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서울 삼성동 대종빌딩 중앙 기둥에 기둥을 감싼 콘크리트가 부서져 철골 구조물이 드러나 있다.
서울시는 11일 오후 신고를 받고 강남구청과 함께 긴급 점검한 뒤 입주자들을 모두
퇴거시키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12일 서울 삼성동 대종빌딩 중앙 기둥에 기둥을 감싼 콘크리트가 부서져 철골 구조물이 드러나 있다.
서울시는 11일 오후 신고를 받고 강남구청과 함께 긴급 점검한 뒤 입주자들을 모두 퇴거
시키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붕괴 위험’ 삼성동 대종빌딩 폐쇄…일반인 출입 제한
붕괴 위험이 발견된 서울 강남구 삼성동 대종빌딩이 13일부터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됐다.
서울 강남구청은 이날 현장 브리핑에서 대종빌딩의 전 출입문을 0시부터 폐쇄했다고 밝혔다.
전날 제3종시설물 지정에 따른 조치다.
박중섭 건축과장은 “폐쇄조치 후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있다”며 “현재 거주자는 없지만, 입주업체 79곳 중 물건이
남은 업체가 일부 있다”고 밝혔다.
강남구에 따르면 오후 5시 기준 입주업체 79곳 중 27곳(34%)만 완전히 이사를 했다.
미처 짐을 빼지 못한 입주자들은 구의 허가를 받아 짐을 빼내고 있다.
갑자기 건물을 비우게 된 건물주와 임차인들은 이날 각각 회의를 열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건물주들은 이날 회의에서 대표단 4명을 구성해 긴급보강공사와 정밀안전진단 협의에 나섰다.
임차인들도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붕괴 위험으로 퇴거 조치가 이뤄진 서울 삼성동 대종빌딩에 제3종시설물 지정고시와 시설물 사용금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강남구는 구가 확보한 안전기금으로 2층 중앙 기둥 주변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긴급 보강공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날 지하 1층, 지상 5층 총 6개층을 공사 범위로 정했고, 16일까지 공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보강공사 비용 분담은 건물주들과 협의해 결정하기로 했다.

12일 오전 건물 붕괴 위험으로 서울 삼성동 대종빌딩 앞에서 빌딩 입주 업체들의 짐이 트럭 앞에 쌓여 있다. 서울시는 11일 오후 신고를 받고 강남구청과 함께 긴급 점검을 한 뒤
입주자들을 모두 퇴거시켰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약 2개월이 걸리는 정밀안전진단은 건물주의 동의가 필요하다. 대종빌딩은 건물주가 113명에 달해 동의 절차에만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우려됐다.
다행히 건물주들이 이날 회의에서 대표단을 구성해 구와 협의에 나서면서 안전진단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강남구는 사무실을 구하지 못한 입주자를 위해 동주민센터, 보건소, 청년창업지원센터 등의 빈 공간을 파악해 입주자에게 임시 사무공간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13일 오전 붕괴 위험이 발견된 서울 삼성동 대종빌딩에서 입주업체 관계자가 짐을 옮기고 있다. 관할구청인 강남구는 우선 입주자들에게 건물을 비우도록 했고, 이후 건물주와 협의해 정밀안전진단을 벌일 계획이다.
연합뉴스
내부 관리 인원도 최소화한다.
현재 주간에는 24명(관리사무소 7명, 경비 4명, 주차 6명, 청소 7명), 야간에는 4명이 근무 중이나 앞으로 필수요원만 근무하도록 할 계획이다.
대종빌딩 인근에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경찰 순찰차 1대가 24시간 교대 근무 중이며, 소방 인력과 3t 규모 소방차가 인근에 대기 중이다.

13일 오전 붕괴 위험이 발견된 서울 삼성동 대종빌딩에 출입통제선이 설치돼 있다. 관할구청인 강남구는 우선 입주자들에게 건물을 비우도록 했고, 이후 건물주와 협의해 정밀안전
진단을 벌일 계획이다.
