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ASSIC

Shostakovich - Symphony No.5 in D Minor, Op.47

 

 

1. Moderato - 전악장 연주 - Kirill Kondrashin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라단조 Op.47

Dmitrii Shostakovich 1906∼1975

 

 

Valrery Gergiev/BBC Symphony Orchestra

Philippe Jordan, conductor  Gustav Mahler Jugendorchester

                                                       출처 : www.youtube.com/watch?v

 

 

 

제1악장 모데라토

 

 

알레그로 논 트롭폰, 변형된 소나타 형식. 조금 비극적인 매력을 가진 테마가 카논품으로 나타낸다.

뒤이어 바이올린의 독특한 제1테마와 제2테마가 나타나 발전되다가 코다로 끝난다.

제1악장 : 매우 느리게 전개되는(Fig. 9) 서두 부분에서는 청중이 이해하기 어렵지 않은 멜로디의 악상이 등장한다.

 

 주제부는 당시의 사회 분위기, 정치적 공포감을 표현하기 위해서 급하지 않게 진행된다.

갑자기 등장하는 폭풍과도 같은 알레그로가 개입되면서(Fig. 17) 사악한 무리들의 겁탈이 시작되는 순간이다.

그러나 음악은 다시 온화롭고 다정한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청중에게 묻는다.

 

우리는 왜 서로가 서로를 사랑하지 못하는가? 다시 등장하는 악마의 무리들이 공격을 시작하고(Fig. 27) 그 폭력성은

 절정에 이른다(Fig. 36).

우리의 영웅은 갈가리 찢겨져서 없어지고, 그가 만일 사악한 무리들이 없는 세상에서 살았다면 얼마나 다른 삶을

 살았을까를 말해주는 진혼곡의 소리가 들려오게 된다(Fig. 39)

 

 

2악장 알레그렛토 스케르쪼

 

 

경쾌한 기분의 힘찬 왈츠곡풍이다.

중간부는 민족 무곡풍으로 나타난다.

 

제2악장 : 당대의 평론가들은 본 악장이 말러풍의 왈츠와 유사하다고 말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말러는 그의 음악적 전통에 충실한 랜틀러였겠지만 아버지의 음악은 절대로 왈츠가 아니다.

그렇다면 2악장은 영혼이 없는 사악한 무리들의 강한 폭력이고 파괴를 일삼는 기계적 인간들을 표현하는 것이다.

 

바이올린 솔로의 등장(Fig. 57)은 이러한 무리의 군화에 짓밟혀 신음하는 어린아이들의 절규이다. 플루트가 바이올린

솔로의 패시지를 다시 연주하면서 그 절박함은 다시금 강조된다.

사악한 무리들의 행진이 다시금 시작되면서(Fig. 61) 악장은 결국 악한 무리들의 승리를 암시하며 끝나게 된다.

 

3악장 라르고.

 

전 곡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악장이다.

그의 독특한 서정미를 음미할 수 있으며 애수에 찬 번뇌의 분위기도 자아낸다.

제3악장 : 5번 교향곡의 3악장은 실로 아버지의 모든 교향곡을 통틀어 가장 아름답고 수려한 멜로디의 작품이다.

아버지는 여러 목소리를 한꺼번에 표현하려는 의도로서 바이올린을 3개의 파트로 나누기도 했다.

 

주인공은 집에서의 마지막 밤을 보내고 내일이면 강제 노동수용소로 끌려갈 한 남자일 수도 있고 내일이면 처형당할

 불쌍한 영혼일 수도 있다.

마지막 밤을 집에서 보내는 남자 곁에는 아이의 숨소리가 들리고 아내의 따뜻함도 느껴진다.

 

그러나 그는 울지 않는다.

 대신 그 남자는 깊은 원망을 갖는다(Fig. 89). 왜 내가 희생을 당해야만 하는가!

아버지는 절대로 감상에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등장하는 첼로 독주는(Fig. 90) 청중의 가슴을 적시고 악장의 클라이맥스(Fig. 92)를 지나서 영웅의 격한 감

정은 조용히 사라진다.

 

 

제4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롭포.

 

 

온갖 슬픔이 사라지고 승리의 개가를 올리는 듯한 서주가 있은 후 행진곡풍으로 장쾌하게 전진한다.

4악장 피날레 부분에 종소리가 있는 것이 이 연주의 특징 가운데 하나입니다.

제4악장 : 폭풍의 기세 속에 영웅은 승리한다.

 

이러한 기세 등등함은 3악장과 유사한 느린 악절의 등장으로 이어지는데(Fig. 112) 조용함이라기 보다는 뒤를 잇는

 그 무엇에 대한 전조일 뿐이다.

 

전쟁을 예견하며(Fig. 121) 드럼과 저음 호른의 연주가 뒤를 잇는다.

