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한국식 코로나 검사' 채택 안 하는 이유는…" 일본의 진보 매체 아사히 신문이 한국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 체계를 아베 신조(安倍晋三) 행정부가 무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지자체는 독자적으로 '한국식 드라이브스루(Drive-through)' 검사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사히 신문은 25일 '일본이 세계표준인 한국식 코로나19 검사 방식을 채택하지 않는 이유'라는 제목의 특파원 리포트를 지면에 실었다. 신문은 일본이 한국에서 지원을 받은 후 일제강점기의 징용자 문제, 혹은 수출 규제 문제에서 양보해야 할 상황이 벌어질 것을 경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후생노동성 당국자는 한국에서 시행 중인 드라이브스루 방식의 검사에 대해 "정확도가 낮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일본은 지난 7일 긴급사태를 선포한 이후에도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 설치에 대해 완강한 거부 의사를 밝혔다. 특파원은 복수의 한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정부는 일본에 진단키트나, 마스크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다만 아베 정부가 한국의 지원을 받는 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청와대로서도 지금은 조심스럽다"고 전했다. 또 지원을 받은 일본이 감사의 뜻을 표시하지 않을 경우 여론이 악화될 수 있어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일본 지자체는 중앙 정부와 달리 자체적으로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를 세우고 나섰다. 아이치(愛知)현 나고야(名古屋)시, 니가타(新潟)현 니가타시는 이미 드라이브스루 검사를 시작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코로나19 검사 역량을 추켜세웠다. 한국 방역의 가장 큰 역할을 해낸 것은 충분한 코로나19 검사 역량이었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코로나19 검사건은 총 95만건으로 일본의 5배 수준이다. 아사히 신문은 한국 정부는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확산으로 38명이 사망한 이후 미승인 의료기기라도 일시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특별한 제도를 구축했다고 전했다. 또 1월 중국의 바이러스 확산이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자 한국으로 퍼질 것을 우려해 민간기업과 협력해 충분한 양의 진단키트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검사 체계는 이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찬사를 받았고, 이후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서구 국가들의 표준 모델이 됐다고도 했다. 한국 정부는 4월 중순까지 20개국 이상의 정상과 통화를 했다고 전했다. 아사히 신문은 이어 한국 정부는 진단키트 수출로 외교적 존재감을 향상시켰다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자 현미경 영상 [미 NIH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코로나19를 대하는 한국과 일본…왜 다른가 보니
지난달 30일 대한민국의 코로나19 확진자 지역 발생자수가 0를 기록했다는 뉴스를 접했다.
앞으로도 코로나19 청정국가가 될 때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나 개인위생 등에 주의를 기울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세계적으로 맹위를 떨치고 있는 코로나19가 처음 창궐해 많은 피해를 입은 중국, 그 뒤를 이었던 한국은 이제 그 지루한 터널이 끝에 와 있는 듯하다. 정작 코로나 청정국가인양 자신만만해 하며 코로나19 대책에 손 놓고 있는듯하다가 악몽의 터널 입구에 들어선 일본 상황을 보며 느낀 한일 양국의 코로나19를 대하는 접근방식 차이를 정리해본다.
영어 ‘Study’는 한국어로 ‘공부(工夫)’고 일본어는 ‘뱅쿄(勉强)’다. 한국어 사전에서 공부라는 단어의 뜻을 찾아보면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힘이지만 일본어사전을 찾아보면 이것저것을 궁리해서 좋은 방법을 얻으려 노력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공부라는 단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뱅쿄는 무리를 해서라도 노력하며 힘쓰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공부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됐는지, 또 공부를 Study로 표기하게 됐는지는 모르겠으나
아마도 공부라는 단어는 일본식 한자에서 유래한 표현이 아닌가 싶다.
코로나19에 대처하는 모습을 보면서 뱅쿄, 공부라는 단어와 국가적 특징, 혹은 국민성을 생각해 보며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했다.
우리는 역사상 처음으로 경험하는 코로나19에 대응할 때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축적된 지식이 없으니 적절하고 충분한 대응을 할 수 없었다. 이제껏 경험해본 기존 바이러스대책에 준해서 대응했다.
코로나19 특징을 하나하나 배워가며 그때그때 대응책을 궁리하면서 퇴치에 임했다.
메르스 사태 때 경험도 커다란 힘이 됐겠지만 코로나19 발생상황과 확진자 위치, 그리고 확진자 이동경로, 확진자와
밀접접촉자 판별, 마스크 부족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공적마스크 배부시스템을개발하는 등 여러 분야에 있어서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공개를 실시했다.
코로나19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가 설치된 서울 송파구 잠실운동장 주경기장 앞에서
의료진이 차량 탑승자를 진료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위한 코로나19 검사를 확대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의료진의 감염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
세계 최초로 드라이브 스루, 워크 스루 검사방식을 고안해내 혁혁한 성과를 거뒀다.
그야말로 일본어 공부라는 뜻대로 이것저것 궁리해서 좋은 방법을 얻으려 노력했던 결과가 오늘의 성과를 가져왔다고 생각한다.
