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s Kann, piano (03:26)
Fur Elise (엘리제를 위하여) - Beethoven (베토벤)
이 곡은 멜로디가 경쾌하고 비교적 연주가 쉬워 특히 어린이들이 즐겨 연주하는 깔끔하고 사랑스런 피아노 소품이다.
엘리제가 어떤 여성인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베토벤이 그 초고에 “테레제의 추억을 위해,1810년 4월27일 ,
L V,Beethoven''이라 쓴 것으로 보아, 당시 베토벤이 연정을 품고 있던 17살의 여성인 테레제 마르파티가 아닐까 하고 추정되며, 아름다운 여성에게 바치기 위한 곡이었던 만큼 열정과 재치가 뛰어난 작품이다.
영화에도 실려있는 베토벤의 이 사랑스런 피아노 소곡 `엘리제를 위하여'를 헌정받은 여인은
테레제 폰 말파티(Therese Malfatti)로 알려져 있다.
테레제는 베토벤의 피아노 제자였는데 그는 한때 그녀와의 결혼을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었지만 성사되지는 않았다.
그는 틈만 있으면 테레제의 집을 방문했고 또 열렬한 사랑의 편지를 그녀에게 보냈다.
이때 베토벤은 40세, 테레제는 23세 엘리제를 위하여'는 그가 40세인 1810년 봄에 테레제에 대한 열렬한 애정으로
작곡되었다는 일화다.
1808년에 작곡된 이 유명한 피아노곡의 원본은 유실되었고다만 이 악보의 인쇄작업에서 알아보기 힘든 베토벤의 필체가 잘못 읽히는 바람에 ‘테레제’가 ‘엘리제’로 바뀌어버린 것이라고 한다
아름다운 여성에게 바치기 위한 곡이었던 만큼 열정과 재치가 뛰어난 작품 이다..
피아노를 위한 두도막·세도막형식의 소품에 붙이는 명칭. ‘가벼운 작품’이라는 뜻이다. 이 명칭은 F.쿠프랭의
《클라브생 작품》(1717)에 사용된 이래 자주 쓰였으며, 18세기 후반에는 갖가지 곡종(曲種)의 소품집의 표제에
사용되었다.
베토벤의 3개의 바가텔(작품번호 33, 119, 126)은 19세기의 성격소품(character piece)의 시초로
간주되어, 낭만파에서는 서정적인 피아노소품의 뜻으로 쓰였으나, 20세기 초 바르토크의 《피아노를 위한 14개의
바가텔》(1908), 베른의 《현악4중주의 6개의 바가텔》(13) 등에 의해 다시 주목을 끌었다.
엘리제를 위하여.....이야기
이 곡은 베토벤이 39세 되던 1810년에 작곡한 곡이지만 그가 죽은 다음 발견된 피아노 소품곡이며. 여기서
엘리제`는 당시 베토벤의 주치의의 조카딸이었던 테레제 말파티라는 여인으로 추측되는데 그의 자필 악보에
테레제를 위하여 4월 27일 L.v, 베토벤의 회상` 이라고 씌어 있다.
작은 론도 형식의 다소 애수를 띈 귀엽고 사랑스런 작품으로 널리 알려진 소품이다.
이 곡이 작곡된 연대는 밝혀지지 않고 작곡자인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이 죽은 다음 어떤
부인의 장서 속에서 <베토벤에 의해 작곡, 엘리제의 추억을 위하여>라는 자필로 쓴 題名(제명)의 악보가
발견됨으로써 햇빛을 보게 된 것이다.
감상적이고 정서에 넘치는 小品(소품)으로서 피아노를 치는 사람들의 거의 전부가 연습곡으로서 먼저 연주하리만큼
애호되는 곡...
베에토벤은 평생을 우울하게 살다간 작곡가입니다.
음악을하는사람이 청각 장애인이라니 믿겨지지 않는 얘기다.
그가 작곡한 곡 들 중 예외적으로 아주 예쁘고 귀여운 곡이 있습니다.
엘리제를 위하여.. 피아노 연습곡 소품인데 클래식 기타곡으로도 아주 사랑받고있는 곡.
그런데 그 "엘리제"가 누구냐는 아직 아무도 모르고 그저 추측할 따름이다.
대표적인 세가지 이야기를 소개한다.
