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t1.daumcdn.net/news/201709/05/kukminilbo/20170905050301740oowq.jpg)
'한국 때리기'에 역풍 맞는 트럼프.. 美언론 일제히 비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6차 핵실험 도발을 전후로 한국과 동맹을 강화하기는커녕 한국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를 거론하거나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이 유화책에 치우쳤다고 공개적으로 비난한 것이 대표적으로, 미국 내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워싱턴포스트(WP)는 3일(현지시간) 사설에서 “북한이 6차 핵실험을 단행하고 수소탄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정부를 비난하고 한·미 FTA 폐기를 거론해 김정은에게 선물을 안겨줬다”고 지적했다.
트로이 스탠가론 한미경제연구소(KEI) 연구원 역시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정부가 일방적으로 한·미 FTA를 폐기한다면 한국은 미국을 파트너로 인식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적국보다 동맹국을 더 나쁘게 취급하고 있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비확산·군축담당 특보도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비판은 잘못된 인식”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은 실제 미국의 ‘최대의 압박과 관여’ 대북 정책을 적극 지지해 왔고, 문 대통령이 지금까지 취한 어떤 것도 유화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NYT는 특히 “한국 정부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비판은 한·미 FTA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불만에서 나온 것”이라며
“전임자들과 달리 무역과 안보 이슈를 연결함으로써 스스로를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지 전문가들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안보정책을 무역정책의 지렛대로 사용해 대선 당시의 포퓰리즘 공약을 이행하려 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입을 모았다.
미 정·재계의 반발도 확산되고 있다.
벤 세스, 제프 플레이트 등 공화당 중진 상원의원들도 앞다퉈 한·미 FTA 폐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FTA를 폐기하면 양국 동맹에 복구하기 힘든 ‘균열’이 생길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협상용 엄포를 놓은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WP는 한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행태에 대해 그를 ‘괴짜(kind of nuts)’로 취급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반미주의로 보는 한국 현대사’라는 책 저자인 데이비드 스타라우브를 인용해 한국인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비이성적인 파트너이며 일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스타라우브는 “한국인들은 트럼프 대통령을 괴짜로 여기지만 동맹이 필요하니까 감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북한의 6차 핵실험후 미국의 반응을 보도한 뉴욕타임스
(사진: 뉴욕타임스 캡처).
북한 핵실험 외신 반응 "트럼프는 왜 한국 공격하나"
지난 3일 북한이 6차 핵실험을 진행한 가운데, 주요 외신에서도 관련 소식을 비중 있게 타전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인터넷 판은 이날 북한 관련 소식을 메인 상단 화면에 배치했다.
이번 실험에 대해 역대 가장 강한 실험이라고 평가한 NYT는 전문가들의 발언을 인용해 “2차 대전 당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폭탄보다 4~16배 더 강력한 위력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초강경 자세로 반항한 것”이라며 “이번 핵실험을 주제로 정부는 수일 내 대규모
회의를 주재하고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핵실험이 미국의 휴일인 노동절을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그간 북한이 미국이나 북한에 의미 있는 날에 핵실험을 강행해왔다는 게 그 이유. 매체는 “북한이 일요일에 핵실험을 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며 “미국 노동절과 다음 주 토요일에 있을 북한 정부 수립 기념일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NYT와 의견을 같이 했다. 아울러 WP는 “김정은과 트럼프 대통령 사이의 긴장감이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실험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정책에 대한 기조를 변경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핵실험에 대한 중국의 반응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WP는 “이번 핵실험은 미국을 포함한 주변국은 물론 중국도 분노케 했을 것”이라며 “북한의 최대 원유 공급처인 중국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다만 “중국이 아직 구체적인 대응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는 전문가의 발언을 인용해 덧붙였다.