일본 코로나19 대처방식은 그야말로 뱅쿄에 가깝지 않았나 싶다.
정부와 의료계, 정보기술(IT) 업계 등 각계각층의 지혜를 모아 코로나19와 싸운다기보다는 오로지 국민의 희생을
강요하고 있는 듯 보인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발생초기 위험도를 두고 일본인은 중국인이나 외국인과 달리 청결한 문화를 가지고 있어서 감염에 노출될 기회가 적다며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과소평가했다. 도쿄올림픽을 목전에 두고 있어 혹여 올림픽개최 연기나 개최취소를 우려해 코로나19 확산이라는 불편한 진실을 애써 외면했다.
코로나19는 소리 소문 없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1일 오전 10시 30분 기준으로 유람선을 포함한 확진자수는 1만5천17명이며 사망자는 468명에 이른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 비율이 60%를 넘어선 상태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는 뾰족한 대책은 없다.
오로지 전국민이 감염돼 항체를 갖기를 기다려야하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그나마 코로나19 감염의심자를 대상으로 검사하고 확진자를 격리수용해 확진자가 주위에 바이러스를 퍼뜨리지
못하도록 격리하는 것이 유일한 대책일 텐데 일본은 아직도 확진판정 검사를 확대하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코로나19 발생초기 일본 후생성은 코로나19 전염성을 과소평가했다.
환자수가 급속도로 확산할 것을 고려치 않았기에 산하 국립감염병연구소와 보건소에서 충분히 대응가능 하다고 판단
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코로나19 검사로 얻은 각종 자료를 민간과 공유하지 않고 감염병연구소 연구에 독점 활용할 목적으로 민간 검사기관을 활용하지 않았다는 비난도 쏟아졌다.
검사확대가 지연되고 있는 또 하나의 이유는 후생성 의료기관(의사면허를 가진 공무원)과 일본의사회가 검사를 확대
하면 많은 사람이 검사를 위해 병원으로 몰려 검사과정에서 의료진의 코로나19 감염이 확대되고 결국에는 의료붕괴에 이른다는 논리로 코로나19 검사 확대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가능한 코로나19 감염 의심이 가는 모든 사람을 검사해 확진자를 분리하고 격리해 감염확대를 방지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달성해 나가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즉 의료진 감염방지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
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순리다.
일본은 이와는 정반대로 의료진 감염을 막기 위해 코로나19 검사를 포기하는, 목표와 과정이 뒤바뀌는 말도 안 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가 확진검사를 받으려 했지만 병원 50여 군데에서 거부당한 안타까운 일이 일어나고,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자택에서 대기하던 환자가 급격한 병세악화로 숨을 거뒀다는 이야기며, 길을 가던 사람이
갑자기 쓰러져 사망했고 이를 병원으로 옮긴 후에 검사를 해보니 코로나19 감염자였다는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보도
되고 있는 것이 일본의 현주소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가 급속하게 퍼져 나가 더 이상 손을 쓸 수 없는 최악의 상황에 처하자 긴급사태선언을 실시했다. 긴급사태선언은 총리가 국가적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이를 근거로 광역자치단체장이 각종 사업체 등에 휴업을 권고할 수 있으며 민간시설을 수용해 병원시설로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제도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달 16일 코로나19 대책 본부 회의를 열고 있다. 이날 일본
정부는 긴급사태 선언 발령 지역을 기존 7개에서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사진=뉴시스)
모든 국민에게 외출을 자숙하라고 강요하고 있다.
자영업자는 휴업을 하고 기업은 재택근무를 강요당하고 있어 경제가 마비됐다.
긴급사태를 선언할 당시 2주간 실시한 후 상황을 보고 연장여부를 판단하겠다고 했지만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추가로 한 달간 계속하겠다고 발표, 긴급사태는 5월말까지 이어지게 됐다.
일본 정부의 코로나19 대책을 평가하자면 그야말로 국민에게 ‘무리를 해서라도 노력하며 힘쓰는’ 뱅쿄를 강요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게 없다.
태평양전쟁 때도 국민 의사와 관계없이 권력을 쥐고 있던 일부세력이 전쟁을 일으켰다.
이들의 폭주에 아무런 저항없이 300만명의 젊은이가 비참하게 목숨을 버려야 했다는 사실을 되새겨볼 때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현실로 다가온다.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는 말이 새삼 떠오른다.
코로나19 지역발생자 제로. 참 오랜만에 들어보는 반가운 소식이다.
그러나 그리 간단히 물러갈 코로나19가 아니고보면 앞으로도 전 국민이 코로나19 항체를 갖는 그날까지 기나긴 싸움이 예상된다. 지금처럼 정부와 국민이 한마음 한뜻이 되어 싸워나간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모 신문사기자는 ‘한국인이라서 미안합니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썼다고 한다.
그는 왜 미안했을까.