1.이 곡이 작곡된 연대는 밝혀지지 않고 작곡자인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이 죽은 다음
어떤 부인의 장서 속 에서 <베토벤에 의해 작곡, 엘리제의 추억을 위하여>라는 자필로 쓴 題名(제명)의 악보가
발견됨으로써 햇빛을 보게 된 것.
엘리제라는 여성과 베토벤의 로맨스에 이 곡을 결부시켜 보려는 사람도 있지만, 이것은 기실 베토벤이 귀여운
제자였던 한 소 녀의 피아노 연습곡으로 쓴 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감상적이고 정서에 넘치는 小品(소품)으로서 피아노를 치는 사람들의 거의 전부가 연습곡으로서 먼저 연주하리만큼 애호되는 곡.
이 곡은 <정열의 꽃>이라는 이름의 가사를 붙여서 유행가로도 불리운다.
2.엘리제를 위하여(부제:불멸의 연인에게)
초창기 미 항공 우주국은 인공위성을 쏘아 올릴 때 침팬지와 함께 베토벤의 운명을 집어 넣었다고 한다.
행여나 외계인이 발견했을 때 지구인들은 이런 문화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라고 한다.
이처럼 베토벤은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인물 중의 하나고 가장 유명했던 인물 중의 하나였다.
아니 하나일 것이다.
베토벤은 여러 선생들한테 음악 수업을 받았다.
하이든과 작곡에 관한 유명한 저자인 게오르그 알브레히츠 베르에게 1년간 대위법을 배웠고 궁정 오르가니스트
크리스티안 고틀로프 네페에게서 사사 받았으며, 이태리 오페라 작곡가 안토니오 살리에리 에게도 성악 작곡에 대한
수업을 받았다.
그러나 뭐니 뭐니해도 그의 음악의 인생은 성당의 가수로 있었던 아버지의 고된 훈련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왠지 '샤인'의 냄새가 나지 않는가?)
베토벤은 곡이 대체로 웅장하고 힘이 있다.
근대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교향곡이 9곡 밖에 되지 않는다.
하이든이 100곡, 모챠르트의 50곡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숫자이다.
하긴 베토벤의 교향곡은 매우 길고 장대하기 때문에 곡이 적을 뿐 아니라 그가 엄청난 노력파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는 의자에 앉아서 머리를 쥐어짜는 스타일이 아니라 평상시에 한 구절이 생각나면 바로 메모에 적는 습관이 있다.
한마디로 그 자리에서 바로 한곡을 완성하는 모챠르트와는 정반대 스타일이다.
했다는걸 알 수 있다.
'나는 추방당한 사람처럼 혼자 살아야만 하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회와 섞일 수 있다.
사람들에게 가까워질 때면 무서운 공포감이 나를 사로잡고 상대방이 나의 사태를 알게 될까 두렵기만 하다.
(중략)나를 다시 일으켜 세워 준 것은 오직 나의 예술이었다.
(중략)오 신이시여 단 하루만이라도 나의 순수한 즐거움을 내게 허락해 주소서. 진정한 즐거움이 나의 심장에서
메아리 친지가 너무도 오래되었습니다.
' 여기서 순수한 즐거움이란 소리를 말한다.
26살때부터 청각에 이상이 생기기 시작했고 50살 쯤에 아예 소리를 못 듣게 되었다.
그러면 베토벤은 어떤식으로 악상을 떠올렸을까?
베토벤은 자주 오랫동안 산책하면서야외에서 작곡하는 습관이 있었다.
thayer의 베토벤의 생애란 저서에는 이렇게 나온다.
나는 악상들을 자연에서, 숲속에서, 산책하면서, 밤의 침묵 속에서, 이른 새벽에 포착 할 수 있었다.
시인의 경우에는 그것을 말로 바꾸지만 나는 음표로 바꾼다.
' 과연 대자연에 동화되어 베토벤에게서 그런 웅장한 곡이 나오나보다.
그러나 베토벤에게도 소프트한곡을 발견 할 수 있다. 피아노를 배우는 아이들이 웬만큼 바이에르를 떼면 먼저
손대게 되는 곡이 바로 '엘리제를 위하여'이다. 바이에르 연습곡집 맨 끝에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베토벤답지 않게 달콤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지닌 이 소품은 사실은 베토벤이 이루지 못했던 사랑얘기가
숨겨져 있다.
이 곡의 악보는 베토벤이 죽은지 40년뒤에 뮌헨에서 발견되었는데 악버에는'엘리제를 위하여.4월 27일, 추억을
기리며. 베토벤'이라 적혀 있었다.
