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과 시사

국회공직자윤리위, 국회의원 298인 재산공개…1급 공직자 재산 전년대비 2.5억↑

 

↑ 국회의사당 본관 전경 /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전경. 중앙포토

 

 

 

 

 

 

 

국회의원 298명 중 24명은 5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의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은 의원은 국민의힘을 탈당한 무소속 전봉민 의원과
박덕흠 의원으로 재산이 5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아시아타임즈 김영봉 기자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2021년 정기재산변동신고 공개(2020년 12월 31일 기준)
에 따르면 신고대상인 의원 298명 가운데 전봉민 의원의 재산액(현재가액 기준)이 가장 많았다.
(사진=방인권 기자)
 



 국회공직자윤리위, 국회의원 298인 재산공개…

1급 공직자 재산 전년대비 2.5억↑



298명의 국회의원 중 재산 신고총액이 500억원 이상인 전봉민, 박덕흠 의원을 제외한 296인의 신고재산액 평균은 23억6136만원으로 집계됐다.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위원장 박민표)는 25일 공직자윤리법 제10조에 따라 국회 소속 재산공개대상자인 국회의원 298인과 국회사무처, 국회도서관 및 국회예산정책처 1급 이상 공직자 37인에 대한 정기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국회공보를 통해
공개했다.
공직자윤리법 제6조에 따라 202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재산변동사항을 2021년 3월 2일까지 신고해야 한다.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는 신고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공개하도록 한 같은 법 제10조에 따라 신고내용을 공개했다.
2021년 국회 소속 공개대상자의 재산신고액을 살펴보면, 298명의 국회의원 중 신고총액이 500억원 이상인 전봉민, 박덕흠 의원을 제외한 296인의 신고재산액 평균은 23억6136만원이다.
전년도 기준 신고총액이 500억원 이상인 3명을 제외한 국회의원 287명의 신고재산액 평균은 24억8359만원이었다.
신고재산 총액기준 규모별로 살펴보면, 신고액이 5억 미만 43인(14.4%), 5억 이상 10억 미만 66인(22.1%), 10억 이상 20억 미만 89인(29.9%), 20억 이상 50억 미만 76인(25.5%), 50억 이상 24인(8.1%)이다.
국회의원을 제외한 1급 이상 국회공직자 37명의 경우 신고재산액 평균은 12억1650만원이다.
전년도 신고재산액 평균은 9억6662만원으로 전년보다 2억4988만원이 증가했다.
신고재산 총액기준으로 규모별로 살펴보면, 신고액이 5억 미만 2인(5.4%), 5억 이상 10억 미만 7인(18.9%), 10억 이상 20억 미만 25인(67.6%), 20억 이상 50억 미만 3인(8.1%)이다.
2021년 공개대상자의 재산 증감현황을 살펴보면, 국회의원의 경우 재산 증가자는 247인(82.9%)으로 규모별로 보면 5000만원 미만 33인(11.1%),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 46인(15.4%), 1억 원 이상 5억원 미만 141인(47.3%), 5억 원 이상 10억 원 미만 18인(6%), 10억 원 이상 9인(3%)이다.
재산 감소자는 51인(17.1%)으로 규모별로 보면 5000만원 미만 16인(5.4%),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 11인(3.7%),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 14인(4.7%),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 3인(1%), 10억원 이상 7인(2.4%)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원을 제외한 1급 이상 공직자의 경우 재산 증가자는 36명(97.3%)으로 규모별로 보면 5000만원 미만 7인(18.9%), 5000만원 이상 1억 원 미만 8인(21.6%),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 21인(56.8%)이며, 재산 감소자는 1인(2.7%)으로 규모는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이었다.



 유일지 기자 salixy@daum.net 기자의 다른기사 저작권자 © 세정일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 모습 [연합]

 

 재산공개] 국회의원 평균재산 1위 정당은 국민의힘…30억7500만원

더불어민주당 174명 의원 평균은 17억600만원
‘양당 최고 자산가’ 국민의힘 백종헌, 민주당 박정
무소속 의원 10명 평균 재산은 228억원에 달해
각종 의혹 속 탈당·제명 의원들 대부분 고액자산가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들의 평균 재산이 여야 7개 원내 정당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국회의원 재산 변동사항(2020년말 기준)에 따르면 국민의힘 소속 의원 102명의 평균 재산은 30억7526만원이었다.
소속 의원 3명의 열린민주당은 18억6679만원으로 2위였고, 더불어민주당(174명) 17억661만원, 국민의당(3명) 10억2524만원, 정의당(6명) 6억2420만원 등의 순이었다.
소속 의원이 1명뿐인 ‘1인 정당’은 시대전환(조정훈, 11억4437만원), 기본소득당(용혜인, 2억5460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정당별로 살펴보면 민주당에는 ‘박정 어학원’을 운영했던 박정 의원이 453억1148만원으로 당내 최고 자산가였다. 당내 재산 2위 안규백 의원(57억9349만원)과의 격차가 400억원 가까이 달했다.
김병욱(55억5231만원), 홍성국(50억5783만원) 의원 등도 50억원이 넘는 재산을 가진 것으로 신고됐다.
민주당에서 10억원 이하의 재산을 보유한 의원은 74명이었고, 진선미 의원은 -10억2855만원으로 자산보다 빚이 더 많아 전체 의원 중 ‘꼴찌’를 기록했다.
국민의힘 내 최고 자산가는 백종헌 의원(286억288만원)이었다.

