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DERNISM 음악

Gregorian Chant-The power of love

 

 

  

  Gregorian Chant-The power of love                                                                                                     

 

 

 

 

 The power of love

 

The whispers in the morning
Of lovers sleeping tight
Are rolling like thunder now
As I look in your eyes

당신의 눈을 바라 보니
곤한 잠을 자고 난 연인들의
아침의 속삭임이 이제
천둥처럼 울려 퍼져요

 

I hold on to your body
And feel each move you make
Your voice is warm and tender
A love that I could not forsake

 

당신의 움직임 하나하나를 느끼죠

따스하고 부드러운 당신의 목소리
당신은  사랑이에요

 

 

'Cause I am your lady
And you are my man
Whenever you reach for me
I'll do all that I can

 


난 당신의 여인이고
당신은 나의 남자이니까요
당신이 나를 향할 때마다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걸 해드릴께요

 

 

Lost is how I'm feeling
lying in your arms
When the world outside's too Much to take
That all ends when I'm with you

 

당신 품에 안긴 내가 느끼는

감정은 주체할 수가 없어요
바깥 세상이 감당하기에
너무 어려울지라도 당신과 함께라면

 

 

Even though there may be times
It seems I'm far away
Never wonder where I am
'Cause I am always by your side

 

모든 어려움도 끝나 버려요

내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더라도
내가 어디있는지 궁금해하지 않아요
난 항상 당신 곁에 있으니까요

 

 

'Cause I am your lady
And you are my man
Whenever you reach for me
I'll do all that I can

 

난 당신의 여인이고

당신은 나의 남자이니까요
당신이 나를 향할 때마다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걸 해드릴께요

We're heading for something
Somewhere I've never been
Sometimes I am frightened
But I'm ready to learn
Of the power of love

 

우리는 가보지 못한

그 어떤 곳을 향해 가고 있어요
때로는 두렵기도 하지만
난 사랑의 힘을 배울
준비가 되어 있어요

 

 

The sound of your heart beating
Made it clear Suddenly
the feeling that I can't go on
Is light years away

 

당신 가슴에서 울리는 고동을 듣고

문득 확신이 섰어요
당신과의 사랑을 그만 둘 생각은
광년 만큼 멀리 떨어져 있다는 걸요

 

 

'Cause I am your lady
And you are my man
Whenever you reach for me
I'll do all that I can

 

난 당신의 여인이고

당신은 나의 남자이니까요
당신이 나를 향할 때마다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걸 해드릴께요

 

 

We're heading for something
Somewhere I've never been
Sometimes I am frightened
But I'm ready to learn
Of the power of love

 

우리는 가보지 못한

그 어떤 곳을 향해 가고 있어요
때로는 두렵기도 하지만
난 사랑의 힘을 배울
준비가 되어 있어요

 

 

the power of love
the power of love
Sometimes I am frightened
But I'm ready to learn
Of the power of love

 

사랑의 힘

때로는 두렵기도 하지만
난 사랑의 힘을 배울
준비가 되어 있어요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그레고리안 성가(Gregorian Chant)' 는 '성 그레고리오(St. Gregorius)' 1세 대교황의 이름을 딴 것이며,

성 그레고리오(St. Gregorius) 1세 교황은 여기 저기에 흩어져 있던 미사순서와 노래 중에서 좋은 것만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교회에 나누워 줌으로서 시작 되었답니다.

초기 기독교의 단선율 성가의 기원을 살펴보면 특히 중요한 다음 세 지역을 손꼽을 수 있습니다.
(1). Byzantium은 (나중에 Constantinople이라고 불렀고, 지금은 Istanbul이라고 부른다) Hymn(찬가)의 융성에 크게 공헌했습니다.

(2). Syria 는 팔레스티나 근방의 로마제국의 일부였고, 현저한 종교활동의 무대였으며, Antiphon(교창) 및

Responsory(응창) 이라는 두 가창법의 발전에 중요한 구실을 수행 했습니다.