연합뉴스
대종빌딩은 지하 7층 지상 15층에 연면적 1만4천799㎡ 규모로 1991년 준공됐다.
지난달 말 기둥에서 균열이 발견됐고, 11일 긴급안전진단 결과 최하 등급인 E등급으로 추정됐다.
이에 강남구는 전날 구가 직접 관리하는 3종시설물로 지정하고 이날 0시부터 출입제한 조치를 했다.


13일 0시부터 전면 폐쇄…정밀 안전진단 절차 착수
강남구 "공공기관 빈 사무실 임시 업무공간으로 지원"
건물주 113명 동의 필요해 완료까지 상당한 시일 거릴 듯
현행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제1종 시설물, 제2종 시설물, 16층 이상 또는 연면적 3만㎡
제1종 시설물은 안전을 위해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거나 구조상 안전 및 유지관리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대규모
제2종 시설물은 제1종 시설물 외에 사회기반시설 등 재난이 발생할 위험이 높거나 재난을 예방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그동안 대종빌딩과 같은 15층 이하 건축물을 대상으로 시나 구청이 안전진단을 강제할 수 없어 육안으로 진행되는 형식적인 안전 검사만 이뤄졌다. 지난 3월 강남구의 안전 점검에서 이 건물은 '양호' 수준인 'B' 등급을 받았다.
다만 지난해 시특법이 개정되면서 재난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15층 이하 건축물을 제3종 시설물로 지정하고 안전진단을 할 수 있게 됐다.
강남구는 12일 오전 긴급 합동안전점검 계획을 수립하고 대종빌딩을 제3종 시설물로 지정했다.
대종빌딩은 13일 0시부터 전면 폐쇄됐다.
박중섭 강남구청 건축과장은 이날 오전 11시 대종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3일 0시부터 대종빌딩의 출입문을
박 과장은 "오전 9시부터 건물주 대표와 응급안전진단을 주도했던 '센구조연구소', 구청 건축관계자가 안전복구진단
12일 서울 삼성동 대종빌딩 중앙 기둥에 철골 구조물이 드러나고 바닥이 갈라져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11일 오후 신고를 받고 강남구청과 함께 긴급 점검 결과 안전진단 최하 등급인 E등급으로 추정되는 등 붕괴 발생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입주자들을 모두 퇴거
시켰다고 밝혔다.
(사진=황진환 기자)
강남구는 정문과 후문, 비상출입구 등 대종빌딩의 모든 출입문을 폐쇄하고 출입자를 통제하고 있다.
경찰과 소방당국도 순찰차와 소방차 등 장비와 인력을 교대 배치하며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대종빌딩에는 경비, 주차, 청소 등 총 24명의 관리 인력이 상주하고 있지만, 강남구는 안전진단 기간 동안 필수인력만 남기고 최소화할 방침이다.
또 갑작스럽게 사무실을 비워야하는 임차인들을 위해 삼성2동주민센터와 대치4동주민센터 등 공공기관의 빈 사무실을 임시 업무공간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앞서 대종빌딩은 지난달 말 2층 인테리어 공사 도중 기둥에서 균열이 처음 발견됐다.
서울시와 강남구가 지난 11일 현장에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2층 중앙기둥 일부가 부서지고 기둥이 설계도와 다르게 시공되는 등 부실시공 의심 정황이 다수 나왔다. 해당 건물은 안전진단 최하 등급인 E등급으로 추정됐다.
강남구는 13일부터 16일까지 지하 7층~지상 4층 기둥 주변에 버팀지지대를 설치한 뒤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할
하지만 건물 소유주 113명의 동의가 필요해 진단 완료까지는 수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2일 서울 삼성동대종빌딩 중앙 기둥의 콘크리트가 부서져 철근이
그대로 보인다.