2위는 김은혜 의원(216억1415만원)이었고, 한무경(129억2346만원), 이주환(119억1605만원), 강기윤(115억2962만원) 의원 등도 100억원대 이상 고액 자산가에 이름을 올렸다.
국민의힘에는 재산 5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인 자산가도 박성중(79억3119만원), 성일종(76억7955만원), 정점식(74억9657만원), 정진석(72억8288만원), 김기현(70억6333만원) 의원 등 8명에 달했다.
국민의힘에서 10억원 이하 재산을 보유한 의원은 28명이었고, 지성호 의원이 1억1060만원의 자산으로 당내 ‘꼴찌’였다.
정의당은 심상정 의원이 13억8674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고, 류호정 의원은 1억6931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국민의당에서는 권은희 원내대표가 13억1045만원, 열린민주당에선 전날 의원직 사퇴가 처리된 김진애 전 의원이 26억5239만원으로 가장 재산이 많았다.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는 16억3797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평균 재산이 가장 많은 그룹은 정당이 없는 무소속 의원들이었다.
무소속 의원 10명의 평균 재산은 228억2560만원에 달했다.
특히 기존 소속돼있던 정당에서 각종 의혹이 불거지며 탈당하거나 제명된 의원들이 고액 자산가였다.
무소속 전봉민 의원의 재산은 914억2087만원으로 전체 국회의원 300명 중 최고 자산가였다. 그가 대표이사를 맡았던 이진주택, 동수토건의 비상장주식 가치가 858억원에 달했다.
다만 그는 일감 몰아주기 등 부친의 편법 증여로 재산을 증식했다는 의혹 속에 지난해 말 국민의힘을 탈당한 바 있다.
그보다 앞서 특혜 수주 의혹 등이 불거지며 국민의힘을 탈당한 무소속 박덕흠 의원도 559억8854만원으로 전체 국회의원 중 두 번째로 많은 재산을 자랑했다.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무소속 의원들도 상대적으로 고액 자산가들이었다.
이스타항공 창업주로 대량해고 책임론 등에 휩싸여 탈당했던 이상직 의원은 177억5729만원, 재산 허위신고 의혹으로 당에서 제명당한 양정숙 의원 88억5570만원, 재산 축소 신고 의혹으로 탈당한 김홍걸 의원은 63억4139만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소속 박병석 국회의장은 63억2649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badhoney@heraldcorp.com





회 본회의장
출처 : 소비라이프뉴스(http://www.sobilife.com)

 

 

 

 

 

 

 

 박병석 국회의장이 전날(24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권욱 기자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JXZPRELZ

 

 

 

 

 

 

 

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조소진 기자 sojin@hankookilbo.com
박재연 기자 replay@hankookilbo.com

 

 

 

 

 

 

박준석 기자 pjs@hankookilbo.com조소진 기자 sojin@hankookilbo.com
박재연 기자 replay@hankookilbo.com



 

[국회의원 재산공개] 50억 이상 24명⋯

국민의힘 탈당 전봉민·박덕흠은 500억↑

국회의원 296명 평균 재산 23억6136만원, 50억 이상 24명, 20억~50억 미만76명, 10억 이상 20억 미만 89명
국회의원 재산 1위, 일감몰아주기 의혹 받고 국민의힘 탈당한 전봉민 의원
914억원 보유

수주특혜 의혹으로 탈달한 박덕흠 의원은 2위, 559억8854만원 보유
이스타항공 사태에 민주당 탈당한 이상직 의원은 177억원

[아시아타임즈=김영봉 기자] 국회의원 298명 중 24명은 5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의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은 의원은 국민의힘을 탈당한 무소속 전봉민 의원과 박덕흠 의원으로 재산이 5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0억원 이상 보유한 전봉민 의원과 박덕흠 의원을 제외한 국회의원 296명의 평균 재산은 23억6136만원으로 집계됐다.  
25일 2021년 국회 소속 공개대상자의 재산 신고액을 보면 국회의원 298명 중 신고총액이 500억원 이상인 전봉민 의원과 박덕흠 의원을 제외한 296인의 신고재산액 평균은 23억6136만원으로 이중 50억원 이상 보유한 국회의원은 24명으로 집계됐다. 