그러나 그의 생애를 보면 엘리제라는 여성과 사귄 적이 없다.
여러 학자들이 짐작해 보건데 본래 테레제라 쓴 것을 잘 못 읽고 엘리제라 출판되었기 때문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베토벤의 글씨는 지독한 악필로 유명해서 아마도 잘못 썻다는 것이 우세하다.
그 여성의 정식 이름은 테레제 폰 말파티 베토벤이 빈에서 가르치던 제자였고 그녀에게 청혼한 것이 39세때였고
그녀는 겨우 18살이었다.
나이차 뿐만 아니라 당시 귀족신분과 천한 음악가라는 신분차이 때문에 도저히 이루어 질 수 없는 청혼이었다.
여자는 얼마 후 헝가리 귀족과 결혼했다.
이 곡은 거절당하기 직전에 사모하던 테레제에게 보낸 사랑의 음악 편지였다.
달콤하고 애틋한 멜로디는 젊은 연인에게 바친 그의 깊은 애정을 호소하는 것 같다.
그가 죽은 뒤 유품속에서 '불멸의 연인에게' 라고 적힌 연애편지 3통이 나왔는데 상대의 이름은 적히지 않아
오늘날까지도 연구가들 사이에 추측이 난무하는데 테레제가 아마도 그 많던 연인들 중의 그 편지의 주인공이지
않을까 싶은 연구가도 있다.
엘리제를 위하여.... 나두 이곡을 들으면서 그녀와의 향수에 젖어봐야 겠다.
-ludwig van beethovens의 엘리제를 위하여를 들으며-
3.베토벤의 엘리제를 위하여는 여인으로 추측 되긴 하지만 .옛날 부터 가난 했던 베토벤의 특별 한 가족이었던강아지
이름이라고 한다
모두다 엘리제의 이름을 보고 여인이라 추측되겠지만,베토벤의 일생에서 소중했던 강아지를 잃은 슬픔에 잠겨서
이 엘리제를 위하여를 지었다고 한다
여인으로 추측 하는거 이제 그만 엘리제라는 이름도 한예술가에게는 무엇보다 소중한 가족이라고...
[펌]
베토벤
Beethoven, Ludwig van 1770~1827
독일 작곡가. 본 출생.
최성기의 고전파에서 초기 낭만파에의 전환기에 56세의 생애를 보낸 베토벤은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뒤를 이어 고전파 양식을 내용과 형식면에서 확립 고전파 음악양식을
최고 정상까지 높이는 동시에 19세기 음악가들의 우상적 존재가 되었으며 후세에 많은 영향을주었다
조부 루드비히 는 궁정악장이었으며 궁정가수였던 아버지와 궁정의 하인이었던 어머니 막달레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그를 제2의 모차르트와 같이 천재를 만들기 위해 엄한 피아노 교육을 시켰고 7세 때에는 연주회를
가지기도 하였다.
어린시절 여러 사람으로부터 개인교수를 받아 10세 때 C. G.네페에게서 J.S .바흐와 C.P.E.바흐의 작품을 배워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16세 때 모차르트를 동경하여 빈으로 유학을 떠났지만 어머니의 급병 소식을 듣고 본으로 돌아와 어머니를 잃은 후
폐인이 된 아버지를 대신하여 가장으로서의 책임을 지게되었고, 이 때 브로이닝가의 도움을 받게되어 첫 애인
엘레오노를 만나게 되었다.
1792년 본을 방문한 하이든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같은 해에 비인으로 향하여 하이든과 J.센크 ,
J.G.알브레히츠베르거 밑에서 작곡을 배우면서 피아노 연주 활동을 하게되었다.
빈 생활 3년째에 자작 피아노협주곡 제2번을 연주하였고, 작곡가로서는 피아노3중주곡집을 출판하였으며 1796년에는 보헤미아와 독일 등지에서 연주여행을 하는 등 연주와 작곡 면에서 순조로운 활동을 하게되었다.
27세 무렵부터 느끼던 난청이 귓병으로 악화되자 1802년에는 자살까지 결심하였으나, 하일리겐슈타트의 유서 를 계기로 교향곡 3번 《영웅》 5번 《운명》 을 발표하게 되었다.
1808년에 베스트팔렌 국왕이 카셀궁전에서 악장으로 초빙하자 좋은 경제적 조건 때문에 카셀로 가려했으나, 빈의
루돌프大公 을 비롯한 귀족들이 연금을 출자하여 평생을 오스트리아에 정착하도록 경제적 지원을 하였다. 1813~16년 까지는 그의 연서(戀書) <내 불멸의 애인이여>의 상대방인 브렌타노부인과의 비극적 사랑 때문에 작곡활동이 침체되기도 하였다.
