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경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인물은 누구일까?
바로 작곡가 "Wolfgang Amadeus Mozart(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다.
2006년 1월 27일은 모차르트가 태어난 지 250년이 되는 날로, 그의 고향인 잘츠부르크시는 "모차르트 해"를 맞이해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를 준비 중에 있다.
행사 홍보를 담당하고 있는 Osterreich-Werbung(오스터라이히 베르붕)社의 대표인 Arthur Oberascher(아투어
오버라셔)씨는 "모차르트"라는 이름이 갖는 경제적 가치를 조사하여 발표했는데, 그 상표가치가 무려 54억 유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이 수치는 세계 Top 브랜드 5에 해당하는 것으로,L'Oreal(로레알), Volkswagen(폭스바겐), MTV(엠티비) 등의
유명 상표보다 "모차르트"가 가지는 상표의 가치가 더 큰 셈이다.
올해로 탄생 250주년이 되는 모짜르트의 진짜 두개골을 발견했다는 과학자들이 있다.
AP통신은 1월 3일 모짜르트의 두개골에 대한 DNA 확인이 되었다는 보도를 했다.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잘츠부르크 출생인 모차르트는어렸을 때부터 재능을 나타내 4세 때 건반 지도를 받았고
5세 때에 소곡(小曲)을 작곡하였다.
아버지는 그의 뛰어난 재능을 각지의 궁정에 알리기 위하여 아들이 6세 되던 해부터 1762년 7월 바이에른 선거후의 궁정이 있는 뮌 헨에 가서 연주하고, 이어 빈에서는 여황제 마리아 테레사 앞에서 연주를 하였다.
그가 작곡가로서의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받은것은서유럽을 일주하다시피 한 여행(1763∼66)이었다.
그는 파리에서 알게 된 J.쇼베르트(1720?∼67)와런던에서 알게 된 J.C.바흐(J.S.바흐의 막내아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한 파리에서는 바이올린소나타를, 런던에서는 최초의 교향곡(제1번 En장조) 등을 작곡 하였는데, 이 교향곡은
8세 때의 작품이다.
The Boy Mozart
Pietro Antonio Lorenzoni
1763
두번째로 빈을 다녀온 후, 69~73년에는 3번에 걸쳐 이탈리아를 여행하였는데 그 동안 교황으로부터 황금박차(拍車)
훈장을 받고, 볼로냐의 아카데미아 필라르모니카의 입회시험에 뛰어난 성적으로 합격 하였다.
그때 볼로냐에서 마르티니로부터 음악이론·작곡을 배운 일과 이탈리아의 기악·성악에 직접 접한 일 등은 그 후의 교향곡·오페라·교회음악 창작 에 풍부한 자극이 되었다.
그는 이때 10대 소년으로 오페라의 작곡 의뢰를 받고 밀라노에서 작 곡한 오폐라를 상연(1770)하였는데, 제2회(71)와 제3회(72∼73)의 이탈리아 여행은 그 곳에서 오페라를 작곡 상연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그 후 77년까지는 주로 잘츠부르크에만 머물면서 미사곡 과 사교적인 작품을 많이 작곡하였으나 차차 그 직무에 불만을 갖기 시작하여 77년 가을부터 79년까지 어머니와 함께 다른 궁정에 취직하기 위하여 만하임·파리를 여행하게 되었다.
목적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음악면에서 만하임악파와 접촉하는 수확이 있었다.
이때 《파리교향곡》 (1778) 외에 많은 작품을 작곡하였다.
또한 만하임에서의 아로이지아 베버와의 사랑, 파리에서의 어머니의 죽음 등 인생의 경험을 하게되였다.
Wolfgang Amadeus Mozart, 1803
Gouache on parchment
Unknown artist
© Wien Museum
여행에서 돌아온 후 궁정음악가로서의 활동 을 계속하였으나, 80년 말 뮌헨궁정으로부터 의뢰받은 오페라 《크레타의
왕 이도메네오》의 상연을 위하여 잘츠부르크를 떠난 것이 계기가 되어, 그 때까지 마음 속에 품고 있었던
대주교 히에로니무스와의 불화가 표면화하여, 모차르트는 아버지의 반대와 사표의 반려에도 불구하고 빈에서 살기로
결심, 그의 인생의 후반이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빈에서는 처음 작곡·연주(피아노)·교육활동을 하였으며, 오페라 《후궁(後宮)으로부터의 도주》(82)와
《하프나교향곡》(82), 피아노협주곡 등을 작곡하였고 82년 8월에는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아로이지아의 여동생 콘스탄체와 결혼을 하였다.
그가 빈에 머무는 동안에 작곡한 교향곡이나 현악4중주곡은 하이든의 것과 함께 고전파시대의 전형적인 스타일을
확립하는 작품이 되었다.
하이든과는 85년경에 직접 알게 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사이가 되었다.