북한의 핵실험 이후 한국의 햇볕 정책을 비판한 미국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다루는 보도도 잇따라 나왔다 (사진: 워싱턴포스트 캡처). |
외신은 핵 실험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북한의 핵실험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 “한국은 내가 그간 얘기해온 것처럼 북한에 유화 정책이 먹히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며 “그들은 그저 하나만 안다”고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을 비판한 바 있다. 북한 핵실험의
주요 원인으로 한국의 햇볕 정책을 꼽은 것.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인식에 대해 다소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했다. NYT는 ‘트럼프는 왜 북한 도발 이후
한국을 비난하나’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다소 불쾌한 발언을 했다”며 “이는
미국 국민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불필요한 한국 때리기”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트럼프의 발언은 북핵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되지 않으며, 한미 공조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WP도 ‘北 핵 실험 후 동맹국 공세에 나선 트럼프, 한국 국민들은 의아하다’는 제하의 기사를 내보냈다.
WP는 도쿄발 기사를 통해 국내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
WP는 ‘한국, 트럼프 바보 취급…비판 무시하려 애쓰는 듯’이라는 기사를 통해 “한국 정부는 한미 갈등을 유추할 수
있는 여지를 없애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을 바보(kind of nuts)로 취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럼프의 발언은 언론을 통해 한국 국민 대다수에게 전해졌다”며 “트럼프 트윗에 대해 문 대통령은 ‘동맹국과
협력해 한반도의 비핵화를 계속해서 추진할 것’이라는 대답을 내놨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전문가의 발언을 인용, “트럼프가 중국보다 한국을 공격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라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은 한국이 아니라 중국”이라고 지적했다.
취재기자 정인혜 reporter1@civicnews.com
<저작권자 © CIVICnews / 시빅뉴스,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5/209d7b2a-95d6-41e6-82ba-f821f8b4ad51.jpg)
[출처: 중앙일보] 오바마가 트럼프에게 “국제질서 준수” 당부했건만 …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통화 모습.
사진=청와대 제공, 연합뉴스
정부 대북정책에도 '트럼프'는 리스크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 트윗팅과 말 폭탄이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에도
북한의 6차 핵실험 도발을 전후로 격랑에 휩싸인 한반도의 위기 해결을 위해 동맹국인 한국을 도우려 하기보다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이 유화책에 치우쳤다고 비난하거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폐기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것이 대표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인 지난 3일(현지시간) 튀위터에 "내가 한국에 말했듯 한국은 북한에 대한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한국은 동족상잔의 전쟁을 직접 체함한 국가"라면서 "동맹국들과 평화를 통한 한반도의 비핵화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맞받았다. 전쟁을 억제해야 할 한국의 입장으로선 당연한 반박이다.
지난달 7일에도 그는 문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궁금해서 물어보는데 북한과 대화를 시도해봤냐"라고 물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들에 대해 미국 언론과 정치권에서 비난이 쏟아졌다.
워싱턴포스트(WP)는 3일(현지시간) 사설에서 "북한이 6차 핵실험을 단행하고 수소탄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트로이 스탠가론 한미경제연구소(KEI) 연구원은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정부가 일방적으로
뉴욕타임즈(NYT)는 "한국 정부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비판은 한·미 FTA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불만에서 나온 것"
제프 플레이크 상원 외교위원(공화)은 "(트럼프의 발언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적당하지 않다"면서 "한국이 직면한
한국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들이 대북정책의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 기조가 대화와 제재 병행이지만 실제로는 쭉 제재 국면이었다"면서 "한국은 지난 수십년 간 '전략적 인내'를 유지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머릿 속에 한국 정부에 대한 편견이 자리잡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트나 발언은 미국의 결정되거나 추진하는 정책과 차이가 크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사진) 미국 대통령은 4일 밤 전화통화에서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으로 미사일지침 상 한국의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을
해제하기로 합의했다.
