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ld lang syne(올드랭 사인)
Auld Lang Syne
Robert Burns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never brought to mind?
Should auld acquaintance be forgot,
And auld lang syne!
For auld lang syne, my dear,
For auld lang syne,
We’ll tak a cup o’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And surely ye’ll be your pint stowp!
And surely I’ll be mine!
And we’ll tak a cup o’kindness yet,
For auld lang syne.
We twa hae run about the braes,
And pou’d the gowan fine;
But we’ve wander’d mony a weary fit,
Sin’ auld lang syne.
We twa hae paidl’d in the burn,
Frae morning sun till dine;
But seas between us braid hae roar’d
Sin’ auld lang syne.
Chorus
And there’s a hand, my trusty fiere!
And gie’s a hand o’ thine!
And we’ll tak a right gude-willie waught,
For auld lang syne.
[패스커굴라=AP/뉴시스]성탄절인 25일(현지시간) 미 미시시피주 패스커굴라 해변에
해가 지는 가운데 사람들이 배구를 즐기고 있다.
2019.12.26.
올드 랭 사인
3·1운동 당시 ‘대한 독립 만세!’ 구호와 함께 가장 많이 울려 퍼진 노래는 ‘애국가’였다.
음악적인 측면에서 대한제국은 ‘애국가의 나라’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닌 듯하다.
누가 정한 것도 아니고 누가 부르라고 한 것도 아닌데 우리 민족의 ‘국가(國歌)’처럼 불렀다.
이 노래가 범 민족적으로 사랑을 받자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애국가’를 새로 만들지 않고 이 노래를 임시정부의
그 때문에 오늘날까지도 독립운동을 다룬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의 배경음악으로 곧 잘 쓰이곤 한다.
한 해가 떠나간다. 눈 오는 연말 겨울날 ‘올드 랭 사인’을 흥얼댔던 기억이 난다.
저작권자 © 제주일보
출처 : 제주일보(http://www.jejuilbo.net)
로버트 테일러와 비비안 리가 출연한 영화 〈애수〉의 주제곡으로 ‘올드 랭 사인’이 쓰였다.
스코틀랜드 민족시인 로버트 번스(Robert Burns·1759~1796)가 쓴 ‘올드 랭 사인(auld lang syne)’은 스코트어로 ‘
오랜 옛날부터’(영어 old long since)라는 뜻이다.
영미권에서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으며 부르는 축가로 불렸다.
한국에서는 ‘옛날’ ‘석별’이라는 제목으로 널리 알려졌지만, 1900년대 초 애국가를 이 이별 곡조에 붙여 민중이 불렀다. 3·1운동 때도 ‘올드 랭 사인’ 멜로디로 애국가를 불렀다고 한다.
1948년 대통령령(令)에 따라 안익태가 작곡한 ‘한국환상곡’이 애국가 멜로디로 정해지기 전까지는 ‘올드 랭 사인
’이 애국가의 멜로디로 사용되었다.
1953년 무렵 영화 〈애수〉가 상영되면서 이 노래가 다시 소개되었고, 이후 졸업식 환송곡으로 많이 불렸다.
비공식 기록이지만 ‘올드 랭 사인’을 최초 완역(完譯)한 이가 한흑구(韓黑鷗)다.
그는 “끝까지 지조를 지키며 단 한 편의 친일(親日) 문장도 남기지 않은 영광된 작가”를 넘어 “시 한 줄에도 나라를
생각했던 시인”이었다.
올해 들어 시단(詩壇)에서 민족시인으로 재조명하고 있다.
문학평론가 한명수씨는 최근 그의 시 정신을 기리기 위해 《한흑구전집 1: 시전집》(마중문학사 刊)을 펴냈다.
한해를 보내며 되돌아보는 얼룩진 뒤안길
한 마디로 정치가 국민을 무시한 탓이다. 오늘날 민주주의하에서 대의(代議)제도가 성행한 이후 선거에서 뽑힌 소위
국민의 머슴임을 자처해온 정치인 스스로 주인을 업신여기는 이율배반이 우리사회에서는 흔한 일이니 새삼 놀란 일은 아니다. 비단 한국뿐만이 아니라 민주주의가 발전된 나라에서도 비일비재했다. 우리에게서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명언으로 널리 알려진 프랑스의 사상가 장 자크 루소(1712~1778)는 일찍이 정치인들에 대해 형편없이 평가했다.
올해는 우리사회에서 못난 정치로 인해 나라안이 시끄러웠다.
정치권이 엉망진창이면 정부라도 정신 차려 각종 정책을 잘 계획하고 추진해야 하건만 정치논란에 휩싸여 납작 엎드려 눈치만 살핀다. 복지부동이 아니라 복지안동(伏地眼動)이다. 문재인 정부 임기의 반이 더 지났지만 제대로 된 게 없다. 안개 속을 걷는 듯한 경제는 말할 것도 없고 정초에 기대를 걸었던 남북관계 개선도 지금은 악화일로 상태다.
주택문제 등 부동산 대책은 수요자들을 더 피곤하게 만들며 가진 자들의 부(富) 증가 수단으로 역이용당하는 우스운
아이들 장래와 직결되는 교육문제, 청·중년들의 최대 현안인 주택문제에 대한 정부정책이 종합적 처방이 아니라 문제가 생길 때마다 임시 처방하는 땜질식이다. 또 청년실업 문제 해결이나 고용정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비록 우리사회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국민을 위해 정부가 선정을 펼치고 정치권이 희망을 준다면 그 난관은 쉽게 헤쳐 나갈 수 있겠지만 우리 앞에 닥쳐진 현실은 그게 아니다.