나는 제레미 다이아몬드가 그의 저서 총균쇠에서 이야기한 인류의 운명을 바꾼 세 가지 요소 총, 균, 쇠 가운데 눈에
보이지 않는 적, 균(코로나19)과의 싸움에서 세계 최초로 승리를 거둔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게 참으로 자랑스럽다.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염종순 이코퍼레이션닷제이피 대표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전염병 전문가 "코로나19 종식 안되면 내년 도쿄올림픽 어려워
(서울=연합뉴스) 장현구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완전히 진정되지 않는다면 내년 도쿄하계올림픽이 정상적으로 열리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는 전염병 전문가들이 늘고 있다.
2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일본 게이오 의대 초빙교수이자 세계보건기구(WHO) 자문 패널인 스가야 노리오 교수는 "일본이 내년 여름까지 코로나19 사태를 종식할 수 있지만, 미국, 아프리카대륙, 브라질과 같은 지역은 그렇게 하지
못할 수도 있다"며 "이는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들에게 '기울어진 운동장'을 야기하고, 올림픽을 개최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쇼와대학의 전염병 초빙교수인 니키 요시토도 북반구와 남반구를 오가는 전염병을 제압하려면 최소 2년이 걸린다며
내년 올림픽을 강행한다면 관중의 경기장 입장을 막아야 하고, 선수들은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올림픽 개막 최소
한 달 전에는 일본에 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 200개 이상의 나라에서 온 올림픽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코로나19 검사와 격리는 올림픽 수송, 숙박 등 큰 문제를 동반할 수도 있다.
두 전문가는 코로나19 백신이 적시에 개발된다더라도 가난한 나라까지 도달하는 데엔 최소 3년이 걸리며 안전 효능을 검증하는데에도 1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에든버러대학 글로벌 보건학과장인 데비 스리다 교수도 지난달 코로나19 백신 상용화가 도쿄올림픽을 좌우할 것이라며 백신 없는 올림픽은 비현실적이라고 예상했다.
일본 정부와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는 코로나19 여파로 내년 7월 23일로 1년 연기된 도쿄올림픽이 내년에도 열리지
않는다면, 재연기 없이 대회를 취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쿄=AP/뉴시스]27일(현지시간) 2020.04.27. |
|
무디스 애널리틱스 "亞서 일본·싱가포르가 코로나로 최대 타격"
, 추가 확산 시 더 강한 봉쇄 우려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무디스 애널리틱스 이코노미스트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해 아시아 국가 중 최악의 타격을 입을 국가로 일본과 싱가포르를 꼽았다.
26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아시아 태평양 수석 이코노미스트 스티브 코크런은 CNBC와
인터뷰에서 이처럼 밝혔다.
두 나라 경제는 이미 최근 몇달 동안 위축돼왔다. 이런 상황에 코로나19로 엄격한 봉쇄 조치가 가해지자 문제가 악화
했다는 게 그의 시각이다.
그는 "일본은 이미 경기침체에 빠져있었다"며 "싱가포르의 1분기는 매우 약했다. 봉쇄 조치를 고려할 때 싱가포르의
2분기는 더 어려우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코로나19가 더 확산하면, 일본의 경우 현재 하고 있는 일종의 가벼운 봉쇄(soft lockdown)보다는 더 실질적인 봉쇄 조치가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본과 싱가포르 경제 상황의 악화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힘든 2분기를 맞게 될 이유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최근 몇주 동안 확산이 통제됐다고 보이는 중국과 달리 일본, 싱가포르에서는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집계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오후 2시7분 현재 일본의 누적 확진자는 1만3441명이다.
싱가포르는 1만3624명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일본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5.2%로 제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코로나19와 일본 간사이(關西) 경제
[최장성 오사카 무역관 관장] 당초 올해 도쿄올림픽에 이어 2021년 월드마스터스 대회, 2025년 오사카 만국박람회,
인공섬 유메시마 복합형 카지노 리조트 개발 계획 등 순풍에 돛단 듯 약진하던 일본 간사이(關西) 경제에도 급제동이
걸리고 있다.
일본 경제 도약의 원년인 1955년만 해도 역내총생산(GRDP) 규모에서 도쿄를 중심으로 한 칸토(關東)권이 30.4%일
때 간사이권은 17.4%였지만 이후 도쿄 쏠림 현상으로 2016년기준 도쿄는 40.8%에 육박하고 있는 반면 간사이는 1
5.3%대였다.
간사이는 2013년 엔고 등으로 인한 중국 등지로부터의 관광객의 대규모 유입과 전통적으로 발달한 의료산업의 부흥을 위해 오사카, 교토, 고베를 중심으로 한 지역을 의료바이오 국가전략특구로 지정하며 재도약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역사적으로 보면 과거 한반도와 중국 대륙 등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일본땅으로 유입되었는데 이들을 도래인(渡來人)
이라고 부른다.
특히 백제, 가야, 고구려는 물론 신라에서도 많은 인구가 도래했으며 이중 많은 사람들이 간사이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고 전해진다.