(3). Palestina에 있어서의 히브리어(Hebrew Language)의 종교노래, 즉 Hebrew Chant 는 아마도 초기 기독교

성가의 가장 중요하며 가장 대규모적인 원천이었다고 생각됩니다.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그 유구한 역사적 배경,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혹은 '그레고리오 성가'라고 불리는 이 성가(聖歌)는

복잡한 화음구성이나 여러 성부(聲部)를 두지 않는 단 선율로 인해'플레인 챈트(Plain Chant)' 로 불립니다.
단순히 설명할 수 없는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의 유구한 전통은
다양한 기독교의 성가들 중,

특히 중세와 '르네상스'를 통해 종교음악의 '다성 음악(Polyphony)' 의 발전의 주요한 축이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양식의 하나로 평가 되고 있습니다.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는 '성 그레고리오 대 교황(Papa Gregorio Magno, 540~604)' 에 의해 카톨릭 교회 최초의 공식 '전례 성가(Cantus Liturgia)' 로 인준되면서
 현존하는 수많은 서양 음악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은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누어지고 분파 되었던 당시의

성가를 재정립하면서하 나의 성가집으로 묶게 되었는데 이를 두고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로 부르게

된 것이랍니다.

 

 

 


 


에필로그(Epilogue)

 

성속(聖俗)의 경계를 넘어 Beatles 가 그려 놓은 아름다운 바탕 그림위로

 아무런 채색도 하지 않은 듯 담담히 들려주는 성스럽고 감미로운 성가의 이미지를 겹쳐 놓은 이 Album 은 그 어떤 화학적인 첨가제도 사용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무공해의 음악으로 듣는 이를 자연스럽게 감화 시킵니다.

일상의 녹록치 않은 스트레스의 압박과 소음 처럼 난무하는 음악들 사이로

이처럼 따뜻한 위안으로 다가오는 음반도 드물 것이다.

그것이 이 음반의 첫 번째 존재 증명원입니다

 

 

.

 

 

 

 

 


 

 

Gregorian chant

그레고리안 성가는 그레고리안 찬트(Gregorian chant)라고 하는데,대그레고리오 교황의 이름을 따서 붙인 성가

형태이다.
물론 교황께서 그레고리오 성가를 모두 직접 만드신 것은 아니고,

그 분께서 당시의 성가들을 정리하도록 하셨기 때문에 그분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서 붙인 이름이다.

 

 

 

 

 

 

 

 

 

 

 

History

그레고리안 성가는 원래 중세 유럽의 수도원에서 시작된 미사성가로,무반주로 남성이 부르는 가톨릭교회의

 

 전례음악이다.

7세기 초에 그레고리오 교황에 의해 그때까지 유럽지역에 구전 되던 음악들을 모아 채보한 것이므로

 

(이 시기의 채보기법은 물론 오늘날의 오선기법과는 다르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인 셈이다.
그것이 8~14세기에 걸쳐 점차로 형성되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레고리안 성가집으로는 미사전례에 사용하는 [그라두알레](Graduale)와 [안티포날레](Antiponale)가 있다.
그라두알레는 독서 후 화답송(그라두알레는 ‘층계’라는 뜻으로 예전에는 화답송을
성가대가 층계에서 불렀기 때문에

 

'층계송’이라고 불렀다)에 부르는 것이고, 안티포날레는 주일미사나 대축일미사 때 회중이 두팀(교창)으로 나누어

 

 한 구절씩 화답하는 교송 모음집으로 2,160여 가지의 곡이 수록되어 있다.