빈시대의 후반에 접어들자 모차르트의 작 품세계는 한층 무르익었으나, 그 반면 빈의 청중들의 기호로부터는 차차
멀어져, 생활은 어려 워지고 친구들로 부터 빌린 빚도 많아졌다.
Mozart at keyboard
86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그러한 상황이 눈에 띄게 나타났는데 《피가로의 결혼》(86)이나 《돈 조반니》(87) 등의
오페라는 이 시기의 걸작들이다.
후자가 초연(初演)된 해 4월 베토벤이 찾아왔고 5월에는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구르크의 뒤를 이어 궁정실내작곡가의 칭호를 받았으나, 이것은 이름뿐이고 경제적으로는 그다 지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듬해에는 닥쳐오는 경제적인 궁핍 속에서 이른바 3대교향곡 《제 39번 E장조》 《제40번 G단조》 《제41번 C장조:주피터교향곡》을 작곡하였다.
그 후에도 모 차르트는 몇 차례 여행을 하였다.
89년의 베를린 여행에서는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 름 2세를 알현하여 작곡 의뢰를 받았다.
이듬해 초에는 오페라 부파 《코시 판 투테》를 완성하고, 가을에는 레오폴트 2세의 대관식이 거행되는 프랑크푸르트로 가서 《대관식협주곡》 등을 포함한 연주회를 열었으나 빚은 늘어날 뿐이었고 91년 8월 의뢰받은
오페라 《티투스제(帝)의 인자(仁慈)》의 상연을 위하여 프라하로 여행하였으나 이 때부터 건강이 나빠지기
시작하였다.
SCHINKEL, Karl Friedrich
Stage set for Mozart's Magic Flute
1815
Gouache, 463 x 616 mm
Staatliche Museen, Berlin
9월에는 징그슈필의 대작 《마적(魔笛)》을 완성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나, 《레퀴엠》을 미완성 인 채 남겨 두고
12월 5일 빈에서 세상을 떠났다.
묘는 빈시의 성마르크스묘지에 있다.
36세도 채 되지 않은 짧은 생애였으나, 어려서부터 창작활동을 해 왔기 때문에 모차르트가 남긴 작품은 성악·기악의 모든 영역에 걸쳐 다채롭다.
그의 공적은 하이든과 함께 빈고전파의 양식을 확립한 데 있으며,그를 앞섰던 이른바 전고전파(前古典派)의 여러 양식을 한몸에 흡수,하이든 과도 뚜렷이 구별되는 개성적인 예술을 이룩하였다.
모짜르트에 대한 말
작곡가 베토벤
"나는 언제나 스스로를 모짜르트 숭배자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해 왔다.
아마 죽는 날까지 그럴 것이다."
작곡가 브람스
"우리가 모짜르트처럼 아름다운 음악을 쓸수는 없더리도.
최소한 그 처럼 순수한 곡을 쓰려고 노력은 해야하지 않겠는가."
작곡가 차이코프스키
"내가 음악에 삶을 바칠수 있었던 건 모짜르트 덕분이었다."
작곡가 생상
"그에게 동화 한편만 들려주면. 곧장 아무런 노력 없이도
위대한 음악을 만들어낼 것이다."
작곡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나는 모짜르트처럼 작곡할 수는 없다.
단지 그를 존경할 수 있을 뿐."
지휘자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나이 어린 모짜르트도. 나이 든 모짜르트도 없다. 그는 이미 작곡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천재였다."
소프라노 바바라보니
"오페라 `마술 피리`를 보면 마치 다른 세상에서
받아쓴 것 같다
그래서 사람들이 아기에게 모짜르트를 들려주는 것일지 모른다."
지휘자 존 엘리엇 가디너
"모짜르트는 내가 사랑하는 17~18세기 모든 음악의 정점에 서 있다."
모짜르트의 음악은 영재교육 음악과 치유 음악으로서 널리 알려졌다.
이 용어는 1993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심리학자 프랜시스라우셔(Francis Rauscher) 교수팀이 처음
제기했다.
라우셔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아이큐 테스트를 하기 위해 모짜르트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D장조 k.448」을 들려주었다.
이 음악을 들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다른 집단보다 공간지각능력(spatial reasoning skill)에서 더 높은 점수가 나온 결과, 어릴 적부터 모짜르트 음악을 들으면 머리가 좋아진다고 주장했다. 그 뒤로 모짜르트 음악은 영재교육 음악과 치유 음악으로서 널리 알려졌다.
이와 같이 모짜르트의 음악은 어린 상추 잎을 빨리 자라게 하고 어린이의 지능을 향상케 하며, 마음의 병을 치유하는 능력을 지녔다고 한다. 즉,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외치는 ‘힐링’에 적합한 음악이라 할 수 있다.
음악학자들은 그가 이미 10세에 하이든의 50세 때의 작곡기법을 보여준다고들 한다.
모짜르트, 천재가 되기 위한 조건
모짜르트의 아버지 레오폴트는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음악 선생님이며 잘츠부르크 대주교의 궁정 부악장으로
일했다.
