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지원 하루 만에 北도발…암초 만난 ‘800만달러’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지원 계획이 하루 만에 위기에 처했다.
북한은 15일 오전 6시57분 평양시 순안 일대에서 불상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이 미사일은 일본 상공을 지나 북태평양 해상에 떨어졌다. 합동참모본부는 이 미사일의 최대 고도를 약 770여km,
비행거리는 약 3700여km라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10번째 미사일 도발이다.
전날 통일부는 국제기구 유니세프와 세계식량계획(WFP)를 통한 800만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북한 내 아동과 임산부다. 모두 백신과 필수 의약품, 영양식품 등 현물로 공급될 계획이다.
원안이 협의회를 통과하면 지난해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단됐던 국제적 기구를 통한 대북지원이 2년 만에
재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은 바로 다음 날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이에 '인도적 지원은 정치 상황과 관계없이 추진한다'는 문재인 정부의 원칙이 반대 여론에 부딪힐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대북지원 발표 당일에도 회의적 시각이 있었다.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새 대북 제재 결의 2375호를 채택하는 등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정부가
엇박자를 보인다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보수 야당이 강력히 반대했다.
자유한국당은 같은 날 "북한이 연일 도발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는 이 때에 정상적인 국가라면 도저히 나올 수 없는
800만 달러 대북지원 계획은 당장 철회돼야 한다"며 "정부의 이런 계획 발표는 안보 불안에 하루하루 떨고 있는 우리
국민에 대한 심각한 '비인도적' 처사"라고 일갈했다.
바른정당은 "지금은 대북지원을 거론할 때가 아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과연 시기가 지금이어야 하는지 의문"
이라고 잇따라 지적했다.
국제사회 역시 한국 정부의 대북지원에 우려를 표명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14일 한국 정부의 북한 인도지원 검토에 대해 "국제사회가 결속해 북한에 대해 명확한 의사를 표시하는 와중에 대북 압력을 느슨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행동은 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은 지난 5월 북한의 중장거리 전략 탄도미사일 '화성-12'형의 시험발사 모습.
/연합뉴스
與野, 北미사일 도발 규탄…野, 文정부 대북정책 지적 |
여야 지도부가 1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두고 "무모하다"며 한목소리로 강력 규탄했다.
야당은 문재인정부의 인도적 대북지원 검토, 전술핵 재배치 반대 등의 정책이 "잘못됐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북한을 강력규탄하면서 전술핵 재배치는 "답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은 자신의 무모한 도발이 정치, 군사, 외교적으로
아무런 실효성이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라며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군사적 대응 태세
구축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술핵 재배치에 대해 "우리와 국제사회가 그동안 노력해온 핵의 평화, 외교적 해법 원칙을 한순간에 무너뜨리는 것"이라며 "전술핵 재배치는 답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날로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킬 체인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반면 야당은 문재인정부의 대북정책을 비판하며 날을 세웠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엔 제재가 발표되자마자 오늘 아침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있었다"며 "우리가 살 길은 핵무장을 통해 남북의 핵균형을 맞추는 방법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북한의 폐쇄경제 체제 하에서는 유엔의 제재란게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며 "문 대통령은 군사력을 증강한다고 하지만 공기총의 성능을 아무리 개량해도 대포를 당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정부의 대북 인도적 지원 검토에 대해 "전략적으로 사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그는 "(북의 미사일 발사를) 강력 규탄한다"면서 "굳건한 한미동맹과 국제공조에 기초해 강력한 안보와 단호한 압박으로 북한을 견인하고 평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문재인정부의 대북정책이)
그는 "북한의 무모함과 만행에 대해서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면서 "이에 대처하는 정부의 자세도 (걱정된다)"고 말했다.
정의당은 최석 대변인의 논평을 통해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것을 촉구했다. 최 대변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강력 규탄한다"며 "정부는 1년9개월 만에 인도적인 차원에서 지원을 결정했는데 북한은 미사일 발사를 했다.
![](http://www.segye.com/content/image/2017/09/15/20170915001098_0.jpg)
![청와대. [중앙포토]](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15/def3986d-07be-4df4-8dac-f6a3f8d31138.jpg)
청와대.
[중앙포토]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14일 정부가 대북 지원을 검토하고 나서면서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가 신규 대북 제재
정부는 이날 국제기구를 통해 800만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적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보수진영을 기반으로 하는 두 야당은 문재인 정부의 이같은 행보에 대해 안보와 외교에서 무능한 모습을 드러냈다는 점을 집중 지적했다.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공식 논평을 통해 "문재인 정부는 '대북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추진한다는
전 대변인은 "북한 퍼주기 정책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의 원인이 됐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며 "문재인 정부는 김대중, 노무현 정부가 오늘날 우리의 운명을 한 치 앞도 알지 못하는 상황으로 만든 사실에 대한 뼈저린 반성조차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일본 등 자유 우방에 대한 신뢰는 온데간데없는 문재인 정부가 800만 달러의 돈을 김정은이 '인도적'으로
전 대변인은 "김정은 정권의 연명을 도와주는 것이야말로 북한 주민에게 가장 비인도적인 가혹한 처사"라며 "문 대통령은 더 이상 뒤로 숨지말고 초유의 안보 위기 상황에서 이 정부가 가지고 있는 대북정책에 대한 속내를 이제는 밝혀야
이종철 바른정당 대변인도 "지금은 대북 지원을 거론할 때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6차 핵실험과 미사일 위협에, 국제사회가 북한에 대한 효과적인 제재를 위해 가용할 모든 방법을 찾고 있고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데 우리 정부가 이런 흐름에 '구멍'을 내는 섣부른 행보를 취하고 있는 것 아닌지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
![](http://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17/09/15/201709150944433231_l.jpg)
![](http://www.sisaweek.com/news/photo/201709/96765_77027_5737.jpg)
이날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추진 중인 국제기구를 통한 800만 달러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 기조의
이어 "800만 달러 지원 건은 유니세프와 세계식량기구 등이 정부에 요청한 사안이고, 박근혜 정부도 이 두 기구와 협조하에 지원한 전례가 있다"며 "그 차원에서 통일부에서 진행하고 결정한 사안이라고 보시면 된다"고 했다.
