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과 시사

RCEP 참석 문재인 대통령, 아베 총리와 분위기 반전·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방콕(태국)=뉴시스】 박영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태국 방콕의 임팩트 포럼에서

 열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나란히 서 기념촬영을 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2019.11.04.since1999@newsis.com






【방콕(태국)=뉴시스】 박영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태국 방콕의 임팩트 포럼에서

열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를

 하고 있다. 2019.11.04. 

since1999@newsis.com






RCEP 참석 문재인 대통령, 아베 총리와 분위기 반전·



세계 최대 규모 자유무역 시작 ‘일거양득’



문재인 대통령은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마지막 일정으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은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6개국 등 총 16개국이 참여하는 아태지역 메가 FTA이다.


2012년 11월 동아시아 정상회의를 계기로 협상을 시작을 선언한 뒤 지금까지 약 7년간 28차례 공식협상, 16차례 장관

회의, 3차례 정상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인도를 제외한 15개국간 협정문 타결을 선언하고, 시장개방협상 등 잔여 협상을 마무리해 2020년 최종 타결 및 서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인도의 경우, 주요 이슈에 대해 참여국들과 공동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추후 입장을 결정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상회의에서는 수준 높은 상호호혜적 협정을 통해 규범에 기반한 포괄적이고 개방적인 무역 시스템 조성, 공평한 경제발전과 경제통합 심화에 대한 기여 필요성 등 RCEP의 지향점을 재확인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상회의 발언에서 ?“오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15개국간 타결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남은 시장 개방 협상이 완료되고 인도도 참여해 내년에 16개국 모두 함께 서명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RCEP 타결로 세계 인구의 절반, 세계 총생산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이

시작됐다”며 “아세안을 중심으로 젊고 역동적인 시장이 하나가 됐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연대와 협력의 힘으로 자유무역을 실행으로 옮긴 정상들께 경의를 표한다”고 말한 뒤 “세계

경기하강을 함께 극복하면서 자유무역의 가치가 더욱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4일 태국 방콕의 임팩트 포럼에서 열린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해 각 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한 후 박수를 치고 있다.









방콕(태국)=뉴시스박영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태국 방콕의 임팩트 포럼에서

열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밝게 웃고 있다.

 2019.11.04. since1999@newsis.com


 문재인 대통령·아베 신조 일본 총리 “극적 환담”

文, “고위급 협의 검토”, 아베,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해결”




[시사주간=박상진 도쿄·베이징 에디터] 아세안+3(··) 정상회의를 앞두고 태국 노보텔 방콕 임팩트회의장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극적 환담이 이뤄줬다.

 두 사람은 약 11분간 대화를 나눴으며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고위급 협의를 갖는 방안도 검토해 보자고 했으며,

아베 총리도 가능한 모든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노력하자고 답했다고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매우 우호적이며 진지한 분위기 속에서 환담을 이어갔다고 전했다.

 NHK는 아베 총리가 문 대통령의 어머니가 지난주 사망한 것에 애도를 표시하고, 일왕 즉위식에 이낙연 총리를 파견

해 준데 대한 감사의 말과 함께 징용을 둘러싼 문제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해결되야 한다는 일본의

 입장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한일 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태국에서 열리고 있는 일련의 국제 회의에 두 정상이 참석하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 접촉할 것인지 주목받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고 대변인은 오늘 환담은 사전에 협의가 이뤄진 자리가 아니었다.


문 대통령이 먼저 정상들의 대기 장소에서 아세안 각국 정상과 얘기를 나눴고, 그 자리에 아베 총리가 들어오자

 문 대통령이 잠시 앉아서 얘기하자고 권하면서 이뤄진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보통 정상회담은 의제를 오랜 기간 숙성시켜 양 정상이 미리 약속해 만나는 것이고, 풀어사이드(pull aside·

약식회담)‘ 의 경우에도 짧은 시간에 얘기를 나누기로 미리 약속하는 것이지만 오늘 자리는 그런 협의가 없었다.

그래서 회담이 아닌 환담이라는 표현을 쓴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 공동성명을 통해 세계 총생산의 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정문 타결에 동참했다.



 

psj@economicpost.co.kr



저작권자 ⓒ 시사주간





일본 언론 “한일 정상 환담, 미국에 대화 노력 자세 보여주기 위한 것”





일본 언론 한일 정상 환담, 미국에 대화 노력 자세 보여주기 위한 것








일본 언론들이 문재인 대통령의 제안으로 한일 정상이 환담을 나눈 것과 관련해 미국을 향해 대화에 노력하는 자세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한국이 종료를 결정한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의 유지를 미국이 요구하고 있고,
"(문 대통령이) 내우외환으로 더이상 한일 관계를 악화시켜서는 안될 것(안된다고 생각할 것)"이라는 일본 정부 고위
관료의 견해를 전했다.