[뉴시스]
서울시 91년 준공 허가 때 못 잡아
"철근·콘크리트 덜 썼나 확인해야"
서울 건물 40%가 30년 넘은 건물
"80~90년대 부실 만연, 전수조사를"
13일 서울 강남구에 따르면 시공사인 남광토건이 1991년 준공 검사를 받을 때 제출한 도면에는 지하 7층부터 지상 1층까지 원형 기둥을, 그 위층에는 사각 기둥을 세운 것으로 돼 있다.
그러나 이번에 균열이 발견된 지상 2층 기둥도 원형인 것으로 드러났다.
준공 때 제출한 도면과 실제가 달랐다. 뿐만 아니라 89년 7월 건축 허가를 받을 때 제출한 설계 도면과 준공 도면도
다르다.
건축 허가를 받을 때는 건물 전층(15층)에 사각 기둥을 넣겠다고 했지만 사각 기둥을 대폭 줄여 준공 허가를 받았다.
건축 도중 설계 변경을 했다는 뜻이다.
다만 강남구 관계자는 “3층 이상은 도면대로 사각기둥이 설치됐다”고 말했다.
지하 7층~지상 2층은 설계 도면과 준공 도면이 다르고, 지상 2층은 준공 도면과 실제 시공이 다르다는 뜻이다.
두 가지가 겹친 2층의 원형 기둥에서 균열이 발생했다. 이 건물 준공검사는 서울시 주택국에서 맡았다. 당시엔 ‘11층
이상, 연면적 3000평 이상’ 건물의 준공 검사 권한은 서울시에 있었다. 지금은 51층 이상만 서울시가 한다.
도면과 시공이 다른 것과 관련, 서울시 한일기 건축관리팀장은 “어떤 과정을 거쳐 허가가 났는지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남광토건 황대순 경영기획팀 부장은 “30년 가까이 지난 건물이라 당시 사정을 아는 직원이 없다.
당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퇴사 직원들을 접촉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축법에는 원형 기둥이나 사각 기둥을 세우라고 규정하지 않는다.
기둥의 크기와 단면적이 중요하다.
함인선 한양대 건축학부 특임교수는 “기둥의 안전성은 모양이 아니라 단면적과 철근의 배근 상태가 결정한다”며
“기둥의 단면적이 필요한 것보다 좁게 설계됐거나 시공이 부실했을 경우 대종빌딩처럼 기둥에 금이 간다”고 말했다.
함 교수는 “기둥 내부의 철근 간격, 콘크리트 두께가 당초 설계대로 돼 있는지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 한복판 건물이 붕괴 위험 진단을 받으면서 다른 건물의 안전성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13일 대종빌딩 인근 편의점 아르바이트 생인 김소연(22·여) 씨는 “매일 오가면서 보는 멀쩡한 건물이 속으로는 무너질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한 상태였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며 “대종빌딩보다 낡은 건물이 많아 두려운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의 건축물 4채 가운데 한 채는 40년 이상 지난 노후 건축물인 것으로 조사됐다(2015년 기준). 전체 건축물(63만9412동) 가운데 16만 동(25%)이 40년 넘었고, 30년 이상은 25만3705동(39.7%)에 달한다.
대부분이 민간 소유여서 안전관리를 제대로 받지 않는다. 민간 건물은 건물주에게 안전 관리 책임이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공시설물은 지자체가 안전 관리를 해서 덜 위험하지만 민간 노후 건축물은 관리에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털어놨다.
민간 건물 중 15층 이하가 특히 위험하다. 16층 이상 또는 연면적 3만㎡ 이상 건축물은 제1종이나 제2종 시설물로 분류돼 정기 안전점검과 정밀 진단을 받지만 15층 이하는 그렇지 않다. 소유주가 안전 점검을 하는데, 다분히 형식적이다. 대종빌딩은 올해 2월 자체적으로 육안 점검을 해서 그 결과를 구청에 제출했고, 3월 구청이 육안 점검했지만 특이사항을 발견하지 못했다.