 만일 전쟁이 아니라면 그것은 아버지를 위협하는 사악한 무리들(Fig. 128)일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아버지는 말한다.

 "너희들 마음대로 나에게 아무 것도 할 수는 없다.

" 행복도 아니고 승리도 아니다.

 

 

 

 

프라하 뮤직 페스티벌에 참석한 레닌그라드 필의 전설적 지휘자 므라빈스키, 쇼스타코비치,

 

바이올리니스트 오이스트라흐(왼쪽부터).

 

 

 

Gangnam Symphony Orchestra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일 것이다.

이 작품은 1970년대, 박정희 정권 시절 유일하게 공연이 된 빨갱이 음악이었다.

작곡가건 연주자건 간에 당시의 공산국가 국적을 가진 사람들의 작품은 절대로 공연을 하지 못했다.

물론 음반들의 국내 반입도 끔찍할 수준으로 차단했었다.

 

당 시 므라빈스키나 콘드라신의 쇼스타코비치 판을 듣기 위해서는 독립운동을 하는 비밀 지하조직의 구성원들 처럼

판을 가지고 있는 사람 집에 은밀하게 모여 작은 소리로 틀어놓고 숨죽여 들어야만 했다.

이것이 역설적으로 쇼스타코비치의 LP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영웅으로 만들어놓기도 하고.

 

1970 년대 후반, 뉴욕 필을 이끌고 방한 공연을 준비하던 번스타인. 청와대가 레퍼토리에 쇼스타코비치의 5번 교향곡이 있는 걸 알고, 레퍼토리 교체를 요구하자, 번스타인은 그럼 한국 방문을 취소하겠다고 으름짱을 놓았다.

결국 박정희와 청와대가 이에 굴복, 한국 전쟁 후 최초로 빨갱이 음악이 남한에서 연주되었던 것이다.

 

 

 

교향곡 5번의 초연 당시의 상황을 쇼스타코비치의 회고록에서 발췌

1937 년 11월 21일은 쇼스타코비치의 음악 운명에서 분수령이 된 날이라 할 수 있었다.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홀은

 사람들로 넘쳐나고 있었다.

소비에트 사회의 최상층 인사들 즉 음악가, 작가, 배우, 화가, 그 밖의 온갖 유명 인사들이 모여들었다.

명예가 손상된 이 작곡가의 <교향곡 제 5번> 초연을 듣기 위해서 였다.

그들은 작곡가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까 궁금해 하고 가십과 농담을 주고받으면서 어떤 센세이션과 스캔들이

일어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어떠한 테러가 횡행하더라도 사교생활은 결국 계속되는 것이다.

 

마 지막 음표가 울리고 나자 그곳은 아수라장이 되었다. 이후에 있었던 주요 쇼스타코비치 작품들의 소비에트 초연이 거의 항상 그랬듯이 말이다. 많은 사람들이 눈물을 흘렸다.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은 거대한 도덕적 압력 하에서 중대한 선택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한 정직하고 사려 깊은 예술가가 행한 노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교 향곡은 신경을 극도로 곤두세우는 박동으로 가득 차 있었다. 작곡가는 열에 들떠서 미궁에서 나가는 탈출구 를 찾고 있었다. 마지막 악장에 이르자 그는 결국 어떤 소비에트 작곡가의 표현처럼 자기가 <이념의 가스실>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될 뿐이었다.

어 떤 작곡가이든 교향곡에서 만큼은 5번이라는 숫자에 대해 그 배경을 떠나 베토벤에 대한 연민을 느끼고 있다.이 곡도 예외가 아닌데요 쇼스타코비치의 “운명 교향곡”이라고도 불리는 작품. 교향곡 마지막 거장이라는 쇼스타코비치 마저 그의 그늘에 둔 베토벤은 정말 교향곡의 아버지라고 할만 하다.

장대한 스케일과 깊게 패인 군화발자국 같은 뚜렷한 인상이 곡 전체를 감싸며 완성된 구도는 쇼스타코비치 교향곡을 통틀어 최고의 작품이라고 할만하다. 4번을 둘러싼 쇼스타코비치의 시련을 극복하고자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의 공산당에 대한 충성을 “예술가의 창조적 대답” 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이 5번이기도 하다.

 

 

 

 

 

 

'혁명', '레닌그라드'

1925 년 이제 막 출범한 소비에트연방에서 19살이 된 쇼스타코비치는 졸업작품으로 <1번 교향곡>을 발표하며 그 음악성을 국내외에서 인정받습니다.

그의 <1번 교향곡>은 당시 소련의 레닌그라드뿐 아니라 베를린, 필라델피아에서도 연주되었으며, 소련에서도 국제적으로 자랑스럽게 내세우는 음악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그런데, 20세기 초반 유럽의 음악계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새롭게 형성된 '현대 음악(전위 예술, 표현주의 등)'의 거대한 물결이 한 흐름으로 잡아가고 있었습니다.