국회의원의 신고재산 총액기준 규모별로 살펴보면 국회의원 재산랭킹 1위인 무소속 전봉민 의원과 2위인 박덕흠 의원을 포함한 24명(8.1%)이 50억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했고, △20억 이상 50억 미만은 76명(25.5%) △10억 이상 20억 미만 89명(29.9%) △5억 이상 10억 미만 66명(22.1%) 순이었다. 신고액이 5억원 미만인 국회의원은 43명(14.4%)에 불과했다. 
국회의원 재산랭킹 1위는 무소속 전봉민 의원이었다. 편법증여·일감 몰아주기 의혹을 받고 국민의힘을 탈당했던 전 의원 재산은 914억2087만원으로 2019년 914억1493만원 보다 642만원 증가했다.
전 의원은 주식이 858억7313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예금이 36억9386만원, 건물 7억3400만원, 토지가 5억3864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피감기관으로부터 수천억원대 공사를 수주했다는 의혹을 받고 국민의힘을 사퇴했던 박덕흠 의원은 559억8854만원으로 전년 보다 352만원 소폭 늘었다. 박 의원은 땅 부자였다.
그는 토지재산이 무려 220억원에 달했고, 예금이 158억5118만원, 건물은 94억3000만원이었다.  
이스타항공 창업자이자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이상직 의원은 2019년 212억원 보다 약 35억원이 줄어든 177억원을 기록했다. 이 의원은 장남과 장녀가 보유한 이스타홀딩스 주식이 168억5086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건물 32억4800만원, 예금은 1억6153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한편 국회의원을 제외한 1급이상 국회공직자 37명은 평균 12억165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20억 이상 50억원 미만이 3명(8.1%), 10억 이상 20억 미만 25명(67.6%), 5억 이상 10억 미만은 7명(18.9%)이었다.
신고액이 5억원 미만인 공직자는 2명(5.4%)이다.
kyb@asiatime.co.kr

 

 

 

 

 

 

여의도 국회의사당
출처 : 소비라이프뉴스(http://www.sobilife.com)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전경/연합뉴스


 

 국회의원 평균재산 24억원…10명 중 2명은 1주택⋅1상가


지난해 국회의원들의 1인당 평균 재산은 23억 6136만원으로 국민 평균의 5.3배로 나타났다.
또 국회의원 16.4%는 주택을 두 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였고, 강남에 주택을 한 채 이상 보유한 의원도 16.4%로 나타났다.
주택 외에 상가 건물 등을 보유한 의원도 22.5%나 됐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2021년 국회의원 정기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보면 재산 신고액이 500억원 이상인 2명(무소속 전봉민 박덕흠 의원)을 제외한 296명(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 이인영 통일부 장관 제외)의 재산 평균은 23억613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평균 재산 신고액인 24억8539만원보다 1억2403만원(5%) 줄어든 것이다. 두 사람을 포함시키면, 의원들의 평균 재산은 28억4017만원으로 늘어났다.
작년 3월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이 4억4543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재산이 적게는 5.3배 크게는 6.3배 많은 것이다.


본인과 배우자를 합쳐 집을 두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는 49명으로 집계됐다.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이른바 '강남 3구'에 주택을 한 채 이상 보유한 의원도 49명(16.4%)이었다.
주택 외에 상가 건물이나 근린생활시설(오피스텔 포함) 등을 함께 가진 의원은 67명(22.5%)으로 나타났다.


다주택자 숫자는 정당별로 국민의힘이 29명, 더불어민주당이 14명, 무소속이 5명, 열린민주당이 1명 순이었다.
열린민주당 김진애 전 의원은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총 15억4000만원 상당의 서울 강남구 논현동 다세대 주택 3채와 인천 강화에 단독주택 1채를 보유했다.


무소속 박덕흠 의원은 26억원 상당의 서울 강남구 삼성동 아파트를 배우자와 절반씩 보유했다.
지역구인 충북 옥천에 아파트, 경기 가평에 단독주택 등 총 3채를 신고했다.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은 서울 목동 아파트(14억5000만원)와 부산 해운대구 2채( 4억3000만원) 등 3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이상민 의원은 대전 유성구에 아파트 2채(5억3000만원)와 경기 화성의 복합건물을 배우자와 함께 가진 것으로 신고했다.

서울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 3구에 주택을 보유한 의원은 정당별로 국민의힘이 25명, 민주당이 17명, 무소속 6명, 열린민주당 1명이었다. 무소속 양정숙·국민의힘 이헌승 의원은 강남 3구에 두 채 이상의 주택을 가진 것으로 신고했다.
주택 외에 상가 건물이나 근린생활시설(오피스텔 포함) 등을 함께 가진 의원은 67명이었다.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 총 21억5000만원 상당의 사무실 12개를 보유했다.

모두 같은 건물에 있는 사무실이었다.
국민의당 권은희 의원은 충북 청주와 경기 화성에 배우자 명의로 총 16억원 상당의 상가 8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박범계 법무부장관은 '두 채 이상 보유는 투기'라는 현 정부 기조에 따라 작년 8월 대구의 상가와 경남 밀양의 건물을 처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경남 밀양의 건물은 증여를 했고, 대구 상가 주택(대지 95㎡·상가 대지 311㎡)은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전봉민 무소속 의원은 21대 국회의원 중 가장 재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토지는 박덕흠,건물은 박정,전체 재산은 전봉민이 1위


21대 국회의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은 이는 부산 수영구에 지역구를 둔 전봉민 무소속 의원이었다.
토지 가액으로는 박덕흠 무소속 의원이, 건물로는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가장 많은 액수를 보유했다.