함 교수는 “80~90년대 준공된 대표적인 건물이 삼풍백화점”이라며 “당시엔 불법 증축, 부실 시공이 만연했다.
이 건물을 전수 조사해 보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태희·박형수 기자 adonis55@joongang.co.kr
(사진=황진환 기자)
"설계도에는 사각형 기둥, 시공은 원형으로"…부실시공 가능성
입주민들 "이사하면서도 무너질까 불안"
정유승 부구청장은 "2층 중앙기둥 하나가 내력을 전혀 받지 못하는 상태"라며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까지 기둥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보강조치 후 정밀안전진단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청은 해당 건물이 설계도와 다르게 시공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강남구청 박중섭 건축과장은 "2층의 기둥이 사각형으로 설계됐어야 하지만 실제 시공은 원형으로 돼 있다"며 "내력
자체가 20%정도 부족하게 설계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철근도 정상적인 이음상태가 아니고 시멘트와 골재의 조합상태도 좋지 못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날 오전 강남구청은 긴급안전진단을 벌여 대종빌딩을 시설물 안전에 관한 특별법상 안전 관리가 필요한 제3종 시설물로 지정했다.
(사진=황진환 기자)
구청의 퇴거조치로 입주민 대부분은 짐을 챙겨 나갔지만, 아직 이사가 완료되지 못한 사무실은 사무용품 등을 챙겨
해당 건물 8층에서 일하는 이효진(28)씨는 "건물이 무너진다면서 재난본부까지 설치했는데 우리는 문서를 옮기고
최영진(30)씨도 "주변에 급하게 오피스를 구해서 임시로 이동하고 있다"며 "건물이 무너질 거 같은데 이사는 해야겠고 불안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남구청은 입주민을 위해 관내의 공유사무실을 안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7년부터 서울 강남구 삼성동 테헤란로 대종빌딩 15층에 입주한 무역업체 부사장 김형복(61)씨는 12일 오전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
‘13일 0시 부로 건물 전체 사용금지’라는 소식을 들은 것. 빌딩 2층 중앙 기둥에 생긴 심한 균열로 내력(하중을 견디는 힘)이 손상되자 서울 강남구가 내린 결정이다.
15층 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난 김씨는 “보상도 없이 당장 건물에서 나가라고만 하는데, 이곳을 나가면 그간 쌓아온 것이 모두 무너진다”라면서도 “지금 건물이 흔들리는 것 같다”고 불안을 숨기지 않았다.
오후부터 건물은 컴퓨터 등 필수물품을 급히 빼내려는 사람들로 분주했다.
부피가 큰 가구나 개인 물품은 차마 가져갈 엄두도 내지 못했다. 짐을 옮기면서도 혹시나 많은 사람이 내는 진동에
큰일이 발생하지 않을까 노심초사했다.
대종빌딩은 사무실 98곳을 비롯해 수협은행 지점과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선 오피스텔건물이다.
입주자만 100여명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강남구는 현재 정확한 피해 인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기둥 균열은 지난달 26일 새로 입주하는 업체가 2층에서 인테리어공사를 하던 중 발견했다.
이후 이달 8일 건물주가 안전진단업체에 안전점검을 의뢰, 기둥 외피를 제거하던 중 균열이 위층까지 확산됐다.
건물에 있던 사람들은 “큰 소음과 함께 강진이 발생한 듯 건물이 심하게 흔들렸다”고 당시를 기억했다.
신고를 받은 강남구는 11일부터 이틀간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했고, 재난 발생 위험이 높은 제3종 시설물로 지정해
사용금지 조치를 내렸다.
균열 원인은 부실 시공이 유력해 보인다. 설계도 무시했다.
최장식 한양대 건축공학부 교수 등 전문가들은 긴급 점검에서, 사각형인 설계와 달리 기둥이 원형으로 시공된 사실을 확인했다.
