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가이타이=AP/뉴시스]
필리핀 화산 폭발에 수만명 대피…화산재 공중 15km 분출 화산지진연구소, 5단계 중 4단계로 경보 격상 |
[서울=뉴시스] 오애리 기자 = 필리핀 수도 마닐라로부터 남쪽에 약 6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탈(Taal)화산이 폭발
하면서 수만명의 주민과 관광객들이 대피하고, 마닐라 국제공항 폐쇄사태가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13일 현지 방송사 ABS-CBN에 따르면, 탈 화산은 전날 오후부터 폭발하기 시작하기 시작했다.
당국은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대피를 권유하고, 대피하기 어려우면 야외 활동을 중단하고 안전한 건물 내에 머물도록
요구했다.
화산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라우렐과 탈리사이 마을의 주민 2045명은 13일 오전 2시 30분에 화산으로부터 약 30km
떨어진 타가이타이 시로 모두 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타가이타이 시의 모든 학교와 스포츠센터 등은 대피 센터로 바뀌어 있으며, 13일 오후에 대피령이 더 확대될 것으로
현지 당국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AP통신에 따르면, 당국은 최대 약30만명의 대피를 목표로 하고 있다.
탈 화산이 분출한 화산재가 상공으로 10~15km 지점으로까지 치솟으면서, 마닐라 국제공항의 항공기 운항은 12일 저녁부터 13일 오전 현재까지 전면 중단된 상태이다.
화산 폭발로 인해 분출되는 화산재는 항공기 엔진에 큰 위험을 초래한다.
화산재가 바람에 따라 이동할 경우 필리핀 주변 국가 공항 및 항로에도 영향을 미칠 수있다.
필리핀 화산 및 지진연구소는 12일 탈 화산 경계 수위를 5단계 중 4단계로 격상했다.
이는 강력한 화산폭발이 수시간 또는 수일내 일어날 수있다는 의미이다.
최고 단계인 5단계는 대규모 화산폭발이 발생해 넓은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뜻한다.
연구소는 탈 화산이 비록 크기는 작지만 '영구 위험지역'으로 선포돼있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타가이타이=AP/뉴시스] |
탈 화산은 태평양 '불의 고리'에 속하는 필리핀의 20여개 활화산 중 하나이다.
탈 호수 한 가운데 자리잡고 있어서 평소에는 매우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한다.
따라서 그 모습을 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하지만 작은 고추가 더 맵다고, 탈 화산은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34번이나 분출했을 정도로 필리핀에서 가장 활발한 활화산 중 하나이다.
1754년에는 무려 200일동안 분출했고, 2011년에는 1335명이 화산분출로 사망했다. 이 화산이 그동안 앗아간 생명은
약 6000명으로 추정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aeri@newsis.com
필리핀 화산 , 긴급대피령 내린 상태 , 불의고리 자리잡아 필리핀 화산이 폭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일보 보도에 따르면 필리핀 따알 화산에서 분출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따알화산 폭발은 12일 오후 15시시35분 발생했다는 것이다. 강원일보에 따르면 지진까지 발생했다는 것이다. 화산재는 상당한 거리까지 날아가 피해를 주고 당국은 긴급대피령을 내린 상태라고 한다. 지난달 12월 필리핀 다바오주 파다다 지역에서 규모 6.8지진이 발생해 4명이 사망했다. 당시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섬 다바오주에서 서남쪽으로 61㎞ 떨어진 곳에서 강진이 일어났다. 진원의 깊이는 28.2㎞로 관측됐다. 이 지역에 일어난 지진으로 건물이 무너져 차량을 깔아 뭉개기도 했다. 필리핀은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자리 잡고 있다. 저작권자 © CBC뉴스
필리핀 화산+지진 우르르꽝 한국 교민 거주지역 강타, 마닐라 공항 폐쇄
관광객 최소 6000여 명이 대피했다. 증기가 일어났다. 높이 15㎞에 달하는 테프라 기둥이 형성됐다. 인근 지역에서는 규모 2.9, 3.9의 진동도 느껴졌다.
위험한 수준의 폭발이 몇시간 또는 며칠 안에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1565년 에스파냐가 정복하였고, 1898년 독립을 선언하였으나 에스파냐-미국 전쟁으로 미국의 지배를 받았다. 1943년 일본 점령을 거쳐 1945년 미국군이 탈환한 후 독립했다. 타이완[臺灣]섬과 보르네오섬, 셀레베스섬 사이에 위치 있다. 이름을 따서 'Las Islas Filipinas'라고 한 데서 유래했다.