지금도 약 32만 명으로 추산되는 재일교포 중 약 15만 명이 오사카, 교토, 고베 등을 중심으로 하는 간사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본 측 통계에 의하면 한국에 투자진출한 일본 기업수는 약 1000개사(산업부 INSC 투자신고건수로는 약 3000건)인데 이중 약 200개사(산업부 INSC 투자신고건수로는 약 600건)가 간사이 출신이다. 우리 기업중에는 포스코, 현대, 효성,
GS, 한샘퍼시스, 대웅제약 등과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60여 개사가 간사이 지역에 진출해 있다.
보통 일본 사회를 일컬어 잘 변하지 않는 사회라고 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있을 경우 어느 누구보다도 변화가 빠르다는 것도 일본사회의 특징 중 하나다.
변화의 바람은 새로운 분야에서 신시장을 창출하고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또 다른 시장을 만들어 낼 공산이 크다.
14세기 중기 인류 대재앙으로 불리는 페스트는 중세봉건제도를 무너뜨리고 르네상스 시대를 열게 하는 부흥의 촉진제 역할을 했듯이 이번 사태가 진정되면 새로운 분야가 대두되고 방식도 구조적으로 변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첫째, 일본기업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에 크게 의존해왔던 글로벌 SCM(Supply Chain Management) 전략에
대해 재검토를 할 것이다. 지난 8일부터 시행된 긴급경제대책에도 중국 의존도가 높은 분야의 생산거점의 국내 복귀
또는 아세안 등으로의 다원화를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와 관련, 한일 간의 산업협력구조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 이후 많은 일본 기업들이 한국을 제조기지로 인식해 왔지만 반도체산업 등을 중심으로 새로운 길을 모색 중이다.
특히 작년 7월 일본의 대한수출규제강화로 가속이 붙고 있는 와중에 이번 사태로 경쟁 관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부품소재 분야 외에 AI, IoT, 빅데이터를 비롯한 5G분야에서 진검승부가 예상된다.
둘째, 아날로그성향이 강한 일본의 사회풍토가 빠르게 디지털로 변모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기업의 19.1%(2019.5월 총무성 발표)가 텔레워크를 도입해 시행 중인데 이번 사태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학교의 온라인 수업 역시 빠르게 정비, 확산되고 있다.
일례로 코트라 오사카무역관은 3월 말 개최 예정이었던 한국 구직자들의 일본기업 채용지원상담회를 코로나19로 인해 연기하려 했지만 참가 예정 일본기업의 요청으로 화상으로 면접을 지원했다.
또 일본 글로벌기업과 우리 중소기업과의 부품소재 화상상담도 당초 예상과는 달리 많은 일본기업들이 참여의사를
밝히고 있다.
끝으로 시장에서는 브랜드 경쟁력이 있고 안심·안전·안도 관련 이노베이션 제품이 주목을 받게 될 것이다.
이에 의료바이오 분야의 약진이 예상된다. 2002년 한일월드컵 공동 개최 이후 일본 소비자들의 한국에 대한 인식이
크게 개선되며 한류 열풍이 분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번 사태를 겪으며 우리 정부와 국민이 보여주고 있는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한 신속한 검사와 신선한 드라이브
쓰루(drive through) 발상과 같은 사례가 일본에도 소개되며 일본 소비자들의 대한 인식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향후 이와 관련된 한국산 의료바이오 제품의 일본 시장 진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요즘 BCAC(Before Corona After Corona)라는 말이 유행이라고 한다. 코로나19가 진정되면 간사이 경제는 과연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가.
간사이 사람들은 지역경제 성장의 징검다리로 오사카都구상과 오사카만국박람회 등을 최대 현안으로 꼽고 있다
. 우리는 산업협력, 재일교포 등 간사이와의 협력을 확대할 많은 재료들을 갖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요동치고 있는 간사이 경제에서 한일 간의 협력의 폭과 깊이가 더 확대되길 기대한다.
중국 코로나로 세계에서 ‘왕따’ 한국의 선택은?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중국 노동절 연휴 시작 첫날인 지난 1일 코로나19 사태로 문을 닫았다가 재개장한
베이징 자금성 앞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시민들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며 줄을 서서
입장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 코로나로 세계에서 ‘왕따’ 한국의 선택은?
코로나19가 지구촌을 휩쓸자 전세계적으로 반중 바이러스(?)가 창궐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의 책임론은 부각하며 '중국 때리기'(China bashing)에 나섰고, 그동안 중립을 지키던 유럽도 중국에 투명성을 강화하라며 동참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이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에 빠지자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지칭하며 대중 공격의 선봉에 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열린 코로나19 태스크포스 일일 브리핑에
참석하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특히 눈길이 가는 것은 그동안 미중 패권싸움에서 중립을 지켜왔던 유럽도 중국에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독일 일간지 '빌트(Bild)'는 최근 “코로나19는 중국의 최대 수출상품”이라며 세계 경제에 끼친 막대한 손실을 어떻게
배상할 것인지 시진핑 주석에게 따져 물었다.
