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닛산, 적극적 대처..시승기 요청·7월 이후 유일하게 보도자료 3건
도요타, 침묵으로 일관..렉서스, 승승장구 매달 30%이상 판매증가
국내 진출한 도요타, 렉서스, 닛산, 인피니티, 혼다 등 일본 5개 완성차 브랜드가 한국과 일본의 경제갈등 해소에 목을 걸고 있는 상황이다. 7월 불거진 한일 갈등으로 한국 판매가 급감하고 있어서 이다.
다만, 최근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 정부와 기업이 경제협력 명목의 기금을 마련하고, 일본 기업이 참가하는 방안이
제기됐다.
양국간 다소 화해 분위기가 감지됐지만, 앞으로 갈길이 멀다.
이들 5개 브랜드가 희비가 갈리면서 몸을 사리고 있는 이유이다.
31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한일 갈등이 불거기기 전인 올해 상반기 일본 5개 완성차 브랜드는 한국에서
2만3428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2만1285대)보다 10.3% 판매가 늘었다.
같은 기간 국내 수입차 성장세가 22% 역성장한 점을 고려하면 일본차 브랜드의 성장이 탁월하다는 게 협회 분석이다.
이중 혼다의 경우 상반기 94.4%의 판매 신장세를 기록했다.
혼다의 올해 5월까지 누적 판매 증가세는 전년 동기보다 104.1%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 국내 수입차 판매는 -22%.
혼다가 어코드 하이브리드 등 가성비가 탁월하고 친환경적인 라인업으로 한국 시장을 공략한 게 주효했기 때문이다.
다만, 혼다코리아는 한일 갈등 이후 몸을 사리고 있다. 가능한 언론 노출을 꺼리고 있는 것이다.
닛산은 한일 경제 갈등 이후에도 일본 5개 브랜드 가운에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닛산 알티마 가솔린 터보.
사진=글로벌 이코노믹 정수남 기자
이를 감안해 혼다는 언론사 시승도 꺼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포털 등에 시승기가 노출될 경우 악성 댓글이 대부분이라 브랜드 이미지에 치명적인 점을 고려한 행보이다.
혼다코리아 관계자는 “시승기 등에 악성 댓글이 많아, 가능한 시승 차량을 제공하지 않는다”면서도 “부득이한 경우
시승기 송고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2004년 한국에 진출한 혼다는 당시 중형 세단 어코르를 앞세워 한국 진출 5년만인 2008년 국내 수입차 업계 최초로
1만대 판매(1만2356대)를 돌파했다. 반면, 우리나라 수입차 시장이 개방된 1987년 국내 진출한 독일 메르세데스-벤츠는 23년만인 2010년 1만대 판매(1만6115대)를 넘었다.
혼다는 올해 역시 어코드 하이브리드의 선전으로 1만대 판매 돌파가 유력했지만, 누적 성장세가 7월 69.6%,
8월 44,5%, 9월 22.1%로 꾸준히 감소했다.
도요타는 침묵으로 이번 고비를 극복하는 모양새이다. 최근 서울 강남에서 본지
카메라에 잡힌 도요타 프리우스.
사진=글로벌 이코노믹 정수남 기자
혼다코리아의 1∼9월 누적 판매 역시 6456대로 올해 1만대 판매 돌파가 어렵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한국 닛산과 닛산의 고급 브랜드 인피니티는 혼다보다 적극적이다.
일본차에 대한 악성 댓글로 국내 주요 언론사가 일본차 시승을 꺼리자, 언론사 등에 시승을 적극 요청하는 등 브랜드
이미지 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까지 신차 부재로 전년 동기보다 닛산은 25.4% 한국 판매가 역성장했지만, 같은 기간 인피니티는
3.7% 판매가 늘었다.
닛산은 7월 이후 성장 하락세가 확대돼 9월 한국 누적 판매가 39.6%(507대) 급감한 2299대에 그쳤다.
인피니티 역시 8월 누적 판매에서 역성장을 전환된 이후 9월에는 13.8%(220대) 감소한 1376대 판매에 머물렀다.
한국 닛산은 앞으로도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한국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닛산의 고급 브랜드 인피니티 역시 한일 갈등 이후 역성장세로 돌아섰다. 인피티니 SUV
QX50.
사진=글로벌 이코노믹 정수남 기자
실제 7월부터 현재까지 닛산을 제외한 일본 4개 브랜드는 보도자료를 한 건도 내지 않았다.
닛산은 7월 4일 여름철 사후서비스 캠페인과 할인행사 관련, 같은 달 16일 신형 알티마 출시 관련, 9월 17일 맥시마
출시 관련 보도자료를 각각 냈다.
상대적으로 일본 도요타는 침묵으로 위기를 극복한다. 7월 이후 대외적인 활동을 접은 것이다.
도요타는 한국에서 누적으로 6월까지 24.3%, 7월까지 25.3%, 8월까지 29.4%, 9월까지 32.1% 각각 마이너스 성장했다. 한일 영토분쟁이 발생한 2009년 한국에 진출한 도요타는 같은 해 2019대를 팔아 업계 10위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도요타의 고급 브랜드 렉서스는 승승장구 하고 있다.