 
중앙일보는 25일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1대 국회의원 재산신고’를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31일 기준으로 신고한 298명 의원 본인과 배우자, 직계존·비속 소유의 부동산·예금·증권·채무·자동차 등이 대상이다.
현직 국무위원으로 지난해 장관에 임명된 이인영·전해철 의원은 제외됐다.

 
분석 결과 전봉민 무소속 의원이 914억2088만원으로 현직 의원 중 재산이 가장 많았다.
전 의원의 재산 대부분은 주식으로 가액이 858억7314만원이었다.
전 의원은 자신이 설립한 비상장사 이진주택 1만주와 동수토건 5만8300주를 갖고 있다. 





 

21대 국회의원 재산현황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뒤를 이은 이는 박덕흠 무소속 의원이었다.
박 의원은 재산은 총 559억8855만원으로 이 가운데 토지가 절반에 가까웠다.
박 의원은 서울 송파구와 강원 홍천군 등에 총 41건의 토지를 신고했는데 가액 기준으로 220억573만원이었다.

이는 신고 의원 중 가장 많은 액수다.
박 의원은 이해상충 지적에, 전 의원은 편법증여 문제로, 각각 지난해 9월과 12월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세번째로 재산이 많은 이는 박정 민주당 의원으로 총 453억1149만원을 신고했다.

박 의원은 서울 마포구 소재 빌딩 1채(356억1151만원)와 지난해 신규 매입한 배우자 소유 서울 송파구 근린생활시설(22억2000만원) 등 총 391억5151만원을 신고했다.
건물 보유액으로는 신고한 의원 중 가장 많다.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은 총 41건의 토지를 보유했는데 가액이 220억원이었다. 중앙포토

 

 

 

재산 총액 기준으로는 뒤이어 윤상현 무소속 의원(350억893만원),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286억289만원) 순이었다. 
반면 재산이 가장 적은 이는 진선미 민주당 의원으로 -10억2855만원이었다.
진 의원은 배우자 채무 16억8126만원을 신고했다.

이어 강선우 민주당 의원(-4억1765만원), 김민석 민주당 의원(-3억7227만원), 윤재갑 민주당 의원(3875만원), 이규민 민주당 의원(7188만원) 순으로 재산이 적었다.





 

21대 국회의원 재산현황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삼성전자 임원 출신인 양향자 민주당 의원은 본인과 배우자가 보유하고 있던 삼성전자 주식 2만7100주 등 14억2000만원 상당의 상장 주식을 모두 매각했다.
지난해 9월 양 의원은 “이해충돌 여지를 없애기 위해 삼성전자 주식을 전량 매각했다”고 밝혔다. 대신 비상장주식은
60만원 남겼다.

 
정당별 1인당 재산 평균액은 국민의힘이 30억7527만원으로 원내 정당 중 가장 많았다.
이어 열린민주당(18억6680만원), 민주당(16억8964만원), 국민의당(10억2524만원), 정의당(6억2421만원) 순이었다. 
1인당 토지 보유 가액은 국민의힘이 2억4561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민주당 9285만원, 정의당 5377만원, 열린민주당
2893만원 순이었다.
국민의당 의원들은 토지를 전혀 보유하지 않았다.



 

 

삼성전자 상무 출신인 양향자 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보유하던 삼성전자 주식 2만7100주를
전량 매각했다. 뉴스1

 

 

이색 재산도 눈에 띄었다.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배우자 몫으로 7000만원 상당의 하프 3개와 3000만원 짜리 회화 1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같은 당 박진 의원은 7000만원 상당의 바이올린을 갖고 있었다.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은 총 5점(5900만원)의 미술품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양경숙 민주당 의원은 도자기와 풍경화 등 3점(4000만원)의 예술품 보유 사실을 신고했다.
박찬대 민주당 의원도 1200만원 상당의 한국화 1점을 갖고 있었다.

귀금속을 보유한 의원들도 다수였다. 박진 의원은 다이아몬드·금 등 2830만원 상당의 귀금속을, 서정숙 의원은 1400만원 상당,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은 900만원 상당의 금을 보유하고 있었다.

 
원고료와 인세 수입을 신고한 의원도 있었다. 『검사내전』 저자인 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원고료 1200만원을 신고했다.
시인 출신인 도종환 민주당 의원은 자신이 쓴 시 등의 저작재산권 1570만원을 신고했다.

같은 당 송영길 의원도 저서 3권에 대한 저작재산권 2030만원을 신고했다. 『수축사회』저자인 홍성국 민주당 의원은 4550만원 상당의 저작재산권을 신고했다.
『3층 서기실의 암호』를 펴낸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도 680만원 상당의 저작재산권을 갖고 있었다.