 

 

중세 이후에는 좀 더 복잡하고 다양한 미사전례곡이 등장하게 되면서 전통적인 그레고리안 성가가 쇠퇴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전례의식의 순서가 확정되고 미사의 스케일이 커지면서 회중이 부르던 부분을 성가대가 대치하게 되고,

14세기 이후 미사곡이 다성음악으로 발전하면서 작곡가들이 통상미사 부분을 작곡하여 작품화하는 경우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차츰 이러한 경향은 미사전례 음악을 예술작품으로 변모시켰고, 민중의 생활음악이던

 

 

그레고리안 성가의 단순성은 사라지게 되어 그레고리안의 올바른 창법 마저도 잊혀지게 되었다.
연주회용 미사곡을 작곡한 작곡가는 바흐를 비롯하여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리스트,

 

 

베를리오즈, 현대의 스트라빈스키에 이르기까지 음악사에 남아있는 모든 작곡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와는 상관없이 전 세계의 가톨릭교회에서는 매 주일마다 라틴어로 된 그레고리안 성가가 불려졌고,

성무일도의 양식도 유럽 각지의 수도원에서 원형 그대로 보존되었다.

이 흐름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1962)에서 라틴어가 아닌 각 나라의 언어로 미사 드리는 것을
허락할 때까지, 무려 천 오백여년의 긴 세월 동안 이어진 것이다.

19세기 말에는 다시 솔렘 수도원을 중심으로 그레고리안 성가 부흥운동이 일어나 오늘날에는
솔렘식 창법이 정통 그레고리안 창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레고리안성가는 중세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음악이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시대의

 

‘폴리포니(다성부, 多聲部)’음악 작품의 핵심역할을 했으며, 정선율(定旋律)로서도 이용되어 왔다.
그래서 18~19세기의 음악작품, 예컨대 J.S.바흐의 [나단조 미사곡], L.H.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

등에서도 그레고리안 성가를 사용한 것이 적지 않고, 20세기의 음악에도 그레고리안성가 기법을 사용한 곡들이 있다.


 

 

 

 

 

 

 

 

 

 

 

 

 

 

 

Gregorian Chant ( 그레고리안 성가) 에 대한 이해

 

서론

 

시대의 구분으로 서양음악은 전(前)기독교 시대(고대), 중세, 르네상스 시대, 바로크 시대, 고전파 시대, 낭만파 시대,

현대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초기의 기독교 음악은 시편창(psalmody) 에서부터 시작되어 찬미가(Hymn)등으로 이어졌고 4세기경의 암브로시오

성가(Ambrosian chant)에서 그레고리안 성가(Gregorian chant)로 발전하게 되었다.

 

단선율 성가

 

가톨릭의 단선율 성가는 Plainsong, Plain chant, Gregorian chant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며, 대략 1000년에

걸쳐 서구 문화의 중심이 되고 기초가 되었던 음악이다.

기독교 음악으로서의 이 Gregorian Chant는 가장 대규모이면서 가장 오래된 단독적 음악 형태를 구성하고 있었다는

 사실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를 통하여 종교음악의 다성음악(Polyphony)양식에 있어서 중심적

근간이었다는 점에서 큰 중요성을 지닌다.

 

일반적인 특성은

1. Monophony - 단성음악

2. Church mode에 바탕을 두고 있다.

3. A Cappella 로 노래한다.

 

4. Nonmetric 이다. ( 박자기호와 마디줄을 사용하지 않는 형태 )

5. 자유롭고 유연성 있는 산문의 리듬을 사용한다.

6. Conjunct 이다. (도약진행은 극히 드물고, 대부분이 순차진행의 형태를 가졌다)

 

7. 음역(선율의 최고음에서 최저음까지의 범위)은 한정되었다.

8. 라틴어로 노래를 불렀다.

9. 독특한 Neumatic notation (네우나 기보법)¹으로 표기되었다.

 

네우나 기보법(Neumatic Notation)

 

- 9세기말부터 사용된 것으로 단선율 성가는 처음에는 네우마(neuma)라는 기호로 기록되었다. 네우마는 높은

 음 액센트(/), 낮은 음 액센트(\), 곡절 액센트(∧)와 같은 Chironimy (정확한 음정 지시 없는 네우마에 관한 용어로, 합창 지휘자가 손으로 사인하는 것을 말한다)에 의한 억양의 표상으로서 생겨났다.