응답하라, 2019년
어느덧 세밑이다.
그러나 한 해를 마감하는 푸근한 성취감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어렵게 지내 왔다는 푸념소리뿐이다.
움츠러든 사회 분위기로 미뤄 단순한 엄살만은 아닐 것이다.
예년이라고 크게 다르지 않았겠으나 올해는 유독 더한 것 같다.
크리스마스를 며칠 앞두고도 그 흔한 징글벨 캐럴조차 들려오지 않는다.
초겨울치고 바람이 그렇게 차가운 것도 아니련만 가슴속은 허전하고 썰렁하기만 하다.
한 해를 지내는 동안 우리 구성원들이 겪은 혼란과 고통은 작지 않았다.
무엇보다 권력층 주변 인물들의 위선적인 처신이 사회 분열을 초래했다.
입으로는 정의를 부르짖으면서도 눈앞의 이익 때문에 원칙과 질서를 허물어뜨리는 행태는 달라진 게 없다.
그러고도 자기들끼리 서로 감싸고 두둔하는 모습에 국민들은 분노와 절망감을 토해냈다.
정치 지도자들이 민심을 다독이기보다 ‘내 편, 네 편’을 부추긴 꼴이다.
정권이 바뀌면서 권력 핵심부에서부터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는 믿음이 송두리째 깨진 것이다.
지난 정권의 적폐를 도려내겠다고 하면서도 비슷한 적폐를 쌓아가는 흔적도 드러나고 있다. 스스로 권력 위에 군림하려는 태세이니, 이른바 ‘정의의 불평등’이다. 주말마다 도심을 메운 군중들이 “이게 나라냐”라고 아우성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먹고사는 문제로 눈길을 돌린다면 더욱 심각하다.
조만간 살아날 것이라던 경기가 계속 내리막길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최우선 목표로 설정한 ‘일자리 창출’에서부터
어긋나고 있다.
자영업자들이 연달아 문을 닫아거는 판국이니 대학을 졸업하고도 번들번들 놀고 지내는 젊은이들을 나무라기는 어렵다. 기존 40~50대 직장인들까지 위협받는 상황에 이르렀다.
어깨띠를 두르고 동네 공터에서 시간을 때우며 보조금을 받는 노인들만 예외에 속한다.
사회적 활력이 꺾여버린 것이 그런 결과다.
열심히만 노력하면 큰 부자는 못 될지언정 자기 앞가림은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기대가 사라져 버린 탓이다.
정부가 대주는 각종 지원금을 기웃거리는 약삭빠른 부류만 늘어났을 뿐이다
. 아파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통에 내집마련의 꿈에서 멀어진 서민들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집이 있는 사람들은 또 그들대로 세금 걱정이다.
이래저래 연말이 심드렁할 수밖에 없다.
정책 오류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고집스러운 태도가 더 우려스럽다.
부동산 해법만이 아니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으로 기업들의 고통이 이어지고 있으나 수수료 부담을 덜어주는 제로페이나 일자리안정자금으로 해결하겠다는 자세에는 변함이 없는 것 같다.
그나마 주52시간제 확대 시행을 앞두고 유예기간을 설정한 조치에 겨우 한숨을 돌리는 분위기다.
내년에는 노인 일자리를 더 늘리겠다는 방안도 다르지 않다.
기본 취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하면서도 계속 늘어나는 재원을 어떻게 충당하겠다는 것인지 걱정이 들기 마련이다.
이런 식이라면 대한민국의 앞날을 장담하기도 쉽지가 않다.
5년 뒤, 10년 뒤라고 저절로 형편이 나아질 수는 없을 것이다.
당장 내년에도 수많은 현안이 기다리고 있다.
아무리 국무총리나 장관이 바뀐다고 한들 처방에는 한계가 있는 법이다.
총선이 실시돼 국회의원들이 교체된다고 해서 사정이 크게 달라질 것도 아니다.
지금껏 온갖 약속과 다짐이 이어졌으면서도 실현된 것이 거의 없는 이유를 돌아봐야 한다.
사람보다는 국가 운영의 틀과 제도를 먼저 바꿔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틈새가 새는 곳마다 세금을 쏟아부어 땜질하는 것이 고작이다.
한 해를 보내면서 다시금 생각한다.
세월이 흐른 다음 우리 역사는 지난 한 해를 또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이미 이에 대한 답변을 요구하는 젊은이들의 목소리가 공허한 메아리가 되어 연말의 허공을 떠돌고 있다.
응답하라, 2019년의 세월이여-. <논설실장>
'MODERNISM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lvatore Adamo - Tombe la neige 아다모 눈이 내리네 (0) | 2018.12.13 |
---|---|
Rodney Atkins - Take A Back Road (0) | 2017.04.21 |
Snowy White-The time has come (0) | 2017.04.13 |
Ed Sheeran - Thinking Out Loud (0) | 2017.04.06 |
Shakira - Chantaje (Versi처n Salsa)[Official Video] ft. Maluma , Whenever, Wherever (0) | 2017.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