 
김효성·성지원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이미지출처=연합뉴스]

 

 

 

 [국회의원 재산공개]부모·자녀 재산은 '비밀'.."여전한 재산공개 사각지대"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올해 국회의원 재산공개에서도 ‘존·비속’의 재산내역 고지 거부 문제는 여전했다.
전체 의원 10명 가운데 4명꼴로 존·비속의 재산내역 공개를 거부했다.
현행 재산변동 내역 신고만으로 존·비속 명의를 이용한 투기 가능성을 차단하는데 여전히 한계가 확인된 셈이다.
25일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국회의원 300명의 2020년 재산변동 신고내용을 보면 109명(36.3%, 사망 또는 혼인 제외)의 의원이 부모나 자녀, 손주·손녀의 재산내역 고지를 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 거부 사유를 보면 부모 또는 자녀 등의 독립생계유지 등의 사유가 가장 많았다.
국회의원 존·비속 162명의 재산 내역이 공개되지 않았는데 독립생계유지(141명)를 가장 많은 재산 고지 사유로 꼽았다.

이어 타인부양 17명, 기타 내역 4명 순이었다.
현행 재산공개 제도는 국회의원의 직계 존·비속이라고 하더라도 경제적으로 생활 능력이 있는 경우나 부양을 받지 않는 사람인 경우는 재산 고지 거부 허가를 받아서 재산을 등록하지 않을 수 있다.
주요 정당별로 살펴보면 편차가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의 경우 31.6%(172명중 55명), 국민의힘 소속 의원은 41.2%(102명중 42명)가 존·비속의 재산공개를 거부했다.
박병석 국회의장 등 무소속 의원 10명 가운데 7명 역시 존·비속 재산을 공개하지 않았다.
그나마 올해 전체 국회의원 재산공개 거부 비율은 예년보다는 소폭 낮아졌다.
지난해의 경우 286명 가운데 119명(41.6%), 2019년은 289명중 114명(39.4%)이 존·비속의 재산공개를 거부한 바 있다.
그동안 국회에서는 국회의원 존·비속의 재산공개를 거부할 수 있는 탓에 제도상의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박민표 국회 국회공직자윤리위원장은 지난 22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차명을 활용한 투기 가능성과 관련해 "불법을 하려는 사람이면 본인 명의는 숨기려고 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제도상 한계를 지적하기도 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국회 사무처가 제21대 국회의원들에게 지급될 배지를 공개하고 있다.
2020.4.13/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공직자 재산공개] 하프·금덩이·브라질 국채…국회의원 이색 재산은?

국힘 김은혜·배준영 대변인 억대 회원권 소유
유명 호텔 헬스·골프 회원권 보유 이제 흔해
순금, 행운의 열쇠, 다이아몬드 소유 신고도

지적재산권, 특허권, 해외 국채 신고도 눈길
'슈퍼리치'의원 박정, 비상장 주식 78억 신고



[서울=뉴시스] 박미영 기자 =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21대 국회의원 재산변동 공개목록에는 미술품, 다이아몬드와 금 같은 귀금속, 악기 등도 다수 포함됐다.
부동산, 주식, 현금과 같은 전통적 자산 외에 재산으로 등록된 이색 품목 중 골프장 및 콘도·리조트 회원권 유명 호텔 헬스클럽 회원권은 다수의 의원들이 보유하고 있었다.

국민의힘 대변인인 김은혜 배준영 의원은 나란히 억대 회원권을 소유했다.
재산 216억원을 신고한 김 대변인은 1억9000만원짜리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회원권을, 43억원대 재산을 가진 배 대변인은 7500만원짜리 서울클럽 회원권과 5716만원짜리 금호리조트 콘도 회원권을 보유하고 있었다.
서울클럽은 가입인원을 1000명 안팎으로 제한해 운영하는 곳으로 고종황제가 만든 사교클럽이 기원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배우자 명의로 9000만원 상당 포시즌스호텔 서울클럽 회원권을 갖고 있었고, 윤상현 무소속 의원은 배우자와 본인 명으로 골프 클럽 회원권 2개, 메리어트와  반얀트리 등 호텔 헬스 회원권 2개를 보유했다.
리조트 및 콘도 회원권은 권성동, 권영세, 김미애, 박덕흠, 박완수, 배준영, 유정주, 윤주경, 윤준병, 윤창현, 이달곤, 이상직, 홍준표 의원 등 총 13명이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갖고 있었다.

골프 회원권을 보유한 의원은 박덕흠, 박완수, 배준영, 유동수, 윤창현, 이철규, 조응천, 홍준표 의원 등으로 박덕흠 의원의 경우 골프 회원권이 7억원에 달했다.
귀금속의 경우 다이아몬드는 배우자 명의로 대부분 돼 있었고, 금은 순금과 열쇠형으로 갖고 있었다.

강병원 민주당 의원은 배우자 명의로 다이아몬드 1캐럿을, 박진 국민의힘 의원도 배우자 소유의 반지와 브로치를 신고했다.
박덕흠 무소속 의원은 행운의 열쇠 38g을,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은 130g(900여만원)을 신고했다.

악기와 미술품도 재산 품목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품목이다.

재산 43억원을 신고한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음악가인 배우자 명의로 하프 3대를 보유했다.
권 의원의 부인은 3000만원 상당의 회화도 1점 갖고 있었다. 박진 국민의힘 의원은 7000만원짜리 바이올린을 재산
목록에 올렸다.