다른 일본 정부 관계자는 요미우리에 "아베 총리가 도망친다는 인상을 주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해 문 대통령의 대화 요청을 받아들였다"며 "징용 문제와 관련해 새로운 제안이 없었으니 상황이 움직이지 있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문 대통령이 내정과 외교에서 곤란에 부딪히고 있어서 한일 관계에서 성과를 내야 할 처지"라고 보도
했고, 마이니치신문은 "문 대통령이 환담에서 대화를 강조한 것은 한일 지소미아 종료를 앞두고 한·일이 대화 가능한
관계라는 것을 미국에 보여줄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마이니치는 청와대가 문 대통령의 고위급 협의 제안에 대해 아베 총리가 가능한 모든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노력
하자는 답을 했다고 발표했지만, 니시무라 부장관이 방콕에서 일본 기자들에게 이와 관련해 "(아베 총리가) 종래대로
 외교 당국 간의 협의를 통해 현안을 해결해 가겠다는 취지로 응답했다"고 설명했다고 보도했다.

마이니치는 그러면서 아베 총리가 환담에서 종래의 일본 측 설명을 반복한 것은 정상 간 회담을 할 환경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인식을 보인 것이라며 아베 총리는 고위급 협의가 역사 문제와 수출 규제·안보 등 다른 문제를 분리하는
 '투 트랙 외교'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에 경계감을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사히는 "강제징용 소송에 대해 문 대통령이 쉽게 양보할 수가 없으니 관계 개선의 길은 멀리 있는 실정"이라고 보도
했고 마이니치는 "16~17일 예정됐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취소되면서 지소미아 유효 기간 내
 한일 정상 간 접촉할 기회가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정영훈 기자jyh215@kbs.co.kr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4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임팩트포럼에서 열린 제21차 아세안+3 정상회의 전 만나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청와대]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4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임팩트포럼에서 열린 제21차 아세안+3 정상회의 전 만나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청와대]

 


日요미우리 "아베, 도망처럼 보일까봐 文과 대화 응한 것"



요미우리 "의식, 일본과 대화자세 나타낸 것"
아사히 "내년 총선 전 양국관계 성과 쫓겨"
마이니치 "통역 전달내용만 밝혀과 대조"
한중일정상회의 동석양자회담 개최 불투명






4일(현지시간) 태국 방콕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대화를 나눈 것과 관련해 일본 언론에선 양국 간 ‘온도차가 두드러졌다’(니혼게이자이 신문)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이번 만남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적극적인 자세를 주목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5일 관련 기사에서 문 대통령이 먼저 소파에 앉아 대화를 나누자고 제안했다고 소개하면서 아베 총리의 수동성을 강조했다. 신문은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만남을 피하기 위해 애써) 도망 다닌다고 보여지는 것은
 좋지 않아서 총리가 대화 요청을 받아들였다.
징용공 문제에서 새로운 제안이 있었을 리가 없고, 일은 움직이지 않고 있다’고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또 신문은 청와대가 이번 만남을 ‘환담’으로 표현하면서 가치를 둔 것과 관련해서도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요미우리는 “한국이 대화 성과를 강조한 것은 미국을 의식한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라면서 “한국은 8월22일 파기를 결정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의 유지를 미국으로부터 강력히 요구 받고 있어서, 일본과의 대화자세를 미국에 나타내고 싶어했던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신문은 일본 정부 고관(高官)을 인용해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떨어지는 등) 내우외환으로 더 이상 일·한
 관계를 악화시켜선 안 될 것(이란 분석도 있다)”고 일본 정부 내 기류를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4일 태국 방콕의 임팩트 포럼에서 열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해 각국 정상들과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4일 태국 방콕의 임팩트 포럼에서 열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해 각국 정상들과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같은 날 아사히 신문은 “한국 측이 이날 호의적인 분위기를 강조한 배경에는 대통령 임기 5년의 반환점을 맞아 내정도 외교도 곤란한 상황에 맞닥뜨린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문재인 정권이 역량을 결집했던 남북관계의 지지부진,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임명 강행으로 인한 공정·청렴 이미지
 손상 등이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신문은 “내년 4월 총선 전에 일·한 관계에서 성과를 내는 것에 쫓기고 있다”며 “다만 전 징용공 소송에서
문 대통령도 쉽게 양보할 수 없어서 관계 개선의 길은 먼 실정이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의 시큰둥한 태도도 도마에 올랐다.
마이니치 신문은 “일·한 정상의 의견교환에 대해 일본 측 동행기자단에게 설명한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관방부장관은 통역으로부터 전해들은 내용만 밝혔을 뿐”이라며 “적극적으로 내용을 소개했던 한국 측 대응과는 대조적
이었다”고 이날 보도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양국 정상이 나눈 ‘고위급(하이레벨) 협의’ 제안과 관련한 니시무라 부장관의 설명도 주목했다.
니시무라 부장관이 “종래대로 외교 당국간 협의를 통해 현안을 해결해 나간다는 취지로 응했다”면서 한국 측의 설명을 부정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마이니치는 “일본이 신중한 자세를 취하는 배경에는 문재인 정권이 생각하는 ‘하이레벨 협의’는 역사문제와 수출규제·안보문제를 나눠 대응하려는 ‘2트랙 외교’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경계감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일본 언론은 향후 정상회담 가능성도 높게 보지 않는 분위기다.
요미우리는 "12월 말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양국 정상이) 동석할 예정이지만, 향후 정상회담에 관한
 구체적인 의견교환은 없었다"며 "일본 정부는 '한국 측에 공이 있다'는 입장을 바꾸지 않고 있고, 계속해서 한국 측의 국체적인 대응을 주시한다는 구상"이라고 전했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