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漢詩

삿갓 金炳淵선생의 漢詩 9首

 

 

詠笠 (내 삿갓)

浮浮我笠等虛舟 (가뿐한 내 삿갓이 빈 배와 같아)

一着平生四十秋 (한번 썼다가 사십년 평생을 쓰네)
牧堅輕裝隨野犢 (목동은 가벼운 삿갓 차림으로 소 먹이러 나가고)


漁翁本色伴沙鷗 (어부는 갈매기 따라 삿갓으로 본색을 나타냈지)
醉來脫掛看花樹 (취하면 벗어서 구경하던 꽃나무에 걸고)

興到携登翫月樓 (흥겨우면 들고서 다락에 올라 달 구경하네)


俗子依冠皆外飾 (속인들의 의관은 모두 겉치장이지만)

滿天風雨獨無愁 (하늘 가득 비바람쳐도 나만은 걱정이 없네)

*자신의 조부를 탄핵하고 시작한 방랑 생활. 언제나 벗이 되어주며 비바람에도

몸을 보호해 주는 삿갓에 대한 고마움을 표현했다.
*'병연'이란 이름을 스스로 숨기고서 삿갓을 쓴 이름없는 시인이 되었다....

'내 삿갓'시는 표연자적하는 자연과 풍류 속의 자기 운명을 그린 자화상이었다...

-양기원 <김삿갓 이야기>

自嘆 (자탄)

嗟乎天地間男兒 (슬프다 천지간 남녀들이여)

知我平生者有誰 (내 평생을 알아줄 자 누가 있으랴)
萍水三千里浪跡 (부평초 물결 따라 삼천리 자취 어지롭고)


琴書四十年虛詞 (거문고와 책으로 보낸 사십년 모두 헛것일세)
靑雲難力致非願 (청운은 힘으로 이루기 어려워 바라지 않았고)

白髮惟公道不悲 (백발도 정한 이치이니 슬퍼하지 않으리라)


驚罷還鄕夢起坐 (고향길 가던 꿈꾸다 놀라서 깨어 앉으니)

三更越鳥聲南枝 (삼경에 남쪽 새 울음만 남쪽 가지에서 들리네)

*월조(越鳥)는 남쪽 지방의 새인데 다른 지방에 가서도 고향을 그리며 남쪽 가지에

앉는다고 한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다.

竹詩 (죽시)

此竹彼竹化去竹 (이대로 저대로 되어가는 대로)

風打之竹浪打竹 (바람치는 대로 물결치는 대로)
飯飯粥粥生此竹 (밥이면 밥, 죽이면 죽, 이대로 살아가고)

是是非非付彼竹 (옳으면 옳고, 그르면 그르고, 저대로 맡기리라)
賓客接待家勢竹 (손님 접대는 집안 형세대로)

市井賣買歲月竹 (시장에서 팔고 사기는 세월대로)
萬事不如吾心竹 (만사를 내 마음대로 하는 것만 못하니)

然然然世過然竹 (그렇고 그런 세상 그런대로 지나세)

*한자의 훈(訓)을 빌어 절묘한 표현을 하였다.
此 竹 : 이대로, 彼 竹 : 저대로, 化 去 竹 : 되어 가는 대로
風 打 竹 : 바람치는 대로, 浪 打 竹 : 물결치는 대로

二十樹下 (이십수 하)

二十樹下三十客 (스무나무 아래 서른 나그네가)

四十家中五十食 (마흔 집안에서 쉰밥을 먹네)
人間豈有七十事 (인간 세상에 어찌 일흔 일이 있으랴)

不如歸家三十食 (차라리 집으로 돌아가 서른 밥을 먹으리라)

*二十樹 : 스무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나무 이름
三十客 : 三十은 '서른'이니 '서러운'의 뜻. 서러운 나그네.
四十家 : 四十은 '마흔'이니 '망할'의 뜻. 망할 놈의 집.
五十食 : 五十은 '쉰'이니 '쉰(상한)'의 뜻. 쉰 밥.
七十事 : 七十은 '일흔'이니 '이런'의 뜻. 이런 일.
三十食 : 三十은 '서른'이니 '선(未熟)'의 뜻. 설익은 밥.