박찬대 민주당 의원은 허진 작가의 한국화 1점(1200만원)을,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은 문상직 작가의 유화 2점(3100만원), 김태순 작가의 유화 1점(600만원), 김영택 작가의 판화(1600만원), 최순정 작가의 서양화(600만원) 등 5점을, 양경숙 민주당 의원은 도자기 1점(500만원), 회화 2점(3500만원)을 신고했다.
지적재산권(저작재산권)으로 수입을 올리는 의원들도 있었다.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의원직을 내려놓은 김진애 열린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지적재산권(소득금액 1900만원)과 배우자 특허권을, 송영길 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저서 3권에 대한 저작재산권(소득금액 2000여만원)을 재산 목록에 올렸다.
453억여원의 재산을 보유해 '슈퍼리치' 의원으로 꼽히는 '박정어학원' 설립자인 박정 민주당 의원은 어학원 비상장주식 2834주 총 77억9796만원을 신고했다.

또 안규백 민주당 의원은 브라질 국채 81만2000주를 신고했는데 환율변동에 따라 평가액이 종전 2억7000만원에서 1억9000만원으로 줄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mypark@newsis.com

  

 

 

포르쉐 차량. /연합뉴스

 


3000만원짜리 풍경화에 4억원어치 현금까지…의원님들 '이색자산'


강기윤·전봉민, 수천만원짜리 외제차
박덕흠, 4억 2000만원 신고한 현금 부자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2021년 국회의원 정기재산변동사항' 신고 내역에는 부동산, 주식, 현금과 같은 전통적 자산뿐만 아니라 고가의 악기, 예술작품을 비롯해 수천만원짜리 외제차와 지적재산권 등의 이색 자산도 다수 포함됐다.
재산신고 목록에서는 의원들의 예술 사랑을 볼 수 있었다.
박진 국민의힘 의원은 7000만원짜리 바이올린을 갖고 있다고신고했다.

같은 당 권영세 의원은 배우자 명의로 하프 3개를 갖고 있었는데, 각각 1000만원, 2000만원, 4000만원이었다.
권 의원은 3000만원짜리 그림 한 점을 새로 매입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서정숙 국민의힘 의원은 5점의 예술품을 갖고 있다고 신고했는데, 600만원짜리 서양화 한 점과 1600만원 상당의 판화, 600만원 짜리 유화 한 점과 1600만원 상당의 유화 두 점을 갖고 있었다.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점의 예술품을 소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는데, 500만원짜리 백자 한 점과 500만원짜리 소나무 회화 한 점, 3000만원 상당의 풍경화 한 점을 신고했다.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은 저작재산권으로 684만원의 소득을 올렸다고 신고했다.
해당 저작권은 태 의원이 2018년 출판한 '3층 서기실의 암호'라는 책에 대한 것이다.

해당 책은 16만부 이상이 판매되며 32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태 의원은 지난해 재산신고에서는 해당 저작재산권의 소득금액으로 4000만원을 신고했다.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은 8033만원짜리 2020년식 포르쉐 카이엔을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해당 차량 가액은 감가상각으로 지난해 1억2090만원에서 4007만원 감소했다. 전봉민 무소속 의원은 9092만원짜리 2020년식 벤츠 CLS 450을 갖고 있다고 신고했다.

강병원 민주당 의원은 배우자 명의로 1캐럿짜리 화이트 다이아몬드를 1000만원에 신고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배우자 명의로 된 1000만원짜리 무색 다이아몬드 반지와 500만원짜리 다이아몬드 브로치를 갖고 있다고 신고했다.

현금 부자도 있다.
박덕흠 무소속 의원은 본인 앞으로 4억2000만원 가량의 현금이 있다고 신고했다.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은 자신과 배우자 명의로 1억8500만원 가량의 현금을 신고했고, 최종윤 민주당 의원은 자신과 배우자, 장남 명의로 1억7600만원의 현금이 있다고 신고했다.

목장을 갖고 있는 의원들도 여럿이었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1억 107억 상당의 목장용지를, 같은 당 조명희 의원도 경북 포항에 4억 2994만원 상당의 목장용지를 신고했다.

한편 김웅 국민의힘 의원은 전남 순천 송주읍에 막걸리 공장 대지 309.16㎡와 건물 73.37㎡를 팔았다고 신고했다.
김 의원은 작년 재산신고에서 3369만원으로 신고한 창고 건물을 얼마전 2170만원에 매도했다.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경제정의실천연합 윤순철 사무총장(왼쪽 두번째) 등 관계자들이 2020년 9월 14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경실련 사무실에서 21대 국회의원들의 재산 신고가액 비교분석 결과를 발표하는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공직후보자의 신고재산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공. 




 의원들 주택수 줄이기 수법, 안팔고 용도 바꿨다

 

여당, 총선 때 ‘1주택 서약서’ 제출
최종윤·유기홍·임종성 집 용도 변경
국민의힘 김미애도 근린 상가로
의원들 “사무실·상가 등 활용” 해명

 

 
지난해 고위공직자들의 1가구 다주택 보유 논란이 벌어지자 일부 국회의원들이 주택의 용도를 바꾸는 방식으로 보유 주택수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국회의원 재산신고 내역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최종윤(경기 하남·초선) 의원은 본인과 배우자, 장남이 지분을 나눠 보유하고 있는 서울 명일동의 ‘연립주택’ 57.12㎡(4억8000만원)를 ‘근린생활시설’로 용도 변경했다.