율리안 라이헬트 빌트 편집장은 시 주석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형식의 기사를 통해 “당신과 당신 정부, 과학자들은
코로나19가 사람 간 전염이 된다는 사실을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이를 세상에 알리지 않았다.
코로나가 조만간 당신의 정치적 파멸을 초래할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빌트지 갈무리
영국과 프랑스 정부도 코로나19가 어떻게 발병했고 사전에 막을 수 없었는지 의구심을 제기하며 중국 책임론에 동참
하고 있다.
도미니크 라브 영국 외무장관은 "우리는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고, 더 빨리 멈출 수는 없었는지 등의 질문을 중국에 해야 한다"며 중국에 날을 세웠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분명히 우리가 모르는 어떤 일이 있었다"며 중국을 비판했다.
이처럼 유럽에서 반중정서가 팽배해짐에 따라 그동안 유럽에 공을 들여온 화웨이도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게 됐다.
유럽 국가들이 5세대(5G) 이동통신 분야에서 중국과 협력 수준을 낮출 것으로 예상되서다.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영국이 5G 구축 사업에서 화웨이와 손잡기로 한 결정을 번복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영국에서 코로나19가 창궐해 보리스 존슨 총리가 감염돼 중태에 빠진 것은 물론 엄청난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했다.
24일 현재 영국의 확진자와 사망자는 각각 13만8078명과 1만8738명이다.
정작 발원지인 중국보다 훨씬 많다.
중국은 확진자 8만 명에, 사망자 4000명 수준이다.
코로나19로 입원했던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12일 런던 세인트토머스
병원에서 퇴원해 총리관저로 돌아와 야위고 창백한 모습으로 TV연설을 하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유럽이 완전히 반중으로 돌아선 것이다. 그동안 중국은 미중 패권전쟁 과정에서 유럽을 중국의 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엄청난 공을 들였다.
공든 탑이 한순간에 무너진 셈이다.
유럽뿐 아니라 최근 중국과 관계개선에 심혈을 기울였던 일본도 중국과 거리 두기에 나섰다.
일본 정부는 지난 7일 "세계경제는 2차대전 이후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며 긴급대책을 내놨다. 주요 내용이 '공급망
재구축'이다.
공급망 재구축의 주요 골자는 한 나라, 즉 중국 의존도가 높은 제품·소재의 생산지를 일본으로 옮길 경우, 비용의
절반(대기업) 또는 3분의 2(중소기업)를 정부가 부담한다는 것이다.
즉 기업에게 보조금을 줄 테니 중국에서 철수하라는 것이다.
반중은 아니지만 중국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겠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할까. 한국도 대중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것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한국 경제는 구조적으로 중국과 크게 얽혀있다.
한국 수출품의 26%가 중국으로 간다. 또 중국은 우리에게 가장 큰 시장이다.
이미 한국 경제는 중국과 커플링(동조화)돼 있다.
인류사는 이제 코로나 전과 후로 시대구분이 될 것이다. 코로나19는 세계화 시대에 처음 맞는 ‘팬데믹’으로 세계질서를 크게 바꿔놓을 것이기 때문이다.
세계사적 대전환기에 한국은 기존대로 중국과 커플링을 유지해야 할까?
아니면 디커플링을 추구해야 할까?
'쿼바디스 코레아'(Quo Vadis Corea)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지난달 28일 가족 4명이 모두 마스크를 쓴 채 오토바이 한 대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자카르타에선 코로나 다음달 중순까지 이동 제한령이 지속된다. 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b80ce87d-d7bf-4fc7-b89f-293123250ee5.jpg)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지난달 28일 가족 4명이 모두 마스크를 쓴 채
오토바이 한 대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자카르타에선 코로나 다음달 중순까지
이동 제한령이 지속된다.
AP=연합뉴스
인구 | 확진 | 사망 | 검사 | GDP(달러) | 1인당 GDP | |
아세안 전체 | 6억5430만 | 4만7098 | 1033 | 102만7566 | 3조1117억 | 4755 |
인도네시아 | 2억6698만 | 1만 780 | 250 | 10만7943 | 1조1117억 | 4163 |
태국 | 6791만 | 2966 | 54 | 17만8083 | 5291억 | 7791 |
말레이시아 | 3280만 | 6176 | 103 | 18만4213 | 3653억 | 1만1136 |
싱가포르 | 567만 | 1만7548 | 16 | 14만3919 | 3628억 | 6만3987 |
필리핀 | 1억 830만 | 8928 | 603 | 11만5812 | 3568억 | 3294 |
베트남 | 9549만 | 270 | 0 | 26만1004 | 2616억 | 2739 |
미얀마 | 5301만 | 151 | 6 | 8281 | 659억 | 1244 |
캄보디아 | 1649만 | 122 | 0 | 1만2222 | 267억 | 1620 |
라오스 | 716만 | 19 | 0 | 2165 | 191억 | 2670 |
브루나이 | 45만 | 138 | 1 | 1만3924 | 124억 | 2만7871 |
[출처: 중앙일보]
동남아 코로나 전쟁···방역외교의 대응과 열쇠
코로나 아니었음 연휴 최대 방문지
열악한 의료 환경 속 필사 방역
베트남, 국내외 모두 봉쇄해 막아
태국, 전통설 송끄란 행사 포기까지
싱가포르, 열악 이주노동자에 확산
인도네시아 검사부족에 의료 한계
필리핀도 의사·병상 모두 부족 상황
방역지원으로 '情'의 외교 보여줘야
동남아 코로나 전쟁···中 국경 맞댄 베트남이 살아남은 비결
한국과 동남아시아는 지리적으로 가까워 인적·경제적·문화적 교류가 많다.