[출처 = 연합뉴스]
![](http://photo.hankooki.com/newsphoto/v001/2017/09/05/tongtong20170905083011_X_02_C_1.jpg)
![](http://news.bbsi.co.kr/news/photo/201709/841002_82763_3137.jpg)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어젯밤 전화통화를 갖고
한미 미사일 지침의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을 해제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은 지하 깊숙이 포진한 북한의 군사시설을 비롯해 유사시 북한군 지휘부 벙커까지 초토화할 수 있는 초강력 미사일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밤 전화통화에서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으로 미사일지침 상 한국의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을 해제하기로 합의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앞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장거리에서 중·단거리에 이르는 모든 종류의 탄도미사일을 쏘아 올린 직후에 가졌던 지난 1일 통화에서 한국이 원하는 수준으로 한미 미사일지침을 개정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한 바 있다.
탄두중량 제한 해제는 문 대통령이 먼저 트럼프 대통령에게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금번 핵실험이 과거보다 몇 배 더 강력한 위력을 보이고 북한 스스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장착용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전적인 공감을 표하고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을 약속하면서 미국의 철통 같은 대한방위공약을
이날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진행상황을
두 정상은 지금은 북한에 대해 최고로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우선 더욱 강력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추진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는 북한의 제6차 핵실험을 계기로 이뤄진 것으로, 취임 당일인 5월 10일, 북한의
이날 통화는 오후 10시 45분부터 40분간 진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나는 언제든지 통화할 수 있으니까 언제든지 필요할 때 연락을 달라"고 두 차례나
[디지털뉴스국]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전 청와대 여민1관 소회의실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통화하고 있다.
(청와대) 2017.9.4/뉴스1
文 대통령, 한미 미사일제한 해제 얻고 北 원유금수 거론
오전 日 이어 한밤 美·러·獨과 전화외교.."사드 임시배치 신속완료"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후 늦게 미국·러시아·독일 정상과 잇단 전화외교로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 방안을 논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는 한·미 미사일지침상 한국의 미사일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데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1일 밤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국이 원하는 만큼 미사일 지침을 개정한다는 원칙에 합의한 데
이어 '제한 해제'까지 이끌어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는 외교적 해법이란 기본원칙에 공감하면서도 북한 핵실험을 규탄했다.
특히 푸틴 대통령에게 대북 원유공급 금지나 북한 해외노동자 수입금지 등 북한의 수입원 차단책을 유엔 안보리서
진지하게 검토할 때라고 밝히며 강력한 북한 봉쇄 카드를 꺼냈다.
문 대통령은 메르켈 독일 총리와 오후 9시45분~10시5분(20분), 트럼프 대통령과 오후 10시45분~11시25분(40분),
푸틴 대통령과 오후 11시30분~11시50분(20분)에 각각 전화통화를 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세 통화에서 공통적으로 이번 핵실험이 과거보다 몇 배 더 강력한 위력을 보인 점, 북한 스스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장착용 수소탄 실험이라 주장한 점에서 매우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제사회와 협력해 차원이 다른, 북한이 절감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실제적인 대응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한 핵실험이 한반도와 동북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안전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그 규모와 성격 면에서 과거와는 차원이 다른 엄중한 도발이라는 데도 각국 정상들과 인식을 같이 했다.
◇트럼프와 "미사일 탄두중량 해제"= 가장 관심을 모은 것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의 북한 규탄에 전적인 공감을 표하고,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고 박 대변인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미국의 철통같은 대한국 방위공약을 재확인했다.
이어 양 정상은 강력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의 도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 나가기로 했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한 미 미사일지침상 한국의 미사일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데 합의했다.
또 문 대통령은 북한의 거듭되는 핵 및 미사일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주한미군의 사드(THAAD) 임시 배치를 한국의 국내 절차에 따라 최대한 신속하게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로선 미사일 탄두중량 제한해제를 얻는 대신 신속한 사드 임시배치 완료 약속으로 미국을 설득한 셈이다.
한미 양 정상은 지금은 북한에 대해 최고도로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그 일환으로
우선 보다 강력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추진하기로 했다. 양 정상은 이달 미국 뉴욕서 열리는 UN 총회를 계기로
다시 만나기로 했다.