결과적으로 최 의원은 아파트 전세권(2억8000만원)만 남기고 무주택자가 됐다.
최 의원은 “부친에게 작년 7월에 상속받은 곳”이라며 “엄청 낡아 팔리지가 않아 근린생활시설로 바꾸면 좀 더 잘 팔린다고 해서 용도 변경을 했다”고 밝혔다.

주택에서 상가로 건물 용도를 변경하려면 관할 기초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최근 다주택자의 세부담이 커지자 기존 주택을 상가 등으로 용도 변경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같은 당 유기홍(서울 관악갑·3선) 의원도 배우자 명의로 돼 있는 인천 강화군의 단독주택(대지 494㎡, 건물 36㎡, 1억6700만원)을 근린생활시설로 바꿨다.

용도 변경으로 인해 집은 서울 봉천동 아파트(4억7900만원)만 남아 유 의원은 ‘1주택자’가 됐다. 유 의원은 “2017년에 투자용이 아닌 주말 농장용으로 강화도의 집을 샀는데, 선거 준비를 하다보니 공천을 할 때 ‘1가구 2주택’이 문제가 되더라”며 “당정에서도 계속 1가구 2주택을 문제 삼아서 합법적으로 용도를 변경한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당 임종성(경기 광주을·재선) 의원도 배우자가 갖고 있는 서울 방이동의 복합건물(주택+상가) 548.86㎡를 근린생활시설(22억8120만원)로 용도를 변경했다.
남은 집은 본인 명의의 경기도 광주 단독주택(3억100만원)과 배우자 명의의 서울 대치동 아파트(14억7000만원)다.

임 의원은 “배우자 재산이어서 사실 제가 상황을 자세히는 모른다”며 “원룸인가로 돼 있어서 잘 안 팔리니까 상가로 바꿨다는 정도만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주택자 문제 삼아서” “안 팔려서”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민주당 윤호중(경기 구리·4선) 의원은 배우자 소유인 경기도 구리시의 ‘복합건물(주택+상가)’ 85.95㎡(4억7000만원)의 용도를 ‘상가’로 ‘수정’했다. 같은 건물에 있던 복합건물(주택+상가)’ 32.16㎡는 1억2000만원에 매도를 했다.
최종적으로 본인 명의의 구리시 아파트 한 채(4억2300만원)만 남아 ‘1주택자’가 됐다.

이와 관련해 윤 의원 측 관계자는 “용도를 바꾼 게 아니라 재산신고 표기를 바꾼 것”이라며 “주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오피스텔은 매도를 했고, 상가로만 쓰는 곳은 표기가 복합건물이라 오해를 사니까 국회 감사관실에 문의를 해서 표기를 고쳐서 쓴 것”이라고 설명했다.
흔히 오피스텔로 부르는 복합건물의 경우 용도가 상가인 경우에는 주택수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국민의힘 김미애(부산 해운대을·초선)은 부산 해운대에 있는 단독주택 등을 근린생활시설(대지 253.70㎡, 건물 735.47㎡, 9억374만원)로 용도 변경을 했다.
해운대에 있던 아파트(13억원)까지 매각하면서 김 의원은 무주택자가 됐다.

김 의원은 “지하1층-지상4층 건물 중 지상3층까지 원래 근린생활시설이었고 지상 4층만 주택이었다”며 “내가 다른 곳으로 이사를 한 뒤 팔려고 해도 팔리지 않아 국회의원이 된 뒤 사무실로 쓰고 있어서 용도대로 바꾼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지난해 총선 때 “1주택 외 매각” 서약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주택수를 줄인 것처럼 보이려고 용도를 변경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부동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그동안 다주택자 국회의원에 대한 여론의 시선은 곱지 않았다.

특히 민주당의 경우 지난해 4·15 총선 때 후보자들을 상대로 “민주당 후보는 당선될 경우, 부동산 규제지역(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이상 보유 시 2년 안에 실거주를 목적으로 한 1주택 외에 다른 주택을 매각한다”는 서약서를
받았었다.
당시 윤호중 의원은 총선기획단장과 공천심사관리위원회 부위원장이었다.


지역구에는 전세로 살면서 실제 보유하고 있는 건물은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서울의 아파트인 경우도 있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인 민주당 윤후덕(경기 파주갑·3선) 의원은 지역구에서는 아파트 전세(4억1000만원)를 살고, 서울 여의도 시범아파트(13억3500만원)를 보유하고 있다.

같은 당 조응천(경기 남양주갑·재선) 의원도 지역구에는 전세(4억2000만원)을 얻어 아파트에서 지내고, 부부 공동 명의로 서울 대치동 은마아파트(15억4500만원)를 갖고 있다.

 
농지를 새로 취득한 의원들도 있었다.