 

네우마는 가사의 말 위에 붙여졌으며 단지 이미 알고 있는 멜로디의 일반적인 상행이나 하행의 방향을 상기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네우마의 종류는 12종류이상이 된다.

 

기원

 

그레고리안 성가는 성 그레고리오 1세 대교황의 이름을 딴 것이며 성 그레고리오 1세 교황은 여기 저기에 흩어져 있던

성가들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교회에 나누어 줌으로써 시작되었다.

초기 기독교의 단선율 성가의 기원을 살펴보면 특히 중요한 다음 세 지역을 손꼽을 수 있다.

 

1. Byzantium은 (나중에 Constantinople이라고 불렀고, 지금은 Istanbul이라고 부른다) Hymn(찬가)의 융성에 크게 공헌했다.

2. Syria 는 팔레스티나 근방의 로마제국의 일부였고, 현저한 종교활동의 무대였으며, Antiphon(교창) 및 Responsory(응창) 이라는 두 가창법의 발전에 중요한 구실을 수행하였다.

3. Palestina에 있어서의 히브리어의 종교노래, 즉 Hebrew chant 는 아마도 초기 기독교 성가의 가장 중요하며 가장 대규모적인 원천이었다고 생각된다

 

 

 

 

 

단선율 성가의 종류

 

단선율 성가는 초기 기독교의 약 1000년에 걸친 여러시기동안 주로 다음 다섯 종류의 스타일로 나뉘어서 발전을

 이루었다.

 

1. Byzantine chant - 오랜 시기에 걸쳐서 모든 단선율 성가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후에 그리스 정교의 성가가

 되었다.

2. Ambrosian chant - 4세기 밀라노 사교인 성 암브로시우스의 이름에서 유래된 성가로 Hymn(찬가)와 Antiphon

(교창)으로 유명해졌다.

 

3. Gallican chant - 8세기 샤를르마뉴의 시대까지 프랑크족이 사용했던 성가이다.

4. Mozarabic chant - 스페인에서 노래되었던 성가로, 8세기 무어인의 이베리아반도 침입에 의하여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5. Gregorian chant - 이따금 모든 단선율 성가를 가리키는 호칭으로 사용된다. 이 성가는 6세기 로마교황으로 당시의 성가를 통일된 형태로 조직하는 데에 커다란 공헌을 한 그레고리우스 1세의 이름에서 유래된 성가이다.

 

궁극적으로 로마가 서유럽 기독교 교회의 중심지가 된 것처럼, Gregorian chant는 서유럽의 모든 단선율 성가를

지배하는 중심적인 성가가 되었다.

 

교회선법(Church Mode)

 

중세초기를 통틀어 서서히 발전해 나간 단선율 성가의 이론은 교회선법이란 이름으로 알려진 음계조직에 그 기초를 둔다. 여덟 개의 교회선법은 정격선법과 변격선법의 두 종류로 분류된다.

 

정격선법(Authentic mode)은 finalis(종지음:단선율 성가의 '으뜸음'에 해당하는 것으로, 단선율 성가의 멜로디의

 최종음이다)에서 그 약 1옥타브 위의 음까지 확대되는 ambitus(선율의 음역)를 가지고 있다. 네 개의 정격선법은

 각각 그리스 이름을 지녔고, D음을 finalis로 하는 도리아 선법(Dorian mode), E음을 finalis로하는 프리기아 선법

(Phrygian mode), F음을 finalis로하는 리디아 선법(Lydian mode), G음을 finalis로하는 믹솔리디아 선법

(Mixolydian mode)이 그것이다.

 

변격선법(Plagal mode)은 정격선법과 동일한 음역(ambitus)을 가지고 있는데, 각각 정격선법 finalis의 4도 아래

음에서부터 보통 finalis의 5도 위 음까지의 음역을 지녔다.

