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과 시사

전략폭격기 B-1B·스텔스기 F-35B 동시출격..北 핵심시설 '융단폭격






전략폭격기 B-1B·스텔스기 F-35B 동시출격..北 핵심시설 `융단폭격`(종합)


해병대 F-35BGBU-32 정밀합동직격탄(JDAM)을 투하하고 있다. [사진=공군]




전략폭격기 B-1B·스텔스기 F-35B 동시출격..핵심시설 '융단폭격'


공군 B-1B 전략폭격기 2
해병대 F-35B 스텔스 전투기 4
한국 공군 F-15K 4대와 편대 이뤄 실사격
"도발 완벽히 응징, 뼈저린 후회와 공포심 줄 것"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미국의 전략무기인 B-1B 전략폭격기와 F-35B 스텔스 전투기가 31일 오후 한반도에 출격해
 한국 공군과 북한 핵심시설을 타격하는 공대지 공격 훈련을 실시했다.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도발에 대응한 무력시위다.  

공군은 이날 북한의 거듭되는 탄도미사일 발사와 핵무기 개발에 강력 대응하기 위해 한반도 상공에서 한·미 연합
항공차단 작전을 실시했다.

이번 작전에는 처음으로 미 해병대의 F-35B 스텔스 전투기 4대가 투입돼 미 공군의 B1-B 폭격기 2대 및 한국 공군의
F-15K 전투기 4대와 편대군을 이뤄 임무를 수행했다.

이날 괌에서 출격해 한반도로 전개한 B-1B 전략폭격기 2대는 일본에서 출격한 F-35B 전투기와 대구 기지에서 출격한 한국 공군의 F-15K와 함께 필승사격장에 진입해 적 핵심시설을 정밀 타격하는 공대지 공격훈련을 실시했다.
B-1B 폭격기, F-15K 전투기, F-35B 스텔스 전투기는 차례로 MK-84, MK-82, GBU-32로 표적을 타격했다. 

이를 통해 B-1B 폭격기의 신속한 장거리 폭격 능력과 F-35B 전투기의 은밀침투 및 정밀공격능력을 과시했다.
또 우리 F-15K 전투기의 강력한 타격력도 보여줬다.




전략폭격기 B-1B·스텔스기 F-35B 동시출격..北 핵심시설 `융단폭격`(종합)

한미 공군 전력이 투하한 MK-84, MK-82, GBU-32 등의 무장들이 지상의 목표물인 가상의
 적 핵심시설을 타격하고 있다.

[사진=공군]





F-35B는 우리 공군이 내년부터 도입하는 기본형 F-35A를 해병대용으로 개량한 것이다.
올해 한미 연합훈련인 독수리연습(FE)에 처음으로 한반도에  우리 공군과 적 핵심시설 정밀타격 훈련을 한바 있다.
F-35B 전투기는 수직 이착륙 기능을 통해 강습상륙함에서도 출격이 가능하다. 스텔스 기능을 갖추고 있어 레이더망을 뚫고 유사시 대북 선제타격에 활용될 수 있는 전력이다.  

F-35 전투밝혔다.
항공차단(AI)은 적의 잠재적 군사력이 우리 지상군 및 해군에 피해를 입히기 전에 이를 파괴하거나 지연시키는 항공
작전이다기는 합동정밀직격탄(JDAM)AIM-120 신형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 250 파운드 GPS 유도 소구경폭탄,
AIM-9X 사이드와인더 공대공 열추적 미사일, GPS/레이저 유도탄 등을 탑재할 수 있다. 특히 F-35B에 장착된
 베라 레이더는 500km 거리의 목표물을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B-1B 전략폭격기는 B-52 B-2와 함께 미국의 3대 전략폭격기 중 하나다. 적지를 융단폭격할 수 있는 가공할 파괴력을 갖췄다.
최대 탑재량이 B-52B-2보다 많아 기체 내부는 34, 날개를 포함한 외부는 27톤을 탑재할 수 있다.  

2000파운드급 MK-84 폭탄 24, 500파운드급 MK-82 폭탄 84, 2000파운드급 GBU-31 유도폭탄 24발 을 탑재한다. B-52B-2와는 달리 핵폭탄을 장착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최대속도가 마하 1.2B-52(시속 957)B-2(마하 0.9)보다 빨라 유사시 괌 기지에서 이륙해 2시간이면 한반도에 도착한다. 

원인철 공군 작전사령관은 우리 공군은 완벽한 연합작전 수행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적이 언제 어디서 어떠한 형태로 도발해오더라도 완벽하게 응징해 뼈저린 후회와 극복할 수 없는 공포심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략폭격기 B-1B·스텔스기 F-35B 동시출격..北 핵심시설 `융단폭격`(종합)

한국 공군의 F-15KMK-82 폭탄을 투하하고 있다.

