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31일 김정은 지도로 대구경 방사포 시험사격"
군 당국은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오인했을 경우 논란 예상
조선중앙통신 "김정은 지도하에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
"과녁에 놓이는 일을 자초하는 세력에겐 털어버릴 수 없는 고민"
대구경 방사포, 탄도미사일과 혼동되는 경우 있다고 알려져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31일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하에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고 분석했기 때문에 군이 이를 오인한 것으로 밝혀질
경우 논란이 예상된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동지께서 7월 31일 새로 개발한 대구경조종방사포의 시험사격을 지도하셨다"고 1일 전했다.
통신은 "시험사격을 통해 새로 개발한 신형대구경조종방사탄의 전술적 제원과 기술적 특성이 설계값에 도달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확인되고, 무기체계 전반에 대한 전투적용 효과성이 검증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이 "시험사격결과를 보고 정말 대단하다고, 이 무기의 과녁에 놓이는 일을 자초하는 세력에게는
오늘 우리의 시험사격 결과가 털어버릴 수 없는 고민거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지난달 31일 오전 5시 6분과 5시 27분쯤 북한이 원산 갈마 일대에서 동북방 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만약 1일 북한 언론이 내놓은 발표가 사실이라면, 군 당국이 방사포를 미사일로 잘못 판단한 셈이 된다.
다만, 대구경 방사포는 사거리가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비슷해 레이더 궤적만으로는 탄도미사일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고도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미 군사연습과 남측의 신형군사장비
도입에 반발해 지난 25일 신형전술유도무기(단거리 탄도미사일)의 '위력시위사격'을
직접 조직, 지휘했다고 조선중앙TV가 26일 보도했다. 중앙TV가 공개한 사진에는
이동식 미사일발사차량(TEL) 주변을 돌아보는 김 위원장 모습이 담겼다.
2019.7.26 nkphoto@yna.co.kr

조선중앙통신은 오늘(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새로 개발한 대구경조종방사포의 시험사격을 지도하셨다"고 전했다.
또 "시험사격을 통하여 새로 개발한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탄의 전술적 제원과 기술적 특성이 설곗값에 도달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확인되고 무기 체계 전반에 대한 전투 적용 효과성이 검증됐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이 무기의 과녁에 놓이는 일을 자초하는 세력들에게는 오늘 우리의 시험사격 결과가 털어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어제 북한이 오전 5시 6분과 5시 27분경 원산 갈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고 발표했다.
만약 북한 발표가 사실이라면 군이 북한의 신형 방사포를 미사일로 오인한 것이다.
北 김정은, 新방사포 시험사격 "과녁 자초한 세력에게 고민거리로
지상군사작전 주역 맡게 될 신형 조종 방사탄"
"또 하나의 우리식 방사포 무기체계 만들어"
【서울=뉴시스】김지훈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엿새 만의 무력시위에 동원한 것은 새로 개발한 대구경 조종 방사포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일 "최고령도자 김정은 동지께서 7월31일 새로 개발한 대구경 조종 방사포의 시험사격을 지도
하시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25일 호도반도 일대에서 신형전술유도무기 위력시위사격을 지휘하며 "첨단공격형 무기들을 반입하고, 군사연습을 강행하려고 열을 올리고 있는 남조선 군부호전세력들에게 엄중한 경고를 보내기 위한 무력시위의 일환"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은 엿새 만에 강행한 무력시위에서 남측 당국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메시지는 내지 않았으나, '지상군사작전'의 '과녁에 놓이는 일을 자초하는 세력'이라는 표현을 통해 이번 시험사격 역시 남측을 겨냥한 메시지를 담고 있음을 내비쳤다.
중앙통신은 "포병 현대화 전략적 방침에 따라 단기간 내에 지상군사작전의 주역을 맡게 될 신형 조종 방사탄을 개발
하고 첫 시험사격을 진행(했다)"이라며 "시험사격을 통하여 전술적 제원과 기술적 특성이 설계값에 도달하였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확인되고, 무기체계 전반에 대한 전투 적용 효과성이 검증되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시험사격 결과에 "정말 대단하다"며 "이 무기의 과녁에 놓이는 일을 자초하는 세력들에게는 오늘 우리의
시험사격 결과가 털어버릴 수 없는 고민거리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중앙통신은 전했다.
중앙통신은 "최고령도자 동지께서는 시험사격 결과에 거듭 만족을 표시하시면서 인민군대의 전투력을 비상히 강화하는데서 커다른 전략적 의의를 가지는 또 하나의 훌륭한 우리식 방사포 무기체계를 만들어낸 국방과학부문과 군수노동계급의 공로를 높이 평가하시었다"고 선전했다.