건물이 올라갔던 1991년 당시부터 내력이 설계대비 80% 수준에 불과했던 것이다.
철근 결합과 외피에도 결함이 있어 30년 가까이 건물이 유지되며 기둥 내력이 50%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진단됐다.
박중섭 강남구 건축과장은 “시공 당시 시멘트 파동 등 건축업계가 어려운 시절이라 부실로 지어진 것 같다”라며
“기둥 주변에 버팀 지지대를 설치하는 등 보강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행히 위험천만한 상황으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당국의 관리 부실이 큰 화를 부를 뻔했다.
올해 두 차례 이뤄진 안전점검(2월 건물주, 3월 강남구)은 육안으로 이뤄져 균열을 발견하지 못했다.
특히 3월 대종빌딩에 안전등급(A~E) 중 B등급(양호)을 줬던 강남구는 이번에 신고를 받고 실시한 안전점검에선
‘즉각 사용금지’에 해당하는 E등급(불량)을 내렸다.
심지어 강남구는 건물에 문제가 있다는 주민 민원을 지난달 균열 발견 직후 접수했으나, 민간 건물이니 자체 안전점검을 하라는 답변만 내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마디로 안이하고 무책임했던 것이다.
입주자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을 숨기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입주해 해외법인 한국지사 사무실을 운영하던 정창덕(50)씨는 “당장 내일부터 어디서 일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라며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만 100만원에 달하는 곳이 부실 건물이라고는 상상하지도 못했다”고 토로
했다.
입주자들이 이날 주민설명회에서 보상을 요구했으나, 강남구는 민간 소유인데다 재난으로 발생한 문제가 아닌 탓에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강진구 기자 realnine@hankookilbo.com
사진=연합뉴스.
남광토건, 강남 대종빌딩 시공사 부실시공 vs 하자보수시간 끝나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15층짜리 대종빌딩이 붕괴위험에 노출돼 서울시가 긴급조치에 나선 가운데 부실시공 논란과
함께 시공사인 남광토건이 주목받고 있다.
1991년 준공된 해당 건물은 업무시설로 쓰이고 있다.
지하 7층, 지상 15층 규모에 연면적이 1만 4000m²에 달한다. 준공된 지 27년째다.
이 건물은 지난달 말 이상 징후가 발견됐다.
올해 6월 전까지는 관련법상 의무 점검 대상 건물이 아니어서, 사실상 건물주 자율로 육안 수준의 점검에 맡겨온 것
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서울시의 안전 점검 결과, 해당 건물 내부의 중앙 기둥 단면이 20% 이상 부서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둥 안의 철근 등에서 구조적인 문제도 발견됐다.
30년도 안된 건물이 붕괴 위험에 노출되면서 시공사인 남광토건에 세인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남광토건은 1947년 부산에서 설립된 남광토건사다.
1986년 12월 쌍용건설에 편입돼 초고층 빌딩과 오피스텔 등으로 건축 영역을 확장했다. 대종빌딩 준공 연도가 1991년
으로 이 시기와 겹친다.
현재 남광토건 최대주주는 지분 22.39%를 보유한 비상장사 세운건설이다. 봉명철 회장이 1995년 설립한 세운건설은
2012년 이후 남광토건을 비롯해 금광기업, 극동건설 등 중견 건설사를 잇따라 인수하면서 주목받고 있다.