 

네 개의 변격선법은 각각 해당되는 정격선법과 같은 finalis를 가졌고, 'Hipo'를 앞에 붙인 명칭으로 다음과 같이 부른다. 즉 D음을 finalis로 하는 히포도리아 선법(Hypodorian mode), E음을 finalis로하는 히포프리기아 선법

(Hypophrygian mode), F음을 finalis로하는 히포리디아 선법(Hypolydian mode), G음을 finalis로하는

 히포믹솔리디아 선법(Hypomixolydian mode)이다.

 

그 밖의 선법으로 단선율 성가에는 간혹 다음 네 개의 선법이 덧붙여져 사용되었다.

즉 A 음을 finalis로 하는 에올리아 선법(Aeolian mode)과 히포에올리아 선법<(Hypoaeolian mode)-자연 단음계와 같다>, C음을 finalis로 하는 이오니아 선법(Ionian mode)과 히포이오니아 선법<(Hypoionian mode)-장음계와

같다>이 그것이다.

 

이들 네 개의 선법은 16세기에 이르기까지 교회측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채였으나, musica ficta(임시기호를 붙인 음,즉 변화음)을 사용하게 되자, 그 결과 자연히 생겨났다.

예를들면 제1선법과 제2선법에 있어서 B음의 사용은 라단조라는 자연스러운 단음계를 생기게 했고, 제5선법과 제6선법에 있어서 같은 B 음의 사용은 바장조를 낳게 되는 것이다.

 

 동일한 단선율 성가 중에서 어떤 선법의 정격선법과 변격선법 형태가 함께 사용되는 일이 종종 있었다. 즉 그 선법의

음역은 finalis의 몇 음 아래음에서부터 finalis의 1 옥타브 또는 그 이상 위에 있는 음에 이르는 폭을 가지고 있었다.

 

성가의 기보법

 

성 그레고리우스의 성가집인 안티포나리움(Antiphonarium)에는 가사만 기재되어 있었다.

주로 성 그레고리우스가 설립한 성가 학교 출신 음악가들에 의해 구전되어 보존된 성가는 10-11세기에 이르러서

악보의 초기 형태가 가사위에 붙게된다.

 

그것은 가사의 억양에 따라 단순한 기호만을 첨가한 것이다. 12세기에는 조금 더 발전하여 줄을 한줄긋고 가사를 쓴다음 초기의 기호를 첨가 했다가 두 줄, 세 줄 나중에는 네 줄의 악보에 음표를 기록하게 되어 음높이를 객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4선 악보의 완성자는 귀도 다렛조 (Guido, darrezo,840-930)수사 신부로 알려져 있다.

 

그레고리안 성가의 기보법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네우마(Neuma)라고 하는데 그리스에서 유래된 말로서 기호, 신호,

또는 암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4선 악보는 높은 네우마 기보법이라고 불리는 디아스

테마따(Diastemata) 기보법에 의하여 정리된 악보이다.

 문헌에 의하면 11세기까지도 선이 없는 기보법이 통용되었고 13세기 경부터 기준선을 긋고 가사를 적는 기보법이

사용되었다.

 

성가의 작곡법

가사에 음악이 어떻게 붙여져 있는가, 즉 단선율 성가에 있어서의 말과 선율과의 결합 방식은 크게 네가지로 분류된다.

 

1. Syllabic style(실라블 강조형) - 가사의 1음절에 대하여 선율 중의 한 음표에만 붙여지는 방법으로 단선율 성가의

 Hymn(찬가)과 sequentia에 아주 많이 사용된 작곡법이다.

 

2. Neumatic style(네우마 강조형) - 가사의 1음절에 대해서 선율 중의 몇몇 음표가 붙여지는 방법으로 성가 작곡상

가장 빈번히 사용된 방법이다.

 

3. Melismatic style(멜리스마 강조형) - 가사의 1음절에 대하여 선율 중의 많은 음표가 붙여지는 방법으로 할렐루야의 작곡법등에 사용되었다.

 

4. Psalmodic style(시편 가창형) - 많은 음절을 동일음의 반복에 의하여 노래하는 방법이며, 시편(Psalm)의

 작곡법으로 사용되었다.