◇푸틴에게 "대북 원유공급 중단 검토를"= 문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게는 "북핵 문제는 외교적 방법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
해야 한다고 보나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이 추가적 도발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북 원유 공급 중단과 북한 해외노동자 수입금지 등 북한의 외화 수입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유엔 안보리에서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 참석차 중국 셔먼에 머물면서 문 대통령과 통화하고 "BRICS 정상회의에서도 북한의 6차 핵실험을 규탄하는 선언문이 채택됐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다만 대북 원유 금수 등에 호응하기보다는 "선언문에서도 한반도의 핵문제는 오로지 외교적 방식으로 해결할수 있다고 합의했다"며 "6일부터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에서 추가적으로 논의하자"고 말했다.
◇메르켈과 "평화적 해결이 기본원칙"= 문 대통령은 메르켈 독일 총리와 통화에선 "그간 인내심을 갖고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중단·포기를 촉구해 왔으나, 이제는 북한이 절감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실제적인 대응조치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추가 도발을 묵과하지 않을 것과 국제사회와 협력해 최고로 강력한 제재와 압박 등 응징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한·독 정상은 아울러 국제사회가 일치단결해 최고 수준의 제재와 압박을 가하는 것은 북한이 스스로 대화 테이블로
나오도록 만들기 위한 것이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북한 핵·미사일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기본 원칙은 분명하게
지켜져야 한다는 데도 공감했다.
문 대통령은 이로써 북한 6차 핵실험 후 주변4강 중 중국을 제외한 3국 정상에다 독일 정상과 각각 통화를 마쳤다.
문 대통령은 앞서 4일 오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통화를 하며 공동대응을 약속한 바 있다.
김성휘 기자 sunnykim@mt.co.kr
도리스 로이타르트 스위스 대통령. © AFP=뉴스1
중립국 스위스, 북핵문제 중재자 역할 제안
베른=AP/뉴시스】이수지 기자 = 중립국 스위스도 북한 문제의 중재자 역할을 제안했다.
도리스 로이타르트 스위스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베르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스위스가 북한 핵 개발과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에 대해 북한과 다른 당사국들간의 대립을 중재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작지만 중립국인 스위스가 과거 이란, 쿠바와 같은 국가와의 협상에서 미국의 이익을
대변한 적이 있다”라며 “이 같은 경험을 한반도 긴장 문제를 해결하기 하는 중재자로서 좋은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는 좋은 서비스인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라며 이는 앞으로 몇 주 안에 미국과 중국이 이 위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라고 덧붙였다.
스위스는 지난 수년간 수많은 국제적 분쟁 문제의 중재적 노력을 주도해 왔으며, 북한 지도자 김정은 국방위원장도
스위스에서 유학했다.
로이타르트 스위스 대통령은 "아마도 지금까지 북한의 지금까지 행동들로 대화의 자리에 나오라는 제안을 받게 될 것"이라며 “우리는 이를 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제 대화를 할 때"고 덧붙였다.
프랑스도 지난 7월29일 북한 탄도 미사일 발사 당시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프랑스의 중재자 역할을 제안한 바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당시 파리에서 한 외교 정책 관련 연설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무책임한 도발이라고 비난하면서 프랑스가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나오도록 가능한 모든 일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 |
【서울=뉴시스】 |
![문재인 대통령(왼쪽)·아베 신조 일본 총리 연합뉴스](http://img.seoul.co.kr/img/upload/2017/08/25/SSI_20170825181441_V.jpg)
![본문 첨부 이미지](https://file.mk.co.kr/chinafocus/2017/09/201709011136191376421.jpg)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은의 핵 열차 '예열'이 없다..김정일 때와 같은점, 다른점 (0) | 2017.09.05 |
---|---|
김기춘, ‘서류 지각’으로 항소심 기각 위기? (0) | 2017.09.05 |
원자폭탄의 무서운 사생아, 수소폭탄 개발의 역사 (0) | 2017.09.04 |
日 아사히신문이 전망한 미국의 대북 시나리오 3가지 (0) | 2017.09.04 |
보면 알 것"..대북 군사공격 가능성 열어놓은 트럼프 (0) | 2017.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