소련을 넘어 유럽사회에까지 유명해진 쇼스타코비치는 당연하게도 이 새로운 조류에 푹 빠져듭니다.

그 런데, 1930년대 초반부터 사회개조, 사상개조, 인간개조, 당파성, 계급투쟁의 무기로서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예술관'이 형성됨에 따라 '작곡가가 아니라 당이 음악을 결정하던 시대'가 시작되자 이와 함께 쇼스타코비치의 불행과 아슬아슬한 서커스가 시작됩니다.

 1번 교향곡 이후로 연이어 작품들을 발표하면서 대중적 인기도와 음악적 완성도가 하늘을 찌를수록 당의 질시와 견제, 협박이 그에 비례해서 커집니다.

이때 발표한 <3번 교향곡>의 부제가 '5월1일' 즉, 노동절에 대한 교향곡입니다.

판이 높아지면 이런 곡을 한번씩 발표하면서 비판을 잠재웠던 것이죠. 그런데 4번 교향곡을 발표하기 전에 발표한 '므첸스크의 맥베드 부인 op.29'라는 오페라는 드디어 스탈린과 당의 심기를 크게 건드리고 맙니다.

이 작품에 대해 1936년 당과 프라우다는 '부르주아적인 퇴폐성을 띤 형식주의자의 불협화음', '음악이 아니라 횡설수설하는 음표 더미들'로 몰아세우며 인민의 적으로 낙인찍습니다.

그러자 쇼스타코비치는 고독과 염세주의를 표방한 4번 교향곡의 발표를 포기하고, ' 혁명'이라는 이름이 붙은 <5번 교향곡>을 1937년에 먼저 발표합니다. 암울한 앞부분과 당당하고 강력한 타악기의 후반부를 이루는 '혁명'에 대해 쇼스타코비치 본인은 첫 공연에서 '당국의 비판에 대한 소비에트 예술가의 답변'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런데 당과 스탈린은 볼셰비키 혁명을 찬양한 음악이라고 판단하고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극치라며 '낙관적 비극의 전형', '더 밝은 미래의 비전을 들려주었다' 등의 찬사와 함께 쇼스타코비치를 복권시켜 주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쇼스타코비치는 '앞부분의 암울한 부분이 바로 스탈린주의 치하에 짓눌린 민중을 상징'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슬아슬한 곡예를 부리며 스탈린주의를 비꼰 것이지요.

 

 

 

 

 

그 리고 2차 대전이 터지면서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쇼스타코비치는 그 전의 어정쩡한 태도와 달리 분기탱천하여 흩어져있는 볼쇼이 악단을 모아서 <7번 교향곡, 레닌그라드>라는 곡을 발표하고, 소련의 민중들에게 독일의 나찌즘에 맞서서 레닌그라드를 사수하기 위해 가열차게 싸워나가자고 선동합니다.

이에 대해 당에서는 극찬하며 스탈린 상을 수상합니다. 그러나 종전 후에 발표한 <9번 교향곡>에 대해 또다시 1948년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소집한 소련 음악가 회의에서 '타락한 부르주아의 형식주의 추종'이라는, 이른바 '지다노프 비판'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 뒤 쇼스타코비치는 스탈린 정책을 찬양하는 오라토리오 <숲의 노래>를 발표하여 이를 무마하고 1950년 다시 스탈린 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러한 쇼스타코비치의 정치적, 음악적 비극은 스탈린이 사망하는 때까지 계속됩니다. 그리고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한 이후가 되어서야 비로소 그는 여러 가지 다양한 실험적인 기법을 비교적 자유롭게 도입하며 새로운 쇼스타코비치로 우뚝 섭니다.

쇼 스타코비치는 이러한 목숨을 건 시소타기 속에서도 러시아 민속 음악, 재즈, 바흐를 바탕으로 15개의 교향곡과 현악 4중주를 비롯해 2개의 오페라, 하나의 오페레타, 6개의 협주곡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이외에도 독주곡. 실내악. 성악작품. 영화 음악. 발레 음악 등 모든 장르를 망라하는 147개의 작품을 남겨놓고 1975년에 심장마비로 세상을 마감합니다. 이제 혹시 영화나 음악이 어디선가 흘러나오며 쇼스타코비치의 곡이라고 소개되거든 관심을 가지고 찬찬히 들어보며 그의 생애를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스탈린의 압박이든, 정치적 타협이든, 아니면 혁명의 열정이든 간에 그의 교향곡 5번 '혁명', 7번 '레닌그라드' 등은 지금도 명곡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기회가 있으면 꼭 한번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사진출처: (cc) RIA Novosti archive, image #888 / Vsevolod Tarasevich at Wikim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