한국인 최고 인기 관광지 동남아 텅 비어
이에 따라 동남아는 주요 산업인 관광의 중단으로 경제가 불안한 상태다.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 지난달 24일 마스크 사용을 권장하는 벽보가 붙어있는 옆으로 어린이가 마스크를 쓴 채 지나고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e428ea12-6ec4-46ec-b043-2b5c12329d16.jpg)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 지난달 24일 마스크 사용을 권장하는 벽보가 붙어있는 옆으로 어린이가 마스크를 쓴 채 지나고 있다.
EPA=연합뉴스
중국 등 외국에 빗장 걸고 국내도 철저 통제
코로나19가 다량 발생했던 중국과 1400㎞에 걸쳐 국경을 맞댄 베트남은 나라의 문을 닫고 사람들의 움직임을 막는 방법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해왔다.
![베트남에서 전국적인 이동 제한령이 풀린 지 나흘 뒤인 지난달 27일 수도 하노이의 쌀국수집에서 사람들이 식사를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15c86cb6-7168-46d9-9b13-386c5c653a85.jpg)
베트남에서 전국적인 이동 제한령이 풀린 지 나흘 뒤인 지난달 27일 수도 하노이의 쌀국수집에서 사람들이 식사를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베트남, 사회격리 23일 만에 동남아 첫 완화
베트남은 2018~19년 연속으로 7% 이상의 경제성장을 이뤘는데, 베트남 경제정책연구소는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배트남의 이동 제한령이 해제된 23일 수도 하노이에서 주민이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는 공산당 선전 입간판 앞을 지나고 있다. 이런 종류의 공산당 선전 입간판은 베트남 전쟁 당시 많이 보였다가 서서히 줄었는데,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다시 등장하고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68bcb69e-b121-448d-a376-822fa43e4d08.jpg)
배트남의 이동 제한령이 해제된 23일 수도 하노이에서 주민이 마스크 착용을 권장
하는 공산당 선전 입간판 앞을 지나고 있다. 이런 종류의 공산당 선전 입간판은
베트남 전쟁 당시 많이 보였다가 서서히 줄었는데, 코로나19가 유행하면서 다시
등장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베트남 동남아 최다 검사에 건물 통째 봉쇄도
베트남은 접촉자나 해외 입국자는 무증상자라도 철저하게 격리하는 것은 물론 확진자가 나올 경우 건물 전체를 봉쇄
![태국 수도 방콩에서 지난 1일 불교 승려들이 주민들에게 무료 식료품을 나눠주고 있다. 불교 국가인 태국의 사찰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고통 받는 주민을 위해 주민들에게 식료품과 일상 용품을 나눠주고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22abdb49-a861-43ae-8fcd-6df4f651a27d.jpg)
태국 수도 방콩에서 지난 1일 불교 승려들이 주민들에게 무료 식료품을 나눠주고 있다. 불교 국가인 태국의 사찰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고통 받는 주민을 위해 주민들에게
식료품과 일상 용품을 나눠주고 있다.
EPA=연합뉴스
태국, 전통 설인 송끄란까지 중지
이에 따라 지난 3월 26일 전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해 주민의 외출과 기업의 활동 자제를 요청하고 지역 경계를 넘는 이동을 막았으며 모임도 열지 못하게 했다.
4월 13~15일 태국 고유의 설날인 송끄란의 행사도 금지했다.
![태국 수도 방콕에서 지난달 28일 주민들이 오토바이를 개조한 전통 교통수단인 톡톡에 신선 식품을 실어 나르고 있다. 태국은 코로나19확산으로 전국적인 국가비상사태가 선언된 상태다. 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76950b53-d1ec-4adb-a784-474378836438.jpg)
태국 수도 방콕에서 지난달 28일 주민들이 오토바이를 개조한 전통 교통수단인
톡톡에 신선 식품을 실어 나르고 있다. 태국은 코로나19확산으로 전국적인 국가
비상사태가 선언된 상태다.
AP=연합뉴스
태국 노동자 3800만 중 1000만 실직 위기
태국은 2014년 쿠데타를 일으켰던 군부 세력이 민간인으로 변신해 정치를 좌우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이주 노동자들이 기거하는 벌집 모양의 기숙사. 인구 밀도가 높아 코로나19에 취약하다. 싱가포르 코로나19 확진자의 95%가 이누조동자다.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7a8a809a-9560-4fb9-a961-ab0723fc3cf0.jpg)
싱가포르의 이주 노동자들이 기거하는 벌집 모양의 기숙사. 인구 밀도가 높아 코로나
19에 취약하다. 싱가포르 코로나19 확진자의 95%가 이누조동자다.