 

하나의 단선율 성가 안에서, 이들 작곡상의 한 방범으로 바뀌는 일도 종종 있었으나 통상 하나의 방법이 일관되어

사용되었던 점에 유의 해야 한다.

 

트로푸스와 세퀜티아

 

9세기에서 12세기에 걸쳐서 단선율 성가의 새로운 두 개의 형식이 만들어 졌다. 그것은 트로푸스와 세퀜티아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트로푸스(Tropus)란, 단선율 성가 선율의 흐름 속에 실라빅 형태로 삽입된 프레이즈를 말한다. 이러한 말들은

 멜리스마 풍의 프레이즈에 붙여지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삽입하는 말에 대해 새로운 선율이 작곡되는 일도 있었다. 악보 1에는 트로푸스의 형태를 표시했다.

 

"Christe eleison(그리스도여 불쌍히 여기소서)"의 가사가 이 성가의 원래의 말이다. 이탤릭체를 사용한

"Dei forma virtus partrisque sophia(아버지되신 하느님의 형상, 권능, 예지여)"라는 가사는 트로푸스로서의

 삽입구 이며 실라빅 스타일에 따라 이 단선율 성가의 원래의 멜리스마 악구에 붙여져 있다.

 

그리고 이 악보를 보면서 단선율 성가의 특성으로서의 모노포니인 점, 교회선법에 따른 점(도리아 선법), 아 카펠라인 점, 논 메트릭인 점, 그리고 자유로운 리듬이 사용된 점, 좁은 음역(ambotus)-완전5도-인 점, 주로 Conjunct(순차진행)인 점, 라틴어가 사용된 점등에 주목해야 한다.

 

트로푸스의 가장 저명한 작곡자로서는 스위스의 잔크트 갈렌,(St. Gallen) 대 수도원의 수도사 투오틸로(915사망)의

이름을 들 수있다.

 

세퀜티아(Sequentia) 란 트로푸스 중의 특수한 한 형식에 라틴어로 세퀜티아(Sequentia)또는 세퀠라(Sequela)라고 부르는 것이 있다.

 

이 것은 Alleluia의 Jubilus (긴 멜리스마 악구) 에 대하여 실라빅 형태로 가사를 붙여 만들어진 것이다.

세퀜티아는 우선 단독의 시에 선율을 붙인 형태인 몇 개의 부분(section)으로 시작되고, 다음에는 짝을 이루는 시 구절로 이루어진 일련의 가사에 동일한 선율이 반복되는 형태가 계속되며, 그 뒤에는 단독의 시 구절에 선율이 붙여지는 형태가 이어져서 끝난다.

 

 따라서 세퀜티아 형식은 a bb cc dd....n 방식으로 나타낼 수가 있다. 세퀜티아는 나중에 Alleluia에서 분리된 별개의

단선율 성가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예로 가장 유명한 것은 레퀴엠 미사 Requiem Massa 중 < Dies Irae(분노의 날)>가 있다. 노트거 발불루스

(840-912)는 잔크트 갈렌의 투오틸로와 같은 시대의 작곡가 인데, 최초기의 세퀜티아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그 밖의 작곡가로서는 아당 드 빅토르(12세기), 성 토마스 아퀴나스, 야코포 다 토디(13세기)등이 있다.

 

가톨릭 교회의 미사는 옛날에는 단선율 성가의 형태로, 그 뒤에는 다성음악(Polyphony) 작품으로서 음악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우리들은 그 예배의 기본적인 구조를 먼저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그것은 Divine offices (성무일도)와 Mass(미사)라고 하는 두 개의 커다란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Divine offices 란 나날의 특정한 시간에 신에 대하여 기도를 올리는 여덟 개의 예배를 말하며, 또는 Canonical

Hours(시과)라고도 한다. 그것들은 즉, Matins(조과), Lauds(찬과), Prime(제1시과), Terce(제3시과), Sext

(제6시과), Nones(제9시과), Vespers(만과), Compline(종과)로 되어있다.

