
둘째 관광객.
이건 100% 막아야 한다.
중국도 항상 그렇게 한다.
기본적으로 관광을 목적으로 들어오는 중국인은 100% 막아야 한다.

세관직원이 지난 6일 오후 인천공항 간이세관검사대에서 마스크 반출을 신고한 한 중국인 승객의 캐리어를 확인하고 있다.
뉴스1
엄격히 관리해야 한다.
지금도 공항에서 입국 중국인에 대해 전화 확인을 한다. 그걸 엄격히 해야 한다.
넷째 비즈니스맨, 공무
막으면 안 된다.

임시휴업했던 제주시 연동 신라면세점 제주점이 영업을 재개한 7일 오전 오픈 전부터 중국인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
/뉴스1
다른 부류도 있을 것이다.
차이나랩=한우덕 기자

연합뉴스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사태를 보도하는 AP통신 갈무리.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WC 수백억 투자했는데"..신종 코로나에 딜레마 빠진 '큰손' 화웨이 (0) | 2020.02.10 |
---|---|
우한 '3차 전세기' 이르면 이번주 뜬다…새 격리시설은 고민 (0) | 2020.02.10 |
이낙연 vs 황교안 ‘정치 1번지’ 종로 빅매치… 총선 판도 가른다 (0) | 2020.02.08 |
신종 바이러스 ‘저수지’로 박쥐가 지목되는 이유 (0) | 2020.02.07 |
신종코로나 감염 알고도 크루즈 승객 즉시 객실 격리 안 해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