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음악 OST

영화 워낭소리

워.낭.소.리

 

소와 촌로의 교감그린 다큐멘터리 영화 '워낭소리'


워낭이란 소나 말의 머리에 다는 방울을 이른다.                   

       '워낭소리' 가 독립영화로는 새로운 관객동원수를 기록하며순항중이다.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충렬 감독"한때는 빛났으나 지금은 파리한 우리네 아버지들 삶에 대한 헌사"
 

 

 

워낭소리’에 대한 과분한 평가가 부담스럽다는 이충렬 감독은           

 

영화
를 본 관객이 부모와 자기자신을 다시 한 번 반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한다. 이제원 기자

 

영화 ‘워낭소리’는 30년 넘게 생사고락을 함께한 마흔 살 소를                 

 


떠나보내야 하는 늙은 농부의 일상을 담은 다큐멘터리다.

 

젊은
날 소와 함께 땅을 일구며 9남매를 길렀으나

 

이제는 늙고 병들어
60년 가까이 그를 지켜온 이삼순(77) 할머니로부터

 

도매일 타박
받는 경북 봉화 최원균(80) 할아버지가 주인공이다.

 

세 촌로(村老)
가 빚어내는 담담하지만 먹먹한 일상이 나이듦과 죽음,

 

땅과 노동,
그리고 진정한 교감의 의미를 새삼 되새기게 만든다.

 

외환위기 때
자신을 있게 한 아버지와 고향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를

 

기획한
뒤 2005년부터 3년간 할아버지와 소의 이별 과정을 좇은

 


이충렬(43) 감독을 최근 서울 인사동 한 카페에서 만났다.

 


# 아버지에 대한 헌사이자 자식으로서의 반성문이 감독은 프리랜서 방송 PD이다.

 


지난해 한국독립제작사협회 대상작인 다큐 ‘한국음식에게 말을 걸다’가 그의 작품.

 

하지만 ‘워낭소리’를 기획한 1998년은
그에게 내세울 만한 작품 하나 없는,

 

배고프고 힘들어 잔뜩 주눅
이 든 독립PD에 불과했다.

 

‘고개 숙인 아버지’라는 이슈가 유행
처럼 번져나가던 그때

 

이 PD도 자연스럽게 그의 아버지를 떠올렸
다.

 

전남 영암의 소작농으로 젊은 날 엄청난 노동으로 3남1녀를

 
키워낸, 하지만 자식들과 관계가 서먹한 자신의 아버지를 카메라에 담고 싶었다.

 

단순히 늙고 병들고 쇠락한 고향 같은 아버지를 보여주는
데 머물고 싶지는 않았다.

 

이 감독은 “한때는 빛났으나 지금은 사금
파리처럼 흩어져 있는 우리네 아버지의 삶을

 

다시 온전한 사기그릇으 로
만들어드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전국 시골 마을과 우시장을
헤집고 다닌 지 7년 만에 봉화 축협 관계자로부터

 

하눌마을에
일소를 부리는 할아버지가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한달음에
달려가보니 역시 그가 애타게 찾던 “고난과 늙음의 상징”이었다.

 

더욱이 할아버지와 소는 촌로와 짐승 그 이상의 관계였다.

 


소는 할아버지에게 불편한 다리를 보완해주는 훌륭한 농기구이자

 


자가용이었고, 할머니의 끝없는 지청구를 피하는 핑계였으며,

 

그의
온갖 불만과 짜증을 묵묵히 받아내는 훌륭한 친구였다.

 

수명이 대개
15년인 다른 소들보다 두 배 넘게 그와 함께 한 파트너를 위해 할아버지는

 


사료 대신 꼴을 베어 먹이고, 기계가 아닌 낫으로 벼를 베고,

 

편한 농약
대신 김을 매고 있었다.

 

이 감독은 한사코 ‘사진’ 찍기를 거부하는 할아버지를

 


꼬박 6개월간 따라다닌 끝에서야 비로소 카메라를 또 하나의 ‘풍경’으로 만들었다.

 


이 감독은 촬영을 시작하면서 조선 후기 화가 김득신의 ‘파적도’를 떠올렸다.

 


파적도는 어느 한적한 농가 앞뜰에서 병아리를 낡아채 달아나는

 


고양이와 이를 쫓는 어미닭과 주인 노부부의 모습을 담은 풍속화다.

 


할아버지와 늙은 소의 평온한 교감을 중심에 놓되 할아버지와 할머니,

 


할머니와 늙은 소, 늙은 소와 젊은 소, 젊은 소와 노부부 사이의

 


애증 관계를 한 프레임 안에 녹이고 싶었다.

 


그는 “다양한 관계의 다양한 갈등, 이야기를 느릿하게 담으려 노력했다”고 말했다.

 

늙은 소가 밭일을 하다가 쓰러지고

 


외양간이 장맛비에 허물어지고 젊은 소가 새끼를 낳는 등

 


“임팩트가 강할 수 있는 장면들을 죄다 놓쳤다”고 말하는 이 감독이 ‘워낭소리’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면은 할아버지가 소 달구지에서 짐을 덜어 자신이

 


짊어지는 지게로 옮기고 함께 귀가할 때다.

 


그는 “그 순간 할아버지는 일개 촌로가 아닌 성자처럼 보였다”면서

 


“귀갓길이 마지막 길이 될지 모르는 파트너를 향한

 


할아버지의 안타까움과 배려, 믿음 등 온갖 감정이 고스란히 느껴졌다”고 말했다.

 


특히 내심 늙은 소가 일을 하다가 삶을 마감하는

 


극적인 “‘건수’를 사악하게 기다렸다”는 이 감독은 다분히

 


소모적인 촬영일 뿐이라고 여겼던 이 장면에서

 

“‘임팩트가 강하면 감동은 덜하다’
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워낭소리’가 미국 선댄스영화제 경쟁작으로 초청돼 20일 출국한다는

 


이 감독은 “일상 소재에서 짙은 성찰과 잔잔한 웃음을 끌어내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동영상을 보시려면 음악을 끄고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