민주당 유동수(인천 계양갑·재선)은 ‘신규 토지거래 중 계약금 입금’ 명목으로 배우자의 사인간 채권이 2500만원이 늘어났다고 신고했다. 지난해 12월말 작성 기준인 재산신고 내역에는 반영되지 않았지만 유 의원의 배우자 등은 인천 도림동의 밭 1626㎡(5억원)를 사서 지난 2월에 등기를 마쳤다.
유 의원은 “의사인 아내가 주말 농장용으로 구입했다”며 “아내와 장모님이 직접 가서 상추를 심고는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강기윤(경남 창원 성산·재선) 의원의 장남은 창원시에 있는 각 440㎡(1억4070만원)과 701㎡(2억2473만원)의 논을 새로 매입했다고 신고했다.
강 의원 측 관계자는 “아들이 주말 농장용으로 산 것”이라며 “비닐하우스도 있고, 감나무도 있다”고 말했다.

 
“주말 농장용” 농지 취득한 여야 의원 
 
그런 가운데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은 배우자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임야(3억400만원)를 보유했다고 신고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3기 신도시로 지정된 남양주 왕숙에 속하지는 않고, 정무수석에 임명되기 전인 지난해 5월에 매매계약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집이 없는 최 수석이 거주할 목적으로 이곳에 집을 짓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준영·여성국·이병준·편광현 기자 kim.junyoung@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63빌딩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일대 아파트 모습.
2020.7.3/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청와대는 집 팔라는데..野 추천 공직자 대놓고 '다주택'



김효재 방통위 상임위원, 서울에만 아파트 3채 보유
靑은 '주택보유' 인사원칙..정당 추천 인사검증 부실 지적


(서울=뉴스1) 김상훈 기자,김현 기자 = 청와대와 정부 주도로 고위 공직자에 대한 주택 처분 권고가 내려진 상황에서도 야당 추천으로 임명된 차관급 인사들은 여전히 다주택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관보를 통해 공개한 '2020년 공직자 정기재산변동사항 공개' 내역에 따르면, 김효재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은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아파트 1채(12억800만원)와 중구 신당동 아파트 1채(5억7900만원), 성북구 하월곡동 아파트 1채(6억5000만원) 등 서울에서만 총 3채를 보유하고 있다.
방통위 상임위원은 차관급으로 위원장 1인을 포함해 총 5명이다. 이 중 위원장을 포함한 2명은 대통령이 지명하고, 나머지 3명 중 1명은 여당, 2명은 야당 교섭단체가 추천한다. 김 위원의 경우 지난해 8월 당시 야당인 미래통합당의 추천을 받아 임명됐다.
상임위원 5명 가운데 다주택자는 김 위원이 유일하다. 나머지 상임위원 4명은 모두 본인이나 배우자 명의로 주택 1채씩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지난 2019년 야당 몫으로 추천돼 임명된 이상철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도 다주택자다.
이 위원은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21억)과 영등포구 대림동(10억622만원)에 각 1채를 보유하고 있다.
가습기살균제사건과4·16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의 야당 추천 인사인 이태흥, 황전원 위원도 주택 2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다.
이 위원은 부부 공동 명의로 서울 마포구 신수동 아파트 1채(4억8500만원), 서울 강서구 마곡동의 배우자 명의 주상복합건물(9억2000만원) 1채, 서울 마포구 염리동의 연립주택(1억9000만원) 등을 신고했다.
토지로는 광주 동구 동명동, 북구 두암동에 걸쳐 도로, 구거 등 4개의 필지(3억6528만원)를 갖고 있다.
황 위원의 경우, 배우자 명의로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에 연립주택 1채(2억6700만원)를 보유 중이며, 본인 명의로는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에는 단독주택 1채(7530만원)를 갖고 있다.
현재 정부는 지난해 7월 정세균 국무총리 지시 아래 부동산 가격 안정 정책에 따라 고위 공무원들에게 주택 한 채만 남기고 처분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다주택자의 투기가 집값 상승을 부추긴다는 정부의 진단 아래 고위 공직자의 다주택 처분을 요구한 것이다.
청와대는 지난해 다주택자 논란을 겪은 뒤로 인사 검증에서 주택보유 현황을 확인하는 게 원칙처럼 반영되고 있다.

지난해 청와대는 노영민 당시 대통령비서실장 주도로 참모들에게 6개월 안에 한 채만 남기고 처분하라는 권고를 내렸고, 이 과정에서 일부 참모진들은 다주택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교체됐다.
하지만 국회에서 추천된 공직 인사들의 경우 정부와 청와대의 다주택자 현황 검증을 통한 인사 시스템과 사뭇 다른 분위기가 감지된다. 특히, 이 같은 정부 기조를 받아들인 여당과 달리 야당에서는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방통위 김 위원과 같은 시기 여당에서 추천해 상임위원이 된 김현 부위원장의 경우는 1주택자다.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아파트 1채(3억5800만원)을 보유한 게 전부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야당이 차관급 인사를 추천하면서 고위 공직자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부합하는지 따져보지도 않고 추천하고 있다"라며 "대통령의 인사권 행사에 따른 인사 검증 절차에 비해 절차가 간단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ward@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