중앙통신은 아울러 이번 시험사격에는 "조용원 동지, 리병철 동지, 유진 동지, 김정식 동지, 박정천 동지가 동행
하였다"며 "현지에서 장창하 동지, 전일호 동지를 비롯한 국방과학부문의 지도간부들이 맞이하였다"고 덧붙였다.
jikime@newsis.com
![[북 탄도미사일 ‘저고도’ 발사]남측 방공체계 무력화 능력 과시…‘한·미 훈련 중단’ 또 압박](http://img.khan.co.kr/news/2019/07/31/l_2019080101000041800305371.jpg)
6일 전 발사에도 한·미, 연합훈련 중단 의지 없자 재차 촉구
실무협상 지지부진 상황서 미국 셈법 변화 이끌어낼 목적도
정경두 “우릴 위협·도발한다면 북한은 당연히 ‘적’에 포함”
북한이 31일 강원 원산 갈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두 발을 발사하면서 엿새 만에 다시 무력 시위를 했다. 이번 미사일은 지난 25일 발사한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와 유사한 것으로 군 당국은 추정한다.
특히 저고도 발사로 남측의 방공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하면서 대남·대미 압박의 강도를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 저고도 발사로 위협
북한이 이날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약 30㎞ 고도로 약 250㎞를 비행한 것으로 군 당국은 추정했다.
지난 25일 쏜 미사일이 50㎞ 고도로 약 600㎞를 날아간 것에 비해 고도와 비행거리가 줄어든 것이다.
군 당국은 북한이 일부러 고도를 낮춰 비행성능을 시험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고도가 낮을수록 탐지·추적 및 요격이 어려워 위협적이다.
합참은 이날 발사를 ‘시험발사’로 평가했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고도가 낮을수록 요격을 준비하고 실행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진다”며 “북한이 신형 미사일을 활용할 수 있는 여러 시나리오를 시험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엿새 전처럼 하강 단계에서 풀업(Pull-up·급상승) 등 요격을 피하기 위한 기동을 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이 높다.
합참이 지난 미사일과 유사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회피 기동을 통해 250㎞보다 더 날아
갔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비행거리가 줄어든 것은 파괴력을 높이기 위해 탄두 무게를 늘렸기 때문으로 볼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든 북한이 신형 미사일 시험발사를 통해 위력을 과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발사 현장에서 참관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이날 미사일 발사엔 다목적 포석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다음달 초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 중단을 재차 촉구하기 위한 의도이다.
한·미는 2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에도 훈련을 진행키로 했다.
한국이 스텔스 전투기인 F-35A를 잇따라 들여오자, 북한이 신형 미사일을 통해 이를 견제하려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특히 북한이 잇따라 미사일 시험발사를 감행한 것은 북·미 실무협상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체제 안전 보장을 요구하고 미국의 ‘셈법’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압박용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향후 북·미 협상에서 성과가 없을 경우를 대비하는 한편, 긴장이 고조됐을 때 미국의 군사적 압박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뒀을 수 있다.
북한 내부적으로 하계 훈련기간을 계기로 군 사기를 올리는 등 내부 결속을 도모하려는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무기 개발에 손놓은 상태에서 미국과의 협상이 결렬되면 김 위원장은 군부 강경파의 극심한 반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 “풀업 기술 우리도 있다”

국회 온 합참 정보본부장 합동참모본부 김영환 정보본부장(왼쪽) 등 군 관계자들이
31일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보고를 하기 위해 국회 정보위원장실로 가고 있다.
연합뉴스
정경두 국방장관은 이날 한국국방연구원(KIDA)이 개최한 국방포럼에서 “(북한의 신형 미사일은) 우리 방어자산의
요격 성능 범위 안에 들어 있다”고 말했다. 커지는 안보 불안을 불식하려는 것이다.
다만 “최근 북한이 발사한 이스칸데르와 유사한 형태의 미사일과 관련해 저고도에서 풀업 기동을 하기 때문에 요격이 어렵지 않겠느냐고 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북한판 이스칸데르의 회피 기동 기술도 이미 한국군이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구체적으로
“풀업 기동이라고 하는 것도 훨씬 오래전에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한 기술”이라면서 “우리가 훨씬 더 우수한
정밀도를 갖고 있어 더는 불안해하지 않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육군의 현무-2 지대지 탄도미사일이 이스칸데르처럼 회피 기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동안 군 당국은 전력 노출을 우려해 현무-2의 회피 기동 기능을 공개 안 했다. 정 장관이 안보 불안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목적으로 비공개 전력을 공식 석상에서 언급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정 장관은 “우리를 위협하고 도발한다면 북한 정권과 북한군은 당연히 ‘적’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라고도 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간접적으로 경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야당이 정 장관의 대북관을 지적한 점도 의식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잇단 도발은 신종 미사일 테스트 차원… 수차례 더 쏠 가능성
실전배치 때까지 추가 시험발사 예상…
한·미 연합훈련 불만표출하며 한·미 동시압박 의도도
[
북한이 지난 25일에 이어 31일 또다시 동해상에 단거리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지난 25일 발사 때와 유사한 미사일로 추정하고 분석 중”이라며 “이번 발사는 시험발사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25일 미사일 발사에 대해 “거듭되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남조선 지역에 첨단공격형 무기들을 반입하고 군사연습을 강행하려고 열을 올리고 있는 남조선 군부 호전세력들에게 엄중한 경고를 보내기 위한 무력시위의 일환으로
엿새 만에 이뤄진 이번 발사도 당연히 대남 무력시위 성격이 있지만,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 실무협상 재개를 염두에 두고 미사일 역량 강화에 나선 측면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북한의 단거리미사일을 용인하는 태도를 보인 것도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거침없이 하도록 만들고 있다.