 

이중 음악상 가장 중요한 Divine offices는 Matins와 Lauds,그리고 Vespers 이다.

Mass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의식으로서 두 개의 중요한 부분으로 나뉜다.

즉 Proper(고유문) 과Ordinary(통상문)이다.

 

고유문은 개개의 미사 성격에 따라 변화되는 부분이 포함되었고, 음악을 사용하는 여섯 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그 부분들은 Introit(입당송), Gradual(층계송), Alleluia(알렐루야), Tract, Offertory(봉헌송), Communion

(영성체송)이다.

 

통상문은 Kyrie(자비송), Gloria(대영광송), Credo(사도신경), Sanctus(거룩하시도다), Agnus Dei(하느님의

 어린양)라는 다섯 개의 불변하는 부분을 가졌다.

 

미사라고 하는 표제 를 지닌 음악 작품은 언제나 이 통상문에 작곡된 것인데, 거기에는 팔레스트리나의 <미사 브레이브>와 바흐의 <나단조 미사>등의 예가 있다.

 

Requiem(레퀴엠)- Missa pro Defunctis(죽은자를 위한 미사) 는 통상문에서 따온 부분 (키리에, 쌍뚜스, 아뉴스

 데이)과 고유문에서 따온 부분(인트로이뚜스, 오페르또니움, 꼼니오)을 포함한 장의를 위한 특별한 미사이다.

 이 미사에는 13세기 세퀜티아의 하나가 포함된다.

 

그레고리안 성가의 영향

가톨릭 교회용으로 만들어지고 전파된 그레고리안 성가는 교회와 수도원에서만 불려졌으나 점차 세속 음악에도 응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레고리안 성가의 음악 이론, 음계라든가 선법등은 서양 음악의 기초가 되었다.

성 그레고리우스가 로마에 설립한 성가 학교와 이를 본받아 유럽 각지에서 세워진 같은 학교들은 음악의 발상지가 되었고 성가 학교에서 배출된 무수한 성직자, 음악가에 의하여 서양음악은 찬란한 꽃을 피우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로인하여 생기게 된 그레고리안 성가의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로는 스콜라 칸토룸(Schola Cantorum)이라는 노래학교(전문 성가대)가 생겨서 교회마다 성가대가 발생하여 교인들이 찬양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되었고 지방마다의 독특한 성가의 특색이 사라지게 되었다.

 

그레고리안 성가 이후의 발전된 성가의 형식과 그 특징

 

그레고리안 성가는 9세기 말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였는데 그것은 또 새로운 음악의 발생을 예지한 것으로 음악사 전체를 통하여 가장 크고 단독적으로 생긴 발전은 폴리포니(Polyphony)가 출현한 것이다.

9세기에서 13세기에 걸친 폴리포니의 발전은 교회음악의 영역에서 진행된 것이었고 그것은 그레고리안 성가에 바탕을 둔 것이다.

 

오르가눔(Organum)이란 용어는 폴리포니의 시초부터 13세기의 중반 무렵까지 폴리포니의 여러 가지 발전 단계에 있어서 사용되었다.

이것은 성부별 가창에서 시작되었으며 옥타브 간격으로, 3도의 간격으로, 4도, 5도의 간격으로 노래는 것이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11세기에 이르러 오르가눔 성부가 주성부 보다 높은 음역을 가지기 시작했고 12세기에는 주성부는 그대로 유지한 채

자유롭게 꾸밀수 있는 오르가눔 성부에 음악적 장식을 하게 되었다.

 

오르가눔이후에 발전된 것이 13세기 후반에 유행한 모테트(Motet)이다. 모테트는 라틴어로된 성가와 그 지방 말로된

 노래들을 한데 섞는 방법으로 성서의 이야기를 무반주 또는 오르간, 그 밖의 악기로 반주하는 성악적 작곡법이며

 교회가 공식적으로 제정한 예배는 아니나 습관상 널리 행해지는 라틴어 합창곡을 총칭하는 말로써 전형적인 성악적

푸가형식이다.

