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뉴시스]박주성 기자 = 검찰의 정경심 교수의 공소장 변경신청을 재판부가 기각해
검찰과 재판부의 갈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11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
조국 전 법무부장관 지지자들의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2019.12.11.
park7691@newsis.com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부인 정경심 교수가 23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전직 부장판사 “정경심 공소장 변경 불허는 중대한 위법”
전직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
“해당 재판부, 정경심에게 무죄를 선고하려고 작심”
이충상(62·사법연수원 14기)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11일 서신을 통해 “어제 정경심 피고인의 담당 재판장인
송인권 부장판사가 표창장 위조에 관한 검찰의 공소장변경신청을 불허했는데 이는 중대하게 위법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2004년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를 지낸 경력이 있다.
이 교수는 서신에서 송 부장판사의 전날 결정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그는 “기본적 공소사실이 동일하면 공소장의
나머지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라며 “사건의 기본적 공소사실은 ‘정 교수가 동양대 총장 명의의 조민(정 교수의 딸)에 대한 2012. 9. 7.자 표창장을 위조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검찰은 공소사실 중 주범, 표창장의 작성명의자, 표창장을 받는 사람, 표창장의 작성일자, 표창장 문안의 내용, 죄명, 적용법조는 원래대로 유지했다”며 “공소장 변경을 신청한 것은 5가지 항목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가 꼽은 5가지 항목은 공모자를 ‘성명불상자’에서 ‘조민’으로, 위조일시를 ‘2012. 9. 7.’에서 ‘2013. 6.’으로,
위조장소를 ‘정경심의 연구실’에서 ‘정경심의 자택’으로 검찰이 변경 요청한 것이다.
위조방법에 대해 ‘컴퓨터 파일로 표창장을 출력해서 총장 직인을 날인하였다’에서 ‘정경심 아들의 상장을 캡처해 워드
문서에 삽입해 그 중 총장 직인 이미지를 붙여 넣었다’, 위조목적을 ‘유명 대학원 진학’에서 ‘서울대 의학전문대학원
제출’로 변경한 점도 포함됐다.
이 교수는 “이는 종전보다 내용을 구체적으로 특정했으므로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불리하기는커녕 오히려 유리
하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검찰이 표창장 위조 날짜를 바꾼 것에 대해 “기본적 공소사실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9월 6일 정 교수를 검찰이 기소 할 때 위조일시는 앞으로 수사에 따라 변경될 개연성을 내포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실제 검찰은 당시 공소시효 만료를 이유로 정 교수를 기소하면서 추가 수사 내용에 따라 위조 일자 등 공소장 변경을
하겠다는 입장이었다.
이 교수는 “위조 장소와 위조방법의 변경도 기본적 공소사실의 변경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다”며 “이는 정 교수가 예상할 수 있었던 것이어서 방어권 행사에 실질적 불이익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송 부장판사의 결정은) 검찰의 기소가 원천적으로 잘못되기라도 한 것처럼 억지로 흠집을 내고 있는 것”이라며 “검찰은 송 판사의 부당한 조치에 굴복하여 첫 공소를 취소하지 말고 공소장 변경 신청서의 내용으로 별도로 기소하는 것이 옳다”고 지적했다.
천호성 기자
이 교수는 송 부장판사가 정 교수에게 무죄를 선고하려고 작심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 교수는 “송 부장판사처럼 편파적인 판사에 대해 검찰이 기피신청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사법부의 어두운 역사로 남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 - 국민일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부인 정경심 동양대학교 교수가 지난 10월 23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 자본시장법 위반(허위신고 및 미공개정보이용) 등 혐의 대한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2/11/41528988-72f7-4504-9e3d-a0684f887bf2.jpg)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부인 정경심 동양대학교 교수가 지난 10월 23일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 자본시장법 위반(허위신고 및 미공개정보이용) 등 혐의 대한 영장실질심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이충상(62·사법연수원 14기)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11일 지인들에게 보낸 서신에서‘정경심 사건의 재판장에 대한 기피 신청을 하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내며 “송인권 부장판사가 표창장 위조에 관한 검찰의 공소장변경 신청을
그러면서 그는 “정씨가 동양대 총장 명의 표창장을 위조했다는 기본적 공소사실에서 검찰이 변경한 것은 5가지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경기고와 서울대 법대를 나온 이 교수는 지난 1988년 판사로 임용돼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거쳐 2004년 서울중앙지법
입장문에 따르면 이 교수가 꼽은 5가지 항목은 ‘공모자를 ’성명불상자에서 딸 조민으로, ‘위조 일시를’ 2012년 9월 7일에서 2013년 6월로, ‘위조 장소를’ 정씨 연구실에서 자택으로, ‘위조 목적을’ 유명 대학원 진학에서 서울대 의학전문대학원 진학으로 등의 공소장 내용을 바꿨다. 또 ‘위조 방법을’ ‘컴퓨터 파일로 표창장을 출력해서 총장 직인을 날인하였다’에서 ‘정경심 아들의 상장을 캡처해 워드문서에 삽입해 그 중 총장 직인 이미지를 붙여넣었다’ 등으로 바꿨다.