![]() 필리핀 수도 남쪽 호수의 한 섬에 소재한 탈 화산에서 연기와 재가 분출해 하늘로 치솟고 있다. /AP·뉴시스 필리핀 화산 폭발, 하늘 삼킨 화산재 기둥…6000여명 대피 서소문사진관]필리핀 유명 관광지 따가이따이 인근 지역에서 12일(현지시간)화산이 폭발해 주민과 관광객 6000여 명이 대피했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이곳은 수도 마닐라로부터 65㎞ 떨어져 있다. 필리핀 지진화산연구소(Phivolcs)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 35분 따알(Taal) 화산에서 1차 지진이 발생했다. 오전 10시 43분 2차 지진에 이어 오후 1시 30분께 따알 화산 주 분화구 다섯 군데서 깃털 모양의 분출이 시작돼 100여m의 연기를 생성하는 증기폭발로 확대됐고, 오후 2시 3차 지진이 발생했다. 오후 7시 30분에는 높이 10~15km에 달하는 화산재 기둥이 형성됐다. 화산재는 수도권 북쪽까지 날아가 떨어졌으며, 이에 따라 이날 오후 6시부터 마닐라 국제공항의 항공기 운항이 전면 중단됐다. 지진화산연구소는 이날 화산 경보를 3단계에서 용암 분출을 포함한 수준의 분화가 수 시간 안에 이어질 수 있는 상황 인 4단계로 격상했다. 5단계는 분화를 의미한다. 당국은 해당 화산섬을 영구 위험지역으로 선포하고 반경 14k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1만여 명에게 긴급 대피령을 내렸다. ![]() 12일(현지시간) 필리핀 따가이따이 인근 지역의 따알 화산이 폭발한 가운데 주민들이 대피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 지역은 한인이 상당수 거주하는 곳이기도 하다. 아직 관광객 등 한인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필리핀 주재 한국대사관은 "따알 화산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교민은 즉시 대피하고 위험지역 외에 거주하는 교민도 필리핀 정부와 언론의 경보를 예의주시해 달라"고 당부했다. 따알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활화산으로 필리핀의 20여 개 활화산 중 하나로 이번 폭발은 1977년 마지막 분화 이후 43년 만이다. 따알 화산 폭발로 지난 1911년과 1965년에 각각 1300명, 200명이 사망한 바 있다. 필리핀은 태평양의 지진화산대인 '불의 고리'에 위치해 있다. twitter [출처: 중앙일보]
필리핀 타알화산 폭발, '화산 쓰나미' 경고 필리핀 타알화산이 폭발했다. 뉴욕타임즈(NYT)는 1월 12일 마닐라발 기사에서 마닐라시에서 약 40여마일 떨어진 타알 화산이 화산재를 분출하고 굉음과 함께 진동이 감지되었다고 전했다. 마닐라시는 인근 마을주민을 대피하도록 조치하고 화산 쓰나미 가능성도 경고했다. 필리핀 화산 지진학 연구소(Phivolcs)는 타알화산에 대한 경계 수위를 5점 만점에 4점으로 상향 조정해 ‘위험한 폭발’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 연구소는 마닐라에서 주말 휴가를 떠나는 타알 호수 주변 지역을 강타할 수 있는 화산 쓰나미와 뜨거운 가스, 화산 물질에 대한 휩쓸린 위험성을 경고했다. 마닐라 국제공항은 트위터를 통해 화산재의 분출로 공항을 오가는 항공편의 운항을 취소했으며, 활주로에 재가 쌓여 있어 12일까지는 운항 중단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국가재난대책위원회는 화산섬과 다른 고위험 도시의 주민 8000명의 대피가 진행되고 있으며, 12일 저녁까지 약 6000명이 이미 위험지대를 벗어났다고 말했다. 13일 학교는 수업을 취소하고 사람들은 실내에 머무르도록 권고했다. 관광 명소인 이 화산섬은 지난 해 3월부터 활동 징후를 보이고 있으며, 화산은 최근 약 30여 차례의 폭발이 있었다고 NYT는 덧붙였다.
