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민요&국악

꽃별 - 바람을 깨우다

 

 

해금 奚琴

 

 

 

 

 

 

 

 

 

 

 

 

 

 

 

 

 

 

 

 

 

 

 

 

 

 

 

 

 

 

 

 

 

 

한국 전통악기 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찰현악기(擦絃樂器).


중국의 악서인 〈문헌통고 文獻通考〉에 따르면 해금은 중국 본토인이 아니라 북방민족인 해족(奚族)의 악기로, 중국에서는 호부(胡部)악기로 분류되었다.


한국에서는 고려 고종 때의 〈한림별곡 翰林別曲〉에 혜금(掛琴)이 보이고 〈고려사〉에도 혜금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해금은 혜금으로도 불렸음을 알 수 있다. 〈고려사〉 악지에서는 당악과 향악에 함께 쓰였다고 하며, 〈악학궤범〉에서는 당부악기로 분류했으나 향악에만 쓴다고 했다.


〈악학궤범〉에 해금을 만드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큰 대나무의 밑부리를 울림통으로 하고 오동나무를 얇게 깎아 한쪽 면을 막는데 이를 복판이라 한다.

울림통에 세로로 꽂혀 있는 입죽(立竹)은 해묵고 마디가 많은 오반죽(烏斑竹)을 쓰고, 주철(柱鐵)을 입죽 아래에 꽂아

울림통에 연결시키고 통 아랫부분에 고정시킨다.


입죽 윗부분에는 2개의 구멍을 뚫어 줄을 감은 주아(周兒)를 꽂는다. 주아에 연결된 2개의 줄인 중현(中絃)과 유현(遊絃)은 울림통을 지나 주철에 연결된다.

2개의 줄은 주아 아래에서 산성(散聲)이라는 줄에 의해 묶이고, 울림통과 줄 사이에산(遠山)이 있어 줄을 지탱해준다.


활대는 오죽(烏竹)이나 해죽(海竹)으로 하고, 활시위는 말총으로 만든다.

 활시위에 송진을 칠하여 유현과 중현 사이를 마찰하여 소리를 낸다.

연주법은 바닥에 앉은 자세에서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에 올리고 그 위에 해금을 놓는다.


왼손으로는 줄을 짚고 오른손으로 활대를 쥔다.

〈악학궤범〉의 해금산형(奚琴散形)을 보면 조선 중기 이전에는 줄을 가볍게 짚어 연주하는 경안법(經按法)이 쓰였으나, 이후에는 줄을 눌러 짚는 역안법(力按法)이 쓰였다고 한다.


최근에는 연주법이 바뀌어 퇴성·전성·요성 등이 자유롭게 표현되고 있으며, 해금산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옛날에는 관현합주·관악합주·삼현육각 등의 궁중음악에 널리 쓰였으며, 지금은 시나위·산조·무속음악·민요·춤음악에도 쓰인다.

음역이 넓고 이조(移調)가 쉬운 장점이 있으나, 정확한 음감을 요하는 까다로운 악기이다.


중국의 호금(胡琴)류, 일본의 호궁(胡弓), 인도네시아의 레밥(Rebab), 인도의 사랑기(Sarangi) 등은 해금과 같은 2현의 찰현악기이다.

 

: http://timeline.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24h3419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