이 교수는“이는 종전보다 내용을 구체적으로 특정했으므로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불리하기는커녕 오히려 유리하다”며 “위조 장소와 위조 방법이 변경돼도 기본적인 공소사실은 변경되지 않는다”고 했다.
이 교수는 이어 “하나의 표창장 위조를 놓고 두 개의 재판이 진행되는 ‘한 번도 가지 않은 상황’이 벌어져도 그 책임은 전적으로 송 판사에게 있다”며 “송 판사는 정씨에게 무죄를 선고하려고 작심하고 공소장 변경을 허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공소장 변경 불허가 위법하다는 것은 항소심이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송 판사에게 정경심 사건이 재배당된 것부터가 부적절했다고 지적했다.
그는“송 판사는 법관 정기인사가 아닌 때에 형사재판장으로 옮겨졌다”며 “조 전 장관 동생의 영장을 기각해 큰 비판을 받은 명재권 영장전담 부장판사가 정기인사가 아닌 때 옮겨진 것과 비슷하다”고 했다.
이 교수는 또 “송 판사가 경제사건 전담부의 재판장이라서 그에게 정씨 사건을 재배당했다고 둘러대지만 정씨의 공소사실 15개 중 경제 사건은 일부에 불과하다”며 “현 정권이 사법부 장악을 넘어서 구체적 사건 처리까지 개입하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 9월 동양대 표창장 위조 건으로 정 교수를 재판에 넘겼다. 이후 11월 검찰은 정 교수를 추가 기소
공소장 변경은 공소사실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위에서만 허용된다. 법원이 검찰 측의 공소장 변경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공소장에서 공범·일시·장소·방법·행사목적 등 5가지나 달라져 공소사실의 동일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결과다.
이 교수는 지난 10월 조 전 장관의 동생 조모씨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을 명재권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가 기각한 데 대해 “법원 스스로 오점을 찍은 날”이라며 비판한 바 있다.
배재성 기자 honogdoya@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 9월 17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
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박지원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경심 공소장 변경 불허에… 檢 “추가기소 하겠다”
9월 1차 기소 공소 취소 안하기로…
“상급법원서 부당성 판단 받을 것”
정경심 동양대 교수의 표창장 위조 사건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다가 법원에서 불허된 검찰이 “공소 취소를 하지 않겠다. 추가 기소하겠다”고 밝혔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인사청문회 당일인 지난 9월 6일의 ‘정 교수 1차 기소’를 없던 일로 만들지 않고, 무죄 판결을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검사 고형곤) 관계자는 11일 “정 교수의 표창장 위조 혐의에 대해 추가 기소를
“상급법원의 판단을 받겠다”는 검찰의 말은 검찰 스스로도 사실상 ‘1차 기소’는 무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검찰이 정 교수를 지난 9월 기소하며 밝힌 위조 범죄사실은 지난달 기소 때 공범, 범행일시, 장소, 방법,
이 때문에 법조계에서는 검찰이 공소 취소를 한 뒤 추가 기소를 할 것이라는 예측이 더 강했었다. 하지만 검찰은 ‘1차
검찰로서는 무죄 판결보다 공소 취소가 더욱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란 관측도 법조계에서 나온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 |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배우자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23일 오전 서초구 서울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
검찰 "정경심 표창장 위조 혐의 추가 기소 예정…공소 취소하진 않을 것"
검찰이 정경심 동양대 교수 '사문서위조 혐의' 공소장 변경 신청 불허 결정에 대해 추가 기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존 공소를 취소하진 않을 계획이다.