로이터=연합뉴스
싱가포르, 확진자 95%가 이주노동자
현지 스트레이츠 타임스 등에 따르면 이주 노동자들이 빽빽하게 거주하던 열악한 기숙사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하면서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다.
![지난달 28일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부 수라바야에서 경찰이 오토바이로 통근하는 시민들을 상대로 신분증 검사를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d050a852-0b2b-4d47-a8a1-55bf28930ac8.jpg)
지난달 28일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부 수라바야에서 경찰이 오토바이로 통근하는
시민들을 상대로 신분증 검사를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라마단 맞아 비상 걸린 대국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그간의 방역 성과가 썩 좋지 않은 게 사실이다.
![라마단이 시작된 지난달 28일 인도네시아 동부 아체에서 무슬림(이슬람 신자)들이 집단 예배를 보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라마단 기간 동안 주민들의 귀성을 금지하는 등 확산 저지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1c1d1a32-5400-478f-8e40-a0872a93072a.jpg)
라마단이 시작된 지난달 28일 인도네시아 동부 아체에서 무슬림(이슬람 신자)들이 집단 예배를 보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라마단 기간 동안 주민들의 귀성을 금지하는 등
확산 저지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AP=연합뉴스
필리핀, 동남아에서 사망자 가장 많아
![지난달 30일 필리핀의 케손시티에서 주민들(오른쪽)들이 정부의 코로나19 현금 지원을 받기 위해 공무원과 상담하고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f32b9c0c-ba24-4b4b-96e9-c01a274a28af.jpg)
지난달 30일 필리핀의 케손시티에서 주민들(오른쪽)들이 정부의 코로나19 현금 지원을 받기 위해 공무원과 상담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말레이시아의 수도 콸라룸푸르의 한 시장에서 지난달 29일 확진자가 나오자 상인들이 물건을 치우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선 지난 3월 18일 전국적인 이동 제한령이 내려져 있다. AP=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34849327-c3a9-45d5-83d5-88888943bdc0.jpg)
말레이시아의 수도 콸라룸푸르의 한 시장에서 지난달 29일 확진자가 나오자 상인들이 물건을 치우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선 지난 3월 18일 전국적인 이동 제한령이
내려져 있다.
AP=연합뉴스
말레이시아, 적극적인 검사로 난관 돌파 의지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 가톨릭 사제들이 코로나19로 숨진 희생자를 찾아가고 있다. 감염을 막기 위해 마스크와 비닐로 얼굴을 감싸고 손에도 장갑을 끼고 있다. 코로나19 환자나 희생자를 찾는 일은 위험한 일이지만 이 사제들은 자원해서 손을 내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1bed87da-8767-419b-9a5d-828a7e826561.jpg)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 가톨릭 사제들이 코로나19로 숨진 희생자를 찾아가고 있다.
감염을 막기 위해 마스크와 비닐로 얼굴을 감싸고 손에도 장갑을 끼고 있다. 코로나19
환자나 희생자를 찾는 일은 위험한 일이지만 이 사제들은 자원해서 손을 내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동남아 방역외교는 신남방정책의 열쇠
채인택 국제전문기자 ciimccp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황금연휴' 한·중·일, 자국 내 여행 급증에 표정 제각각
코로나19에도 황금연휴 맞아 여행객 급증..
한국 방역 만전·중국 소비 진작..일본 여행 자제
한국을 비롯, 일본과 중국에서도 억눌렸던 여행심리가 고개를 들고 있다. 연초부터 지속된 자가격리와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피로감이 이른바 '황금연휴'와 만나 코로나19(COVID-19) 공포를 눌렀다.
여행도 좋지만 방역에 방점
![정부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제한적으로 완화한 가운데 황금연휴를 하루 앞둔 29일 오전 제주국제공항 1층 국내선 도착장이 관광객들의 발길로 붐비고 있다. /사진=뉴시스](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005/03/moneytoday/20200503050052471aott.jpg)
올해는 기존 황금연휴와 다른 분위기가 감지된다. 평소 연휴 때마다 일본이나 중국·동남아로 향하는 해외여행객들로
공항이 북적였던 반면 올해는 이런 장면을 찾아볼 수 없다.
지난 2월부터 확산한 코로나 사태가 팬데믹(전 세계적 대유행)에 이르며 해외여행 대신 국내여행을 택하고 있다.
실제 국내 여행지들은 이미 여행객들로 붐비고 있다. 지난달 말 입도객이 1만명 초반대로 떨어진 제주도가 대표적이다. 당초 연휴 기간 18만명(일 평균 3만명)이 찾을 것으로 예상됐던 제주도는 지난 30일 첫 날에만 4만6000명이 찾으면서
2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강원도 고성에 위치한 켄싱턴리조트 설악밸리와 설악비치는 연휴 객실예약이일찌감치 동났다.