*함경도 지방의 어느 부잣집에서 냉대를 받고 나그네의 설움을

한문 수자 새김을 이용하여 표현한 시.


無題 (무제)

四脚松盤粥一器 (네 다리 소반 위에 멀건 죽 한그릇)

天光雲影共排徊 (하늘에 뜬 구름 그림자가 그 속에서 함께 떠도네)
主人莫道無顔色 (주인이여 면목이 없다고 말하지 마오)

吾愛靑山倒水來 (물 속에 비치는 청산을 내 좋아한다오)

*산골의 가난한 농부 집에 하룻밤을 묵었다. 가진 것 없는 주인의 저녁 끼니는

멀건 죽. 죽 밖에 대접할 것이 없어 미안해하는 주인에게 시 한 수를 지어 주지만

글 모르는 그에게 무슨 소용이 있으랴.

風俗薄 (야박한 풍속)

斜陽鼓立兩柴扉 (석양에 사립문 두드리며 멋적게 서 있는 데)

三被主人手却揮 (집 주인이 세번씩이나 손 내저어 물리치네)
杜宇亦知風俗薄 (저 두견새도 야박한 풍속을 알았는 지)

隔林啼送不如歸 (돌아가는 게 낫다고 숲속에서 울며 배웅하네)

難貧 (가난이 죄)
地上有仙仙見富 (지상에 신선이 있으니 부자가 신선일세)

人間無罪罪有貧 (인간에겐 죄가 없으니 가난이 죄일세)
莫道貧富別有種 (가난뱅이와 부자가 따로 있디고 말하지 말게나)

貧者還富富還貧 (가난뱅이도 부자되고 부자도 가난해진다오)


姜座首逐客詩 (강좌수가 나그네를 내쫓다)

祠堂洞裡問祠堂 (사당동 안에서 사당을 물으니)

輔國大匡姓氏姜 (보국대광 강씨 집안이라네)
先祖遺風依北佛 (선조의 유풍은 북쪽 부처님께 귀의했건만)

子孫愚流學西羌 (자손들은 어리석어 서쪽 오랑캐 글 배우네)
主窺첨下低冠角 (주인은 처마 아래서 갓을 숙이며 엿보고)

客立門前嘆夕陽 (나그네는 문 앞에 서서 지는 해를 보며 탄식하네)
座首別監分外事 (좌수 별감이 네게는 분이 넘치는 일이니)

騎兵步卒可當當 (기병 보졸 따위나 마땅하리라)

*김삿갓을 내쫓은 주인은 나그네가 갔나 안 갔나 확인하려고 갓을 숙이고 엿보는데,
김삿갓은 문 앞에 서서 인심 고약한 주인을 풍자하고 있다.


開城人逐客詩 (개성사람이 나그네를 내쫓다)

邑號開城何閉門 (고을 이름이 개성인 데 왜 문을 닫나)

山名松嶽豈無薪 (산 이름이 송악인 데 어찌 땔 나무가 없으랴)
黃昏逐客非人事 (황혼에 나그네 쫓는 일이 사람 도리 아니니)

禮義東方子獨秦 (동방예의지국에서 자네 혼자 되놈일세)




 

 

                                                                 

 

비움의 명상음악 : 01. 바람의 길을 따라, 02. 공무도하가, 03. 눈물꽃, 04. 청도가는 길, 05. 산 아래 소식,

06. 정읍사, 07. 동행, 08. 처음내리는 비, 09. 밤을 흐르는 강, 10. 낙엽이 날리어 바람이 부네

가져온 곳 :
카페 >♣ 이동활의 음악정원 ♣
|
글쓴이 : 道門|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