[사진=공군]


XML:Y




미국 공군의 F-35B 스텔스 전투기와 B-1B 전략 폭격기(사진)

우리 공군의 F-15K 전투기 4대와 31일 강원 태백시 필승사격장

 상공에서 연합 폭격 훈련을 펼쳤다.


 사진=연합뉴스






'1~2시간내 평양진입' 스텔스기·폭격기 실폭격훈련 '무력시위'



한미 공군 F-35B·B-1B·F-15K,

폭탄 18발 투하하며 첫 연합폭격훈련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일본과 괌에서 이륙한 후 1∼2시간이면 평양 상공에 진입할 수 있는 미국의 스텔스

 전투기와 전략폭격기가 한반도 상공에서 처음으로 동시 작전을 펼친 것은 북한의 중거리미사일(IRBM) 도발에

대응한 강한 무력시위로 평가된다.


미국은 지난 29일 북한의 '화성-12형' 발사 이틀만인 31일 F-35B 스텔스 전투기 4대와 B-1B 전략폭격기 2대를 동시에 한반도에 출격시켜 폭탄투하 훈련을 하는 강력한 억제력을 과시했다.

특히 이들 전략무기는 우리 공군의 F-15K 전투기 4대와 첫 연합항공차단 작전을 펼치며 공고한 연합방위태세가

한 치의 흔들림도 없다는 메시지를 북한에 전달했다.


연합 항공차단(Air Interdiction) 작전은 상대의 잠재적 군사력이 아군의 지·해상군에 대해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전에

 이를 파괴, 무력화, 지연시키는 항공작전을 말한다.

우리 군에 공격을 가할 수 있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시설의 초토화를 가정한 훈련인 셈이다.


최고 속도 마하 1.2로 비행하는 B-1B 2대는 북한이 포위사격 위협을 가한 태평양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이륙했다.

괌에서 이륙하면 빠르면 2시간, 늦어도 2시간 30분 안에 평양으로 진입해 가공할 위력의 각종 폭탄을 투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략자산이다.


이 폭격기에는 2천파운드급 MK-84 폭탄 24발, 500파운드급 MK-82 폭탄 84발, 2천파운드급 GBU-31 유도폭탄 24발 등을 탑재할 수 있다.

군사 전문가들은 유사시 B-1B 3∼4대가 최대로 무장을 적재하고 평양 상공에서 폭탄을 투하하면 평양 중심구역은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한다.


B-1B 2대는 이날 강원도 태백 필승사격장에서 MK-84 폭탄 각 1발씩을 투하했다.

탄두부분에 428㎏의 고폭장약이 들어있는 MK-84 폭탄은 비록 유도 기능은 없어 정밀성은 떨어지지만 북한군 지하

벙커를 파괴하는 데 동원된다.

항공기에서 투하된 MK-84가 지상에 떨어져 폭발하면 직경 13m, 깊이 3.6m의 구덩이가 생길 정도로 위력이 있다

.

일본의 야마구치(山口)현 이와쿠니(岩國) 주일미군기지에서 이륙한 미국 해병대의 F-35B는 최고속도가 마하 1.6으로 평양까지 비행시간은 1시간이면 충분하다. 이

와쿠니기지에서 평양까지 거리는 800여㎞에 달한다.


스텔스 성능을 갖춰 한반도 유사시 북한군 레이더망을 회피해 평양 상공에 진입해 북한 전쟁지휘부를 타격하는 데

일차적으로 동원되는 전략무기로 꼽힌다.

탐지거리 500㎞의 베라 레이더와 정밀유도폭탄인 합동직격탄(JDAM), 적 레이더기지 파괴용 정밀유도활강폭탄(SDB) 등을 탑재해 표적을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F-35B 2대는 필승사격장 상공에서 GBU-32(합동정밀직격탄·JADAM) 비활성탄 2발씩을 떨어뜨렸다.

비활성탄은 폭발력의 차이만 있을뿐 실제 전투기에서 목표물을 조준해 투하하는 메커니즘은 동일하다.








문 대통령,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대응 F15K 폭탄 투하 훈련 (PG)



문 대통령,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 대응 F15K 폭탄 투하 훈련

(PG)[제작 최자윤]







우리 공군의 F-15K 전투기 4대 중 2대에서도 MK-82 폭탄 각 6발씩, 모두 12발을 투하했다. 이

 폭탄은 무게가 680여㎏으로 항공기에 탑재해 지상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체 추진력이 없어 자유 낙하 방식으로 지상으로 떨어지는 폭탄이다.

이날 필승사격장 상공에서 한미 항공기가 투하한 폭탄은 모두 18발에 달한다.