한화리조트 역시 해운대와 설악 쏘라노와 거제 벨버디어도 만실이다.
일본, 여행오지 마세요
![지난달 28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의 봉쇄가 해제되면서 철도역에 모인 승객들./사진=AFP](https://t1.daumcdn.net/news/202005/03/moneytoday/20200503050053978tpzh.jpg)
중국 당국은 코로나19가 소강세에 접어들었다는 점에서 연휴 여행을 말리기보단 방역 시험대인 동시에 소비진작 기회로 여기는 분위기다.
각 지방정부마다 패키지 관광코스를 선보이고 있고 호텔 등 관광업계도 고객맞이에 분주하다.
마스크 착용 등 상시 방역 의무를 지키고 관광지들도 인원 수 제한 등 조치를 취하되 소비 활성화에도 방점을 둔다는 것이다.
신화통신은 "상시 방역이란 여행을 가지 말아야 할지를 고민하는게 아닌 어떻게 여행할 지에 달려있는 것"이라며
"관광객에 대해서는 안전 반경을 가늠하고 비대면 우선, 마스크 필수 등 비상 규정을 고수해달라"고 강조했다
지난 13일 일본 도쿄 아사쿠사의 관광지인 절 '센소지'가 텅 비어있다.
/사진=뉴시스
반면 일본의 '골든위크'는 '공포위크'로 바뀌었다.
한·중·일 3국 중 가장 늦게 확진자가 증가한 일본은 여전히 코로나19 향방이 오리무중이다.
연일 수백명의 확진자가 추가 발생하고 있어 전국에 긴급사태를 선언한 상황이지만 연휴를 맞아 휴가를 즐기는 움직임이 늘고있다.
골든위크 기간 중 항공권 예약만 6만명에 달하는 오키나와는 공포에 빠졌다.
다마키 데니 오키나와 도지사는 "이번 골든위크에 오는 관광객이 6만명 남짓"이라며 "유감스럽지만 오키나와는
(관광객에) 충분한 대접을 할 수 없다"며 여행자제를 호소했다.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http://images.sportskhan.net/article/2020/05/01/l_2020050102000048600007571.jpg)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2019 한국인 관광객의 아세안 방문 현황[출처:2019 한-아세안 통계집]](https://file.mk.co.kr/meet/neds/2020/05/image_readtop_2020_449384_15882885904183875.jpg)
2019 한국인 관광객의 아세안 방문 현황[출처:2019 한-아세안 통계집]
지난해 아세안 찾은 한국 관광객 1000만명 돌파…일본 방문객의 2배
1일 한-아세안센터가 11번째 발간한 `2019년 한-아세안 통계집`에 따르면, 지난해 아세안 지역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은 모두 1005만3000명이다.
국가별로는 베트남이 429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태국 188만8000명, 필리핀 178만3000명, 싱가포르 64만6000명, 말레이시아 50만8000명 등의 순이다.
같은 기간 한국인 558만5000명이 일본을, 419만4000명이 중국을 각각 방문했다.
세계은행 `세계개발지표`가 분석한 연령대별 아세안 회원국의 인구는 15∼64세가 63∼76%로 분포돼 있다. 이는 발전지수를 나타내거나 현지 시장 진출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지난해 아세안 총 GDP(국내총생산)는 3조1120억 달러(약 3816조5568억원)로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정했다.
지난해 한국의 주요 무역파트너는 아세안이 15.6%로, 중국(24.6%)에 이어 두 번째고, 미국(13.7%)과 유럽연합(EU·10.1%), 일본(7.8%)을 제쳤다.
한국의 해외투자 대상지로 아세안은 미국(147억6800만달러), EU(135억5500만달러)에 이어 3번째이다.
이혁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2017년 한국 정부가 신남방정책을 발표하고, 2019년 11월 부산에서 3번째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리면서 한국과 아세안은 협력 동반자 정신을 바탕으로 하나의 공동체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이번 통계는 한국과 아세안이 서로에게 불가결한 관계, 상호보완적인 경제구조와 지리적 근접성, 문화적·역사적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검역 관계자가 입국자를 안내를 하고 있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5/03/b36bc5cf-1b8e-4f9a-8ff5-348466c7659e.jpg)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검역 관계자가 입국자를 안내를 하고 있다.
뉴스1
[출처: 중앙일보]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불카드? 신용카드?…'재난지원금' 어떻게 받는게 좋을까 (0) | 2020.05.05 |
---|---|
최대 100만원 긴급재난지원금 5부제 조회·신청..8월말까지 못쓰면 환수 (0) | 2020.05.04 |
낮은 확진자 수에 안심했나?.. 황금연휴에 '사회적 거리두기' 실종 (0) | 2020.05.02 |
김정은 20일만에 공개활동.. '건강이상설' 사실무근 (0) | 2020.05.02 |
아리랑3A호가 촬영한 코로나 이후의 세계 (0) | 2020.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