그가 집필한 바이올린 주법에 관한 저서《Versuch einer grundlichen Violinschule》은 18세기 음악 양식의 연구에 중요한 본보기로 전해지고 있다.
미음을 먹였다.
레오폴트는 그의 천재성을 알아보고 4세부터 피아노를 가르쳤다. 어린아이 모짜르트가 30분 만에 작은 미뉴에트(minuet)를 완벽하게 연주해 내어, 음감과 리듬감은 물론이고 언어감각도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집중력이 뛰어나 숫자에 관심이 생기자 온 집안의 바닥을 숫자로 뒤덮었고 4세가 되어 집중해서 악보를 그리기 시작하였으며, 6세 전에 이미 작은 피아노 소품들을 작곡하였다.
6세의 생일이 막 지나서 어머니의 품을 떠나 아버지와 누나를 따라 뮌헨으로 첫 연주 여행을 떠나고, 그 뒤로 연주 여행은 그에게 삶이 되어 버렸다.

1781년 아버지의 그늘을 벗어나 빈으로 향한 모짜르트는 만하임(Mannheim)에서 알게 된 베버 부인을 다시 만나 그녀의 집에 하숙을 부쳤다. 1777년 베버 부인의 둘째 딸인 성악가 알로이지아 베버(Aloysia Weber)와 사랑에 빠져 결혼을 결심하였으나 아버지 레오폴트가 극구 반대하여 뜻을 이루지 못했다. 결국 알로이지아는 다른 남자와 결혼해 떠나 버리고 베버 부인은 두 딸과 함께 지냈다. 이때 모짜르트는 갓 열아홉 살 된 셋째 딸 콘스탄체와 사랑을 나누게 되고, 또다시 그의 아버지와 누나 난널이 극렬하게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1782년 결혼식을 올렸다.
모차르트의 친필 악보.

성마르크스(St. Marxer Fridhof) 모짜르트 묘지
그가 죽은 다음날 슈테판성당에 안치돼 가족과 친구들이 함께해 장례미사를 올렸다. 그리고 차가운 바람이 몰아치는 겨울날 저녁, 그의 알몸은 하얀 마포 부대에 넣어져 성마르크스(St. Marxer Fridhof) 묘지에 묻혔다. 삶의 마지막을 오스트리아 황실의 궁정악장으로 지냈을 뿐만 아니라, 세기의 음악가로 명망 높은 그의 장례식이 너무 검소하다 못해 비석이라든가 십자가 하나 없이 초라한 무덤이었다.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 당시의 중요한 음악가들은 모두 궁정에 소속되어 있었다.
요즘이야 CD를 사거나 MP3를 다운받으면 얼마든지 세계 최고의 음악을 들을 수 있지만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다.
최고의 음악을 들으려면 궁정으로 직접 찾아가야 했던 것이다.
모차르트의 아버지가 모차르트를 이용해 ‘천재 마케팅’을 한 것은 그래야 모차르트의 재능을 보기 위해 왕족과 귀족이
모여들 것이고 그들을 초대할 때 연주하는 궁정음악가들도 천재소년에게 뒤쳐질까봐 최선의 연주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모차르트의 아버지는 천재의 아버지들이 흔히 그러하듯이 모차르트의 천재성에 의지하여 무작정 과도한 요구를
하지 않았다.
오히려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방법으로 모차르트를 교육시켰다.
어머니 안나 마리아
우선 클라비어(피아노)나 바이올린과 같은 기본 악기를 철저히 연습시키는 한편, 처음에는 미뉴에트 같은 소품을
자곡하도록 하고 이어서 피아노 독주, 피아노 2중주, 피아노 3중주, 피아노 변주곡 순으로 단계적으로 복잡한 음악을
작곡할 수 있도록 이끌어 갔던 것이다.
이런 체계적인 지도법 덕분에 모차르트는 8세 때 런던에서 첫 교향곡을 작곡할 수 있었고 12세 때는 오페라 부파, 징슈필, 미사곡 등 장중한 규모의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한편 모차르트와 그의 아버지는 평생에 걸쳐 애증의 관계를 유지했는데 모차르트는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보다
자유로운 창작을 위해 궁정소속 음악가의 길을 버리고 독립음악가의 길을 선택했으며 아버지가 극구 반대한 콘스탄체 베버와 결혼하는 등 아버지가 하라는 정 반대로만 행동했다.
그리고 그 둘의 관계는 아버지가 죽을 때까지 회복되지 못했는데 어쩌면 그것은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혹사당한 것에
대한 모차르트의 반감의 표현이었을지도 모른다.
' CLASSIC '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hubert Moments Musicaux D.780/Claudio Arrau (0) | 2016.08.12 |
---|---|
Beethoven -Fur Elise (0) | 2016.08.11 |
Brahms - Double Concerto in A minor, Op 102 (0) | 2016.08.10 |
Brahms - Alto Rhapsody op.53 / Natalie Stutzmann, contralto (0) | 2016.08.10 |
Rossini - William Tell Overture (0) | 2016.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