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과 건강관리

매일 물 8잔? 헷갈리는 건강 상식 5

물의 중요성을 빗대 온갖 엉터리이론과 학설이 난무하고 있다. [중앙포토]



물의 중요성을 빗대 