11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검사 고형곤)는 지난 9월6일 기소한 정 교수의 사문서위조 혐의에 대한 조만간 같은 혐의로 추가 기소할 방침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판사 송인권)는 전날 열린 정 교수의 동양대 표창장 위조 재판에서 공소장의 세부 내역을 변경해달라는 검찰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공소장 변경 전과 후의) 이 사건 공범, 범행 일시, 장소, 범행 방법, 목적 중 하나 정도만 다르다면 동일성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겠지만 다섯개 모두가 중대하게 변경된 이상 동일성을 인정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공소장 변경을 허가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기소 이후 공소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기존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만 가능하다.
재판부는 △표창장 위조 시점이 2012년 9월7일에서 2013년 6월로 변경된 점 △범행 장소가 동양대학교에서 정 교수의 주거지로 변경된 점 △공범이 불상자에서 딸 조모씨로 특정된 점 △범행 방법이 총장 직인을 임의로 날인했다는 내용에서 컴퓨터를 통해 파일을 붙여 위조했다는 내용으로 구체화된 점 △범행 동기가 국내 유명대학 진학 목적에서 서울대에 제출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된 점 등을 고려했을 때 공소장 변경 전후의 차이가 크다고 봤다.
검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법원에선 기존 공소장과 변경 신청한 공소장 내용이 서로 양립 가능한 별개 사실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며 "불허 결정이 부당하다는 입장이지만 법률적으로 불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조만간 추가기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검찰이 변경된 공소장으로 추가 기소할 경우 표창장 위조 시점이 2013년 6월로 바뀌었기 때문에 공소시효는 충분히 남아있다.
다만 검찰은 기존 공소를 취소하진 않을 계획이다. 공소장 변경 불허 결정에 대해 항소심에서 다른 판단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기존 공소를 유지한 채 추가 기소를 하겠다는 것이다.
항소심에서 기존 기소와 추가 기소 내용을 동일한 범행으로 판단하면 동일한 기소를 두 번 한 것이 돼 추가 기소에
대해선 재판 받을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기존 공소를 취소해버리면 정 교수의 사문서위조 혐의에 대해 아예 판단 받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
검찰의 입장이다.
검찰은 재판부가 정 교수의 수사기록 열람·복사가 늦어졌다는 이유로 보석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서도 "지난
11월29일부터 열람·복사를 허용했는데 변호인 측이 12월5일부터 복사를 시작해 늦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검찰이 열람·복사를 제공하지 않아 정 교수 측의 방어권이 보장되지 않았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는 설명이다.
검찰에 따르면 정 교수 측은 사모펀드 불법투자 혐의와 관련해 열람·복사를 완료했고 입시비리 혐의에 대한 수사기록 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정 교수는 지난 9월6일 딸의 동양대 표창장 위조 혐의(사문서위조)로 불구속기소 됐다. 아울러 지난달 11일에는
자녀 입시비리 관련 업무방해 등 6개 혐의와 사모펀드 관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허위신고·미공개정보이용) 등 4개 혐의, 검찰 수사 대비 증거인멸 교사 등 4개 혐의로 구속기소 됐다.
▲ 조국 일가의 각종 비위를 주도했다는 혐의를 받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부인
정경심씨.
ⓒ정상윤 기자
MB·JY 공소장 수차례 변경했는데 정경심은 '불허'… '황제재판' 논란
MB 땐 '동일성 논란'에도 공소장 변경…
이재용 4번, MB 2번 등 적폐청산 재판 수시로 공소장 변경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검찰 '정경심 사문서 위조' 서두른 기소 무리수였나
동양대 총장 표창장을 위조한 혐의로 기소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부인 재판에 이상 기류가 생겼다.
검찰이 정경심 동양대 교수를 사문서위조 혐의로 기소한 뒤 공소장 변경을 요청했지만, 재판부가 변경을 불허하면서 애초 검찰의 기소가 무리였던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검찰은 조 전 장관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한창이던 지난 9월 6일 정 교수를 소환 조사 없이 전격 기소하는 승부수를 던졌다. 혐의는 사문서 위조다. 정 교수가 2012년 9월 7일 동양대에서 딸의 유명대학 진학을 위해 불상자와 함께 동양대 총장의 직인을 임의로 날인했다는 것이다.
당시 검찰은 “사문서위조죄의 공소시효가 7년이라 서두를 수밖에 없었고, 물적ㆍ인적 자료도 충분히 확보됐다”고
설명했지만 일각에선 검찰이 조 후보자의 사퇴를 압박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검찰의 전격 기소는 공소장 변경을 둘러싸고 후폭풍을 맞는 형국이다.