1818년에는 청각을 거의 상실하여 필담으로 대화하였으며 1924년 그의 음악의 총결산인 교향곡 9번 《합창》을
80명이 넘는 오케스트라와 4명의 독창자, 100명의 합창에 의해 초연하게 되었다. 1826년 12월부터 간경변으로
수술을 되풀이 하였으나, 1827년 3월23일 죽음을 깨닫고 유서를 작성하여 3월 26일 생애를 마쳤다.
본 시절(1782~92년)
본에서 접촉하고 배운 여러 가지 양식을 짙게 반영한 학습시절이다.
건반악기를 위한 선제후(選祭候) 소나타는 C.P.E.바흐와 만하임악파의 영향과 함께 그의 독자성도 나타나 있다.
모차르트에 대한 그의 찬미는 3개의 클라비어 4중주곡에 나타나있다.
빈 초기(1793~1802년)
개인교수에 의한 대위법 학습으로 시작되는 이 시기는 고전파 기악양식을 습득, 발전, 실험함으로써 그의 독자적
양식이 차츰 선명하게 나타난 시절이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는 《피아노3중주곡집 작품1》《피아노 소나타 작품2》 대위법적 수법이 적극 도입된《현악4중주곡집 작품18》과 《교향곡1번》 《교향곡2번》 피아노소나타 《비창》 《피아노 협주곡 제1번》《피아노 협주곡
제2번》 등이 있다.
빈 중기(1803~12년)
걸작이 많이 배출된 시기로 이 시기에는 극히 논리적인 형식 속에서 감정의 흐름을 극적으로 전개하는 새로운 양식을
도입하였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교향곡3번 《영웅》부터 제 6번 《전원》에 이르는 4곡의 교향곡과 《코리올란 서곡》《피아노
협주곡 제4번》 《바이올린협주곡》 《라주모프스키 현악4중주곡집》 오페라 《피델리오》등과 1809년 이후 구축적인 주제의 전개를 중심으로 한 양식에서, 피아노 3중주곡집 《대공(大公)》에서 보여준 것처럼 선율적 주제에 의한 서정적 양식으로 변해갔다.
한편 《교향곡 제7번》과 《교향곡 제8번》에서는 리듬이 주요한 역활을 하게 되었다.
빈 후기(1813~26년)
작품의 침체기가 되는 1813년부터 1816년 까지의 시기는 가곡집 《멀리 있는 애인에게》를 비롯하여 기악 작품에서도 낭만파적 색채가 강해지는데, 1817년에 착수한 피아노 소나타 《하머클라비어》를 출발점으로 다시 거대한 형식으로
되돌아가 후기양식의 정상으로 올라선다.
후기양식의 특색은 푸가로 대표되는 대위법적 수법 및 변주기법을 중요시한 것이며, 시대를 초월한 다채로운 울림의
세계를 창조해갔다.
성악과 기악이 일체화된 《장엄미사곡》과 《교향곡 제9번》 《피아노 소나타 No 106,109,110,111》 《현악4중주곡 No 127,130,131,135 》의 5곡과 《디아벨리 변주곡》 《大푸가》는 바로크시대부터 최성기 고전파에 이르는 음악을 베토벤이 총결산한 작품으로서 주목된다.
베토벤의 가장 큰 업적은 성악에 대하여 열등한 것으로 여겨지던 기악음악을 최고의 위치로 부상시킨 데 있으며
음악사적으로는 그에 의해서 주제의 설정과 그 주제조작에 의해 곡이 만들어졌고, 그 결과 소나타 형식을 개혁, 음악에
정신적인 깊이를 부여한 점에 중요성이 놓인다.
' CLASSIC ' 카테고리의 다른 글
.S. Bach Orchestral Suite No.3 In D Major (BWV 1068) (0) | 2016.08.13 |
---|---|
Schubert Moments Musicaux D.780/Claudio Arrau (0) | 2016.08.12 |
Wolfgang Amadeus Mozart의 삶과 생애 (0) | 2016.08.11 |
Brahms - Double Concerto in A minor, Op 102 (0) | 2016.08.10 |
Brahms - Alto Rhapsody op.53 / Natalie Stutzmann, contralto (0) | 2016.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