공군은 "적 핵심시설을 정밀 타격하는 공대지 공격 훈련을 했다"면서 "강력하고 신속한 대응 전력을 한꺼번에 한반도

상공에 투입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threek@yna.co.kr





2

2

2




공군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로 우리 국민과 한미동맹의 안전을 위협한다면 우리 공군의 강력한 타격능력으로 북한 정권지도부를 섬멸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의 지침을 받은 국방과학연구소(ADD)도 지난 24일 실시된 신형 현무-2B(사거리 500km), 현무-2C(사거리

800km) 탄도미사일의 마지막 전력화 비행시험 영상을 이날 공개했다.


ADD는 해당 무기를 "북한의 전 지역 핵심시설을 정확하게 침투해 파괴할 수 있는 맞춤형 신형 탄도미사일로 킬체인과 대량응징보복의 핵심전력"으로 소개하며 "앞으로 미사일 부대와 전력을 대폭 증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와 군 당국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 징후를 미리 포착하고, 대응조치를 '각본처럼' 짜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보다 더 빨리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를 포착했다는 의혹도 있었지만 헤럴드경제는 합동참모본부 등을 인용해 오히려 일본이 1분 늦은 시점에 파악했다고 보도했다.


합참 관계자는 경향신문에 "일본이 오전 558분에 내보낸 것은 실체에 대한 확인 없는 기계적인 조기경보시스템인

전국순간경보시스템(J얼럿)으로 일반적인 언론 보도가 아니다"라며 "미사일 발사 실체에 대한 대국민 전달은 우리 군과 우리 언론이 선제적으로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전략폭격기 B-1B.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미훈련 끝날에 美 전략자산 총출동…긴장 재고조

B-1B·F-35B 편대 한꺼번에 한반도 전개…공중급유기도 동반

 



한미연합 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마지막 날인 31일 미군의 첨단 전략무기들이 한반도에 대거 출격해 대북 무력시위를 벌였다.
이날 오후 미국의 전략무기인 장거리폭격기 B-1B '랜서' 2대와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35B 4대가 동시에 한반도 상공에 출격했다.

올해 장거리 폭격기인 B-1B랜서가 몇차례 전개됐지만 스텔스 전투기인 F-35B와 동시 출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공중급유기 KC-135 '스트래토탱커'도 함께 전개됐다.
 한국에 전개된 B-1B 두대와 F-35B는 4대로 우리 공군 F-15K 편대와 연합 비행훈련을 하고 강원도 필승사격장 상공에서 폭탄 투하 연습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이날 "미 공군의 B-1B와 F-35B 편대가 오늘 오후 한반도 상공에서 우리 공군 전투기 편대와 연합훈련을
했다"고 밝혔다.
B-1B와 F-35B 편대는 각각 괌 앤더슨 공군기지와 일본 이와쿠니 해병기지에서 출격했다.

미국이 B-1B와 F-35B 편대를 한반도 상공에 전개한 것은 북한이 지난 29일 화성-12형 발사를 감행한 지 이틀 만으로
B-1B와 F-35B 편대가 동시에 한반도 상공으로 출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모양이 백조를 연상시켜 '죽음의 백조'라는 별명을 가진 B-1B는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B-2 '스피릿'과 함께 미국의 3대 전략폭격기로, 적지를 융단폭격할 수 있는 폭격기다. 최대 60톤이 넘는 폭탄을 탑재한다.

차세대 전투기로 분류되는 F-35B는 공중, 지상, 해상의 적 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전천후 전투기로 스텔스 성능이 뛰어나 적 방공망을 뚫고 들어가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략무기다.  
탐지거리 500㎞의 베라 레이더와 정밀유도폭탄인 합동직격탄(JDAM), 적 레이더기지 파괴용 정밀유도활강폭탄(SDB) 등을 탑재한다.

F-35B는 우리 공군이 도입할 예정인 F-35의 기본형 F-35A에 헬기와 같은 수직 이착륙 기능을 더한 기종으로 해병대
강습상륙함과 같이 항공모함보다 작은 함정에서도 운용된다. 
미군 전략자산이 한반도에 동시에 전개되고 공세적으로 전개될 보여 한반도 긴장 수위가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미국을 방문 중인 송영무 국방부 장관은 30일(현지시간)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과 회담하며 미국 전략자산의 적극적인 전개를 요청했으며 매티스 장관도 긍정적으로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지난 29일 발사 훈련을 한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의 발사 준비 과정을 담은 사진을 30일 조선중앙TV를 통해 공개했다.       사진에는 화성-12형 미사일이 이동식 발사 차량에 실려 발사 장소로 이동한 뒤 지상에 설치된 거치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과정이 담겼다.




북한이 지난 29일 발사 훈련을 한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의 발사 준비 과정을 담은 사진을 30일

 조선중앙TV를 통해 공개했다.

사진에는 화성-12형 미사일이 이동식 발사 차량에 실려 발사 장소로 이동한 뒤 지상에 설치된 거치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과정이 담겼다.