 

16세기에 교회음악에 대한 비판으로 트렌스 공의회가 열려 Polyphony(다성음악)는 성스러움이 모자라고,

가사전달이 방해된다는 이유로 모든 다성음악을 없앨 것을 건의하는 사건으로 인해 Polyphony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아우스쿨타테(Auscultate)

 

그레고리안 찬트(Gregorian Chant) 버전의 실연자인 '아우스쿨타테(Auscultate)'에 대해서 위키 등 사전과

여러 웹 사이트나 웹문서를 찾아봤으나 사전에는 아무런 등재도 없었고, 다른 사이트에서는 신뢰할 만한 정보는

없었다. 그런데 일반 여러 웹 사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는데, 참고로 이를 그대로 인용한다.

 

 

이 앨범의 주도적인 역할을 한 연주자 아우스쿨타테(Auscultate)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제대로 알려진 바가 없는

미스테리한 인물(!)이다.

음반을 제작한 음반사 역시 의도적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그에 대해 그 어떤 정보나 자료도 배포하지 않았다.

 한동안 그가 실제로 수사(修士)이며 아티스트라는 소문도 나돌았지만 여전히 확인된 것은 아무것도

없이 은일 (隱逸)한 상태로 남아있다.

 

'듣다' 또는 '청진(聽診)하다'의 의미의 라틴어에서 그 이름을 차용해 온 이 아티스트의 음악은 비록 수수께끼로 남아

 있지만, 그 이름에서부터 따뜻함과 안온함을 주고 있다. 사실 이 앨범에서 그의 역할이 도대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만, 가장 빛나는 부분은 역시 이 비틀즈의 노래를 평온한 그것으로 만들어 낸 목소리들이다.

이들이 정식 성악 수업을 받은 인물이 아닌 실제로 덴마크의 올레보르그와 버글럼(Aalborg와 Bøglum)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하고 있는 실제 수사(修士)들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위 설명에서 보듯이 이를 뒷받침할 명확한 근거는 제시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그리 신뢰하기는 어렵다.

그냥 참고에 그치면 될 것이다. 그가 실제 수사(修士)이든 그냥 보통의 아티스트이든. 

 

개인이든 그룹이든 그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오로지 그레고리안 찬트라는 음악형식으로 팝을 노래하면 어떤 감흥을 불러일으키는지 이를 느끼면 그만일 것이다.

단선율 가락이 그리는 간결함과 순수함이 위안과 평온을 가져다 준다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그 유구한 역사적 배경을 짧게 설명하자면,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혹은 '그레고리오 성가'라고

불리는 이 성가(聖歌)는 복잡한 화음구성이나 여러 성부(聲部)를 두지 않는 단 선율로 인해

'플레인 챈트(Plain Chant)' 로 불립니다.

단순히 설명할 수 없는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의 유구한 전통은 다양한 기독교의 성가들 중,

특히 중세와 '르네상스'를 통해 종교음악의 '다성 음악(Polyphony)' 의 발전의 주요한 축이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양식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는 '성 그레고리오 대 교황(Papa Gregorio Magno, 540~604)' 에

의해 카톨릭 교회 최초의 공식 '전례 성가(Cantus Liturgia)' 로 인준되면서 현존하는 수많은 서양 음악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은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누어지고 분파되었던

당시의 성가를 재정립하면서 하 나의 성가집 로 묶게 되었는데 이를 두고 '그레고리안 챈트(Gregorian Chant)'

로 부르게 된 것이랍니다.

 






 

 

 

 

 

 

 

 

 

 

 

 

 

 

 

 

'MODERNISM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igma  (0) 2016.05.21
Meav -Solveig s Song , I dream dwelt in marble halls  (0) 2016.05.21
CCR-Bad Moon Rising   (0) 2016.05.20
Vanessa Williams-Save the best For Last   (0) 2016.05.19
Sade -Still In Love With You   (0) 2016.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