남광토건 측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별도의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잇단 구조조정으로 현재 남광토건에 남아있는 임직원들 중에서 대종빌딩 준공에 참여한 사람은 거의 찾아보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지난 1991년 준공된 대종빌딩의 하자보수 기간인 10년이 끝나 그 후 유지보수 등은 건물주가 알아서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저작권자 © 남도일보,
뉴스보고 붕괴위험 알아"… 강남 대종빌딩 입주민들 '혼란' 컴퓨터 복사기 챙겨 인근 사무실로… 사무실 이전 움직임도" 아침 뉴스를 보고서야 알았어요. 아직까지 시나 구청, 관리사무소로부터 어떤 연락도 받지 못했어요" 12일 오후 12시쯤 찾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 대종빌딩은 붕괴 위험이 있다는 서울시 진단에도 별도 통제없이 사람들이 드나들고 있었다. 1991년 준공된 이 건물에는 중소기업과 법률사무소 등 사무실과 상가 80여곳이 입주해있다. 지상 15층, 지하 7층 연면적 1만4000㎡ 규모다. 서울시는 전날 오후 건물 2층 중앙기둥에 균열이 보인다는 관계자 신고를 받고 긴급점검 한 결과 안전진단이 최하 등급인 E등급으로 추정된다며 입주자를 긴급 퇴거 조치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건물 내부의 중앙 기둥 단면이 20% 이상 부서지고 기둥 안의 철근 등에서 구조적인 문제도 발견됐다. 위험 진단에도 대종빌딩 지하주차장과 엘리베이터는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날 오전 몇몇 시민들이 균열이 발견된 2층 삼성전자 휴대폰 AS 센터를 찾았다가 당황하며 돌아가기도 했다. 2층은 현재 엘리베이터 문 앞에 '출입금지'라고 적힌 종이박스를 펼쳐 만든 가림막이 설치돼 있다. 빌딩에서 일하던 회사원들은 이날 오전부터 분주하게 건물에서 컴퓨터와 복사기 등 짐을 챙기고 있었다. 이들은 퇴거조치 등을 전달받지 못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8층 입주 사무실 직원 천모씨(26)는 "오전에 출근했다가 급히 인근 공유 오피스로 몸만 빠져나왔고 컴퓨터 등 중요 물건들을 챙기러 다시 왔다"며 "일주일전부터 안전등급 조사를 한다는 공문은 붙어있었지만 오늘 아침 퇴거 조치 등 안내는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불안을 호소하며 부동산에 새로운 사무실을 알아보는 업체들도 있다. 이 빌딩 18층에 입주한 한 회사 대표 김모씨(50)는 "오늘 아침 직원들은 모두 퇴근시켰고 대표와 임원급들이 남아 새로운 사무실을 알아보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씨는 "사무실을 옮기려는 업체들이 상당한데 보증금은 제때 받을 수 있을지, 사무실에 해놓은 인테리어 등은 어떻게 보상해줄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입주자들에 따르면 이 건물 사무실은 보증금 3000만원에 월세 300만원 수준이다.
강남구청은 이날 낮12시쯤 해당 건물에 '재난현장 통합지원본부'를 설치했다. 이날 오후 2시에는 인근 건물에서 주민설명회를 연다. 서울시 관계자는 "법적으로 3종 시설물로 분류돼야만 시가 입주자들의 시설물 사용제한, 사용금지, 철거, 주민대피 등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오늘 중으로 해당 건물을 3종 시설물로 지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
지난 12일 붕괴 위험으로 퇴거 조치가 이뤄진 서울 삼성동 대종빌딩에서 중앙
기둥을 감싼 콘크리트가 부서져 철골 구조물이 드러나 있다. 서울시는 11일 오후
신고를 받고 강남구청과 함께 긴급 점검한 뒤 입주자들을 모두 퇴거시키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자 남긴 유족연금 더 받는다..중복지급률 30→40% 추진 (0) | 2018.12.16 |
---|---|
국민연금 개편안, '노후소득 보장' 방점 부족분은 세금으로… (0) | 2018.12.15 |
이재명 결국 재판에..'벌금 100만원'이 운명 가른다 (0) | 2018.12.12 |
1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 논의 시작..산업부 "폐지까지 검토" 2) 에너지바우처 좌담회 (0) | 2018.12.11 |
세계 인권의 날, 文 대통령 " 70주년 축하"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