일본이 북한 미사일 요격하지 못한 이유들


무기 능력 한계·실패시 후폭풍·국제법적 문제 등
中매체 "국제법상 고도 100km 이상 영공아냐..北미사일 고도 550km"



(서울·베이징=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김진방 특파원 = 일본이 자국 상공을 통과한 북한 미사일을 요격하지 못한 이유는 뭘까?

북한이 시험 발사한 중거리 탄도미사일은 일본 홋카이도 상공에서 최고고도 550㎞로 비행, 홋카이도 동쪽 1천180km

태평양 공해 상에 3조각으로 분해되며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의 공식 설명은 미사일이 일본을 겨냥한 것이 아니고 일본 영토에 낙하하지 않을 터여서 위협이 되지

않으리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요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 안팎의 전문가들은 일본이 요격할 능력이 없었으며, 요격할 수 없는 상황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최고 고도 500㎞의 대기권 밖에서 요격하게 돼 있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이지스함 탑재 요격미사일(SM-3)은 애초부터 사거리가 짧아 화성 12호를 잡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또 육상 배치 패트리엇(PAC-3) 미사일은 적의 미사일이 떨어지는 최종단계에 고도 10~20㎞까지 다가왔을 때 격추를 시도하는 방식이어서 역시 대응할 수 없었다.


미국의 우주항공 및 국방 전문가인 랜스 개틀링은 독일 공영 도이체벨레(DW) 방송 인터뷰에서 "북한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할 때 매우 고도가 높고 극도로 빨랐으며, 요격을 위한 준비시간 등이 필요해 설령 요격 명령이 내려졌어도 성공할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고 설명했다.


일본 국제기독교대학의 국제관계 전문가인 스티븐 내기 교수도 북한 미사일 속도와 고도, 일본 상공을 지나간 시간이

 2분 미만으로 짧아 현실적으로 격추 시도가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

일본 도쿄 소재 항공·방위산업 컨설팅업체 넥시아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는 개틀링은 일본이 요격 시도를 하지 못한 중요 원인 중 하나로 실패했을 경우 뒷감당이 어렵다는 점도 꼽았다.


거액을 들여 구축한 방어시스템이 첫 실전에서 수준 미달로 판명되면 일본 국내의 비판도 거세지고 오히려 북한을

고무하게 된다는 것이다.

개틀링 소장은 이와 함께 다른 위험 요인들도 있었을 것이라고 DW에 밝혔다.


만약 요격에 성공했어도 파편들이 대기에 흩어지면서 예컨대 다른 나라 로켓이나 우주정거장 재보급 등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또 일본이 (북한을 포함한) 다른 나라들의 로켓 등 장비가 자국 영공이 아닌 우주에 있을 때 방해할 권리가 있는지는 불분명한 반면 (북한이) "다른 나라 상공을 가로질러 발사하는 것은 가장 무례한 행위지만 분명히 불법은 아니다"

라고 설명했다.


유엔 안보리의 북한 미사일 발사 금지 결의 위반 행위와 별개로 통상적으로 고도 100km까지로 잡는 영공이 아닌 공간을 지난 것은 국제법상 영공 침범이 아니라는 뜻이다.

중국 전문가와 매체들도 일본이 국제법상 북한의 미사일을 요격할 근거가 없었기 때문에 요격 시도를 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중국 해군 소장 출신의 군사평론가 인줘(尹卓)는 이날 중국 중앙(CC)TV와의 인터뷰에서 "일단 북한의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할 때의 고도가 매우 높았기 때문에 일본에 실질적인 위협이 되지 않았다"고 운에 뗀 뒤 "궤도를 보면

미사일이 국제 공역(空域)을 통과해 국제법상 일본이 이를 요격할 근거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인민일보 해외판의 소셜미디어 계정인 협객도(俠客島)도 논평을 통해 탄도미사일의 발사 고도는 일반적으로

수백∼1천㎞ 이상이기 때문에 일본의 영공을 침해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협객도는 "국제법상 고도 100㎞ 이상의 상공은 해당 국가의 영공으로 간주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의 최고 고도는 550㎞이고, 발사 거리는 2천700㎞였기 때문에 일본의 영공을 침해했을 가능성이 매우 작다"고

 강조했다.


협객도는 이어 "외교적인 측면에서도 미사일 요격 시스템을 가동한다는 것은 성공 여부를 떠나서 준(準)전시 상황으로까지 정세를 악화할 수도 있다"면서 "이는 일본에 전혀 좋은 점이 없기 때문에 똑똑한 일본은 미사일 요격이라는

 '뜨거운 감자'를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널드 레이건호 위용[연합뉴스 자료사진]


로널드 레이건호 위용

[연합뉴스 자료사진]




















▲ 노재천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