렉서스의 누적 판매 성장세는 7월 33.3%, 8월 31.4%, 9월 32.1%로 상반기 성장세(33.4%)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요타의 고급 브랜드 렉서스는 한일 갈등 이후에도 여전히 30%의 대의 판매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 전시된 렉서스 UX. 사
진=글로벌 이코노믹 정수남 기자
이와 관련, 업계 한 관계자는 “한일 갈등 이후 대중브랜드인 도요타와 닛산, 혼다 등이 고전하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사회 눈치를 본지 않는 부유층은 고가의 렉서스를 꾸준히 구매하고 있어, 렉서스가 고성장세를 일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양국 정부가 모두 경제 갈등의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해법이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들 5개 일본 브랜드의 한국 판매는 1∼7월 2만6156대로 6.7%(1642대) 성장으로 축소된데 이어 1∼8월 판매는 2만7554대로 0.7%(207대) 역성장으로 돌아섰다.
1∼9월 이들 5개 브랜드의 판매는 2만8657대로 6.1%(1848대) 판매가 줄면서 하락 폭이 커졌다.
같은 기간 국내 수입차 성장세는 -19.8%, -18.3%, -15.2%이었다.
정수남 글로벌모터즈 기자 perec@g-enews.com
<저작권자 ⓒ 글로벌모터즈
![]() |
【창원=뉴시스】김기진=유니클로 신세계백화점 매장. 2019.10.22. sky@newsis.com |
일본이 지난 7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에 쓰이는 핵심 소재에 대한 한국 수출을 제한한 뒤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 열기가 불타올랐다. 8월에는 수출 과정에서 허가신청이나 절차 등에서 우대를 해 주는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 목록에서 한국을 제외하면서 기름을 부었다.
한국인들이 불매운동을 벌이는 것은 일본이 정의롭지 못하다는 메시지를 일본 자신과 국제사회에 알리고자 하는
아무리 옳은 메시지라고 해도 이를 전달하는 메신저의 수준에 따라 때로는 메시지 자체가 신뢰받지 못할 수 있다.
한국에 입국하니 쓰레기와 타액이 길거리에 가득했다.
김청윤 사회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file.mk.co.kr/meet/neds/2019/09/image_readtop_2019_779866_15698105123919244.jpg)
출처 : SBS 뉴스


이 당국자는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와 관련한 미국 정부의 입장을 묻는 KBS의 서면질의에 이 같이 답하면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보고 내용을 잘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가 북핵문제 논의를 위한 북미간 실무협상 등에 영향을 미칠 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그동안 "어느 나라나 단거리 미사일은 발사한다"며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상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여온 트럼프 미 대통령의 입장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진 다발' 일본, 지금은 폭우 다발 시대?..기상이변 아닌 '기후변화'
일본 근해 해수온도 상승..태풍에 에너지 공급 끊이지 않아"
1시간 당 50mm 이상 폭우 발생건수, 30년 전 보다 1.4배 증가
국토교통성, 과거 강우량 기록 대신 미래 강우 예측 활용
【서울=뉴시스】김예진 기자 = 최근 일본은 태풍 19호 하기비스, 20호 '너구리', 21호 '부알로이'가 강타해 기록적인
피해를 입었다.
태풍이 몰고 온 폭우가 일본 열도를 덮쳤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제 일본이 ‘폭우 다발 시대’에 돌입했다고 입을
모았다.
지진으로 가뜩이나 자연 재해가 많은 일본에서 갑자기 태풍 피해가 확산한 배경은 무엇일까.
▲왜 일본의 태풍 피해는 갑자기 커졌나
최근 일본에서는 '기록적인 호우'. '최강 규모 태풍' 등의 표현을 듣지 않는 날이 없을 정도로 대규모 수해 피해가
빈번하게 이어지고 있다고 마이니치 신문은 30일 전했다.
일본에서 갑자기 태풍 피해가 부각되는 데 대해 여러 이론이 있으나, 재해위기관리 전문가인 와다 다카마사(和田隆昌)는 일시적인 기상 이변이 아닌 기후 변화가 이유라고 분석했다.
와다 전문가는 "기상청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상기후가 아닌 기상 변화가 원인이다. 기후는 변동한다.
일본 주변(기후)도 최근 20년 간 변했다"고 말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해수면의 온도가 올라가면 공기 중 수증기량이 늘게 돼 강우량이 증가한다.
일본 근해의 해수 온도가 높아져 태풍에 대한 에너지 공급이 끊이지 않고, '대형' 모습을 유지한 채 상륙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태풍)피해도 커진다"고 설명했다.
일본 방재과학기술연구소 시미즈 신고(清水慎吾) 선임 연구원 역시 기후변화에 따른 온난화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그는 "온난화의 영향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온난화의 영향 연구는 국제적인 틀에서 30년 정도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온난화가 진행되면 호우가 국지화 되기 쉽다던가 태풍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등 수치 계산이 (이미)나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온난화로 재해 리스크가 올라간다는 연구에 가까운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최근 일본의 수해가) 정말 온난화의 영향이라는 것을 확실히 확인할 수는 없다"고 단서를 달았다.