연이은 미사일 도발이 대미 협상력을 높이려는 목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는 “북한은
한국의 군비 증강에 반발하면서 이달 실시 예정인 한·미 연합 지휘소연습(CPX)을 중단시키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
[출처] - 국민일보
|
5월에 쏜 미사일…이번에도 유사 북한이 25일 강원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신형
단거리 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이날 발사체는 지난 5월9일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사진)과 비행거리가 유사한 미사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북한이 31일 새벽 원산 갈마 일대에서 또 단거리 미사일 두 발을 동해로 발사했다.
지난 25일 호도반도에서 북한판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 두 발을 쏜 지 엿새 만이다.
이날 미사일은 약 30㎞ 고도로 250㎞가량을 비행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더딘 북·미 간 협상과 다음주 실시되는 한·미 연합훈련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미사일 발사는 대화 분위기에 역행하는 평화 위협 행위다. 국제사회와 함께 강력 규탄한다.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는 그 자체로 큰 위협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수도 없는 도발 행위다.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는 그 주기가 짧아지고 종류도 다양해졌다는 점에 위험성이 있다.
지난주에는 석달 만에 미사일을 발사하더니 이번에는 1주일도 채 안돼 쏘았다. 게다가 이번에는 종류가 다른 미사일을 실험발사했다.
북한은 한·미 연합훈련과 한국의 F-35A 스텔스기 도입이 대화 분위기에 어긋난다고 주장한다.
또 자위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사일 실험을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미 연합훈련은 규모를 대폭 축소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실시한다. F-35A는 9·19 군사합의 이전에 도입이 확정된 것이다. 거꾸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야말로 탄도미사일의 실험을 금지한 유엔 결의안 위반의 소지가 다분하다.
다행히 북한은 미국과의 협상 분위기를 해치지 않으려 신경 쓰고 있다.
북한 매체는 최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3발을 동시 탑재할 수 있는 신형 잠수함을 소개하며 “작전수역은
동해”라고 설명했다.
북한의 잠수함과 미사일이 미국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개의치 않는다며 여전히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신뢰를 표시했다.
지난주 미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당국자가 비무장지대에서 북측 당국자와 만났다. 이 자리에서 북측이
곧 실무협상을 재개할 의향이 있다고 전했다고 한다.
북·미 실무협상이 가시권에 들어온 셈이다.
이런 중차대한 시기에 북한이 모험적 행동을 하는 것은 위험하다.
미사일 도발을 일삼는 북한에 한·미가 마냥 인내를 발휘할 수는 없다.
북한은 지금껏 미사일과 핵 실험을 중단한 것 이외에는 특별히 보여준 게 없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의 추가 미사일 도발은 자기파멸적 행동이 될 수 있다. 미국에서 북한의 핵무기에 대비하기 위해
한·미·일 3국이 전술핵을 공유하자는 발상이 나오는 판이다.
과거 벼랑 끝 전술을 펼쳐 상대방을 압박하듯 북한이 함부로 미사일을 쏴댈 때가 아니다.
북한은 긴장을 고조시키는 미사일 발사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
![]() |
지난 5월4일 북한의 타격 훈련 모습. /사진=뉴시스(노동신문 제공) |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 韓 '백색국가' 제외 법령 오늘 각의 처리 강행할 듯 (0) | 2019.08.02 |
---|---|
자발적 '日불매운동' 한달, 그들의 표정이 굳었다 (0) | 2019.08.01 |
확산되는 일본 불매운동-日여행·맥주·의류·중고차… (0) | 2019.07.31 |
해법 못찾는 한일갈등, 지금 일본에선… (0) | 2019.07.29 |
'그것이 알고 싶다' 고유정 사건, 현 남편 증언에 부실수사 논란까지…김상중도 '분노 (0) | 2019.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