검찰은 지난 9일 공판준비기일에 나와 “추가 수사를 통해 범행일시와 장소, 동기와 방법, 목적 등을 구체화했다”며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지만 재판부가 “다섯 가지 모두가 중대하게 변경돼 동일성을 인정할 수 없다”고 사실상 거부한
것이다.
이에 대한 법조계 시선은 엇갈린다.
일각에선 일반적으로 공소장 변경을 무리 없이 수용하던 법원이 여론의 눈치를 본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검찰 출신의 한 변호사는 “위조 대상이 표창장이라는 게 바뀌지 않았는데 ‘동일성이 없다’고 하는 건 이해할 수 없다”
면서 “인사청문회 당일 기소에 대한 불편한 심정을 드러낸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범행 일시나 방법, 장소 등이 대거 바뀌면 사건의 동일성을 인정할 수 없는 게 당연하다는 시각도 있다. 부장판사 출신의 한 변호사는 “아예 범행의 양태 자체가 다르다”며 “단순히 표창장에 찍힌 날짜만을 기준으로 시효만료를 주장
하며 부실수사에도 불구하고 기소한 건 무리한 측면이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법조계의 양론과 상관없이 당장 검찰이 급하게 됐다. 검찰은 재판부를 설득하기 위해 한 차례 더 열리는 공판준비기일에서 변경 후 공소사실을 뒷받침하는 추가 증거목록을 제출하며 다시 한 번 공소장 변경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낼 전망이다. 재판부가 또다시 불허하는 경우 검찰이 추가기소 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검찰이 어떤 대응책을 제시하더라도 재판부가 검찰의 무리한 기소에 철퇴를 내린 셈이라 앞서 기소한 건에 대해선 무죄 선고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법조계에 번지고 있다.
한편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 고형곤)는 일가 비리 의혹과 관련해 조 전 장관을 11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지난달 21일 이후 20일 만에 세 번째 소환이다.
검찰은 조 전 장관에게 △정 교수의 차명투자 관여 △딸의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장학금 수령 경위 △웅동학원 위장
소송ㆍ채용비리 등 의혹과 증거인멸 개입 여부를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환이 비공개로 이뤄져 조 전 장관이 검찰청을 빠져나간 다음에야 외부에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추가 소환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진주 기자 pearlkim72@hankookilbo.com
▲ 법원. ⓒ정상윤 기자
논란 뻔한데 정경심 '공소장 변경' 불허한 법원… 속내는
송인권 판사, ‘공소사실 동일성’ 판단 논란…
法 "'검찰의 무리한 기소'라는 지지층 비판 유도 목적"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 newdaily.co.kr]
Copyrights ⓒ 2005 뉴데일리뉴스 -
정경심 재판장, 환경부 블랙리스트·윤규근 사건도 공소장 퇴짜놨다
"판사 20년, 이런 공소장은 본 적이 없다"
다른 사건에선 "제가 한글 이해 못했나"
두 번째 재판에서도 "김 전 장관과 신 전 비서관, (이들의 명령을 받은) 실행 행위자들이 어떤 공범 관계인지를 구체적
윤 총경에게 수천만원어치 주식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된 녹원씨엔아이(옛 큐브스) 전 대표 정모씨에 대한 재판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있었다. 윤 총경은 정씨에게 미공개 정보를 제공받아 주식거래를 한 혐의를 받는다. 송 부장판사는 지난달 13일 두 번째 재판에서 "내부 정보를 이용했다면 '대박'을 쳐야하는데, 공시 이후 주가가 하락해 손해를 봤다"며
그는 논란을 키운 정씨의 재판에서는 검찰을 향해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송 부장판사는 지난 2017년부터 서울중앙지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민사 재판을 맡다 지난해 11월부터 형사합의부장을 맡고 있다. 사법행정권 남용 사건의 기소를 앞두고 서울중앙지법이 형사합의부를 증설한 데 따라 보임됐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판결 기조를 바탕으로 송 부장판사를 '진보' 성향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는 수원지법 형사항소
송 부장판사는 그해 국가보안법 7조 5항에 대해 낸 위헌심판제청을 하기도 했다.
지난 2011년에는 10월 제주해군기지 건설공사를 방해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종일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 서초동 촛불집회에서 주최측의 검찰개혁 요구의 상징성이 나타난 조형물.
검찰 마크의 기둥이 기울어졌음을 의미하며, 이를 바로세우는 것이 개혁이란
의미로 기울인 기둥에 촛불을 얹었다.
©임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