【나리타=AP/뉴시스】제21호 태풍 '부알로이'가 일본 도쿄 남동쪽 해상에서 접근하는
가운데 25일 도쿄 동쪽 나리타에 호우가 내려 거리가 물에 잠겨 있다. 2019.10.25.
▲수해 방지에 문제?
지난해 7월 서일본 지역에 내린 호우는 ‘헤이세이(일본의 연호·1989년1월~2019년4월) 최악의 수해’라는 오명을
남겼다.
237명이 사망하는 대참사를 낳았다.
올해 하기비스도 큰 비를 뿌리며 일본 전역에서 하천의 제방 붕괴, 침수, 산사태 등으로 심각한 피해를 안겼다.
나가노(長野)현 지구마(千曲)강에는 34시간 동안 12억t의 강수량이 쏟아졌다.
거대한 강수량을 이기지 못하고 제방이 붕괴되면서 주변이 큰 피해를 입었다.
와다 전문가는 "일본의 홍수 방어(치수·治水)는 100년 전부터 이어져온 것이다"며 "사실은 수해로 인한 사망자도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각각 수 천 명의 희생자를 낳았던 1959년 15호 태풍 베라, 1934년 무로토(室戸)태풍에 비하면 현대에는 대규모 하천 홍수 방지 공사로 피해 발생이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와다 전문가는 "태풍과 호우의 발생 빈도는 높아지고 있으나 피해 규모는 작아졌다.
다만, 이를 웃돌 정도의 속도로 기후변화와 호우가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즉, 태풍·호우 발생 횟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온난화' 전제, 기후변화 고려해 범람하는 하천 다시 정비 나선 日정부
하기비스로 인해 일본 열도에서는 70개 이상의 하천 제방을 동시 다발적으로 붕괴됐다.
제방이 무너지자 하천이 범람하며 큰 피해가 확산했다. 때문에 일본 정부는 온난화 진행을 고려한 하천 정비 검토에
돌입했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지구 온난화 진행을 고려한 하천 정비 검토에 들어갔다고 지지통신은 지난 27일 전했다.
전세계적으로 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물론 일본에서 2017년 규슈(九州) 북부 지역의 호우,
2018년 서일본 지역의 호우 등 재해가 잇따랐기 때문이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최근 1시간 당 50mm 이상의 폭우가 발생한 건수가 30년 전에 비해 약 1.4배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태풍 15호 파사이와 하기비스의 피해도 발생해 기상청은 향후 일본에서 폭우의 발생 횟수와 강우량이 증가할 것
으로 판단하고 있다.
국토교통성은 2015년 파리기후협정을 바탕으로 하천 정비의 새로운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 기존에는 과거 강우량 기록을 바탕으로 계산을 했으나 앞으로는 기후변화로 예상되는 미래 강우 예측을 활용해 제방, 수분 개선 등에 반영할 방침이다. 미래에 강우량이 더욱 증가할 가능성을 고려한다.
아울러 기후변화로 인한 토사유출 등 형태와 홍수와 폭풍 해일이 함께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해 복합적인 재해에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한다.
또한 댐과 저수지 등이 감당할 수 없는 홍수가 발생했을 경우 피해를 경감할 수 있는 시설구조도 연구할 계획이다.
【나가노=AP/뉴시스】 일본 나가노의 치쿠마 강 제방이 지난 13일 제19호 태풍
하기비스의 영향으로 무너져 인근 주거 지역이 침수돼 있다. 2019.10.13.
▲일본 정부 대응 '한계' 지적도
다만, 일본에서는 회의적인 목소리도 있다.
정부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산케이 신문은 지난 27일 정부의 홍수 방어 정비가 늦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의 홍수 방어를 위한 사업비는 가장 많을 때 2조엔(약 21조 3690억 원)을 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공공사업예산 감소에 따라 8000억엔으로 감소했다.
최근 서일본 지역의 폭우로 정부는 긴급 대책 차원에서 홍수 방어 예산을 1조엔 규모로 회복했으나, 전국적인 정비는 늦어지고 있다.
수해 대응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국가 관리 하천 제방 구간은 약 1만3000km정도다.
그러나 현재 제방의 규격이 계획 수준에 미달되거나 제방 자체가 정비돼 있지 않은 구간이 전체의 약 30%에 이른다.
aci27@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bkkim@yna.co.kr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에서 얻을 교훈 (0) | 2019.11.04 |
---|---|
당선무효형’ 이재명 지사, 대법에 위헌심판제청 신청 (0) | 2019.11.04 |
칠레 산티아고의 끝없는 분노 (0) | 2019.11.02 |
보잉, 항공 '737NG' 균열 발견 50여대 운항 중단…"韓 보유 9대" (0) | 2019.11.02 |
日오키나와 '슈리성' 전소… 잿더미 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0) | 2019.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