필리핀 마닐라 인근 따알 화산 3차례 '폭발' 한인·관광객 등 긴급 대피령 12일 필리핀 수도 마닐라 인근 유명 관광지인 따가이따이 지역의 따알 화산이 폭발했다. 이 지역은 한인들도 상당수 거주하는 데 필리핀 재난관리 당국은 긴급 대피령을 내렸다. 오전 3시 35분(현지 시간) 따알 화산에서 1차 지진이 발생했다. 이어 오전 10시 43분 2차 지진이 이어졌다. 오후 1시30분께 따알 화산 주 분화구 5군데서 깃털모양의 분출이 시작돼 100여m의 연기를 생성하는 증기폭발로 확대됐다. 오후 2시에는 3차 지진이 발생했다. 하는 등 긴급 대피령을 내렸다. 화산재는 20여 km 떨어진 차량에까지 날아가 뒤덮이는 등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화산재로 인해 오후 6시 이후 필리핀 마닐라 국제항공(NAIA)의 모든 항공편이 취소됐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탈 화산 폭발로 1911년과 1965년에 각각 1천300명, 200명이 사망했다. 참여하기도 한다. 연합뉴스
![]() ![]() 어린 딸 손 잡고 대피하는 아빠… ‘화산 폭발’ 필리핀 상황 필리핀지진화산연구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경부터 탈 화산에서 폭발 조짐이 관측됐다. 앞서 1911년 폭발 당시 1300여 명, 1965년에는 200여 명이 사망했었다. 매년 관광객 수 천명이 찾아와 분화구까지 트래킹하는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다. ![]() 탈 화산에서 시작된 우르릉거리는 소리와 진동은 점차 거세졌다. 오후 7시30분경 증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높이 10~15㎞ 정도의 테프라(화산 폭발로 생긴 쇄설물) 기둥이 만들어졌다. 인근 지역에서 규모 2.9~3.9의 진동이 감지됐다. 화산재는 수도권인 메트로 마닐라의 케손시 북쪽까지 멀리 날아갔다. ![]() 연구소는 탈 화산 경보를 5단계 가운데 4단계(위험한 폭발이 몇시간 또는 며칠 안에 이뤄질 가능성이 있는 수준)로 격상했다. 필리핀 당국은 탈 화산섬 반경 14㎞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 1만여 명에게 대피령을 내렸다. 이곳을 영구 위험지역으로 선포하고 관광객 등의 진입금지 조치도 했다. 이날 오후 6시부터 마닐라 국제공항 항공기 운항은 전면 중단됐다. ![]() ![]() 필리핀 주재 한국대사관은 “탈 화산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교민은 즉시 대피하고 위험지역 외에 거주하는 교민도 필리핀 정부와 언론의 경보를 예의주시해달라”며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현지 경찰이나 대사관으로 연락해달라”고 당부했다. ![]() ![]()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 (출처=SNS ) 필리핀 화산재, 현지 SNS “비처럼 내려 우산”… 콘택트렌즈 착용 피해야 필리핀 화산에 현지에 머무르고 있는 한인들이 SNS를 통해 현지 상황을 전하고 있다. 필리핀 화산은 12일 오전 3시 35분(현지시간)께 따알 화산에서 첫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날 오후 1시 30분께 2차 지진이 발생했다. 화산 폭발에 화산재까지 날리면서 현지에 머무르고 있는 한인들은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상황. 한 네티즌은 화산재가 수북하게 쌓인 거리를 걷고 있는 모습을 영상으로 촬영해 공개하기도 했다. 하늘에서 비오듯이 쏟아지는 화산재를 맞지 않기 위해 우산을 쓰고 마스크까지 착용한 채 퇴근했다고 전했다. 국내 기상청은 화산재 낙하 시 국민행동요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실외에 있을 경우 차나 건물 등 피난 시설을 찾는다. 지역 라디오 방송을 듣고 화산분출이나 청소 계획의 정보를 모은다. 각막 손상 위험이 있기 때문에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다. 화산재 낙하가 끝난 이후에는 청소를 시작하기 전 추천 마스크를 착용하고 없을 경우 젖은 천을 사용한다. 컴퓨터나 TV, 라디오 등은 진공 청소기나 압축 공기를 사용해 청소한다. 어린이는 실내에 머무르도록 하고 화산재가 날리는 중에는 놀지 않도록 지도한다. 김일선 기자 ilsun@etoday.co.kr
<저작권자 ⓒ 이투데이 AP 연합뉴스
|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치원3법’ 국회 통과…원비 빼돌리면 최대 2년 징역 (0) | 2020.01.14 |
---|---|
유희석 아주대의료원장 이국종 교수에 욕설 파문 (0) | 2020.01.14 |
반미 외치던 이란, 여객기 격추 고백에 '체제 비판' 틀었다 (0) | 2020.01.12 |
추미애 "검찰 인사만으론 부족" 판단.. 직접수사 제동 '2탄' 속전속결 (0) | 2020.01.11 |
日경제보복에 온 국민 나선 일제 불매운동 (0) | 202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