정부는 유니세프와 세계식량계획 등 유엔 산하 국제기구 요청에 따라 북한에 800만 달러 수준의 인도적 지원을 하는
800만달러는 세계식량기구의 아동·임산부 대상 영양강화 식품제공 사업에 450만 달러, 유니세프의 아동·임산부 대상 백신 및 필수의약품, 영양실조 치료제 지원 사업에 350만 달러 등이다.
![‘대북 채찍’ 들었지만 인도적 지원은 한다…‘90억+68억’ 기사의 사진](http://image.kmib.co.kr/online_image/2017/0915/201709150503_11120923816966_1.jpg)
[출처] - 국민일보
[더피알=이윤주 기자] 정부가 800만 달러(약 90억6000만원) 규모의 대북 인도적 지원 방안을 검토하면서 찬반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14일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와 세계식량계획(WFP) 등 유엔 산하 국제기구 요청에 따라 800만 달러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21일 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의 이같은 발표에 여론은 “시기상조”와 “공감한다”로 극명히 갈리고 있다.
조선일보는 “아무리 인도적 차원이라고 해도 유엔 안보리 결의 채택 이틀 만에 대북 지원에 나선다면 어떻게 되나.
반면, 서울신문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와 국제기구의 인도적 지원은 별개라는 점을 간과하고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장기적 남북 관계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며 “큰 틀에서 정부의 간접 지원 방향은 옳다”고 주장했다.
![](http://image3.inews24.com/image_gisa/201709/1504488222221_1_101714.jpg)
△조선일보: 文 대통령 “전술핵 배치 반대” 정부는 대북 지원 검토
조선일보는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 미 CNN 인터뷰에서 ‘북핵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 자체 핵개발이나 전술핵 반입에
조선은 “핵에는 핵으로만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은 핵이 개발된 이후의 진리다. 핵 대 핵으로 맞서야 하는 것은 평화를
![](http://www.segye.com/content/image/2017/09/14/20170914004981_0.jpg)
△중앙일보: “전술핵 반대” “대북 인도적 지원”…왜 이렇게 서두르나
중앙일보는 “통일부 당국자가 어제 ‘유니세프와 세계식량계획 등 유엔 산하 국제기구의 요청에 따라 800만 달러를 지원하는 방안을 21일로 예정된 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며 “한 동포에 대한 지원은 800만 달러가 아닌, 그 10배, 100배라도 해야 마땅하지만 지금이 바로 그런때인가에 대해선 고개를 갸우뚱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선 국민 정서에 부합하느냐부터 문제다. 북한 6차 핵실험은 남북한 군사적 균형을 일거에 무너뜨리는 ‘게임
중앙은 또 “통일부의 거듭되는 엇박자 행보와 조급증을 꼬집지 않을 수 없다”며 “대통령과 통일부가 무언가 해야 한다는 강박감에 시달리지 말고 넓게 보고 신중히 나아갔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서울신문: 국제기구 통한 대북 지원 큰 틀에서 옳다
서울신문은 “큰 틀에서 정부의 간접 지원 방향은 옳다.
그러면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와 국제기구의 인도적 지원은 별개라는 점을 간과하고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서울은 “올해 상반기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은 지난해보다 22.4% 줄어든 2540만 달러였다고 미국의 소리방송이 보도한 바 있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709/15/2017091500209_0.jpg)
△한겨레: 대북 인도적 지원, 남북 경색 푸는 계기 되기를
한겨레는 “정부의 이번 지원이 최악의 남북관계를 개선하는 데 청신호가 되기를 바란다”며 “북한을 대화와 협상의
신문은 “지금 남북관계는 모든 채널이 끊긴 상태다.
[출처: 더피알]
북한이 지난 5월 14일 진행한 '화성-12형' 미사일 시험 발사 모습.
<사진=조선중앙TV>
'언론과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런던 지하철서 폭탄 테러 (0) | 2017.09.16 |
---|---|
세월호 화물칸 차량 블랙박스 영상 공개,. (0) | 2017.09.15 |
사드보복 손실 1조원 추산.. 롯데, 끝내 무너진 10년 공든탑 (0) | 2017.09.15 |
北, 핵실험 12일 만에 다시 미사일 도발..이번에도 일본 상공 통과 (0) | 2017.09.15 |
대북 제재 국면 속 800만달러 인도적 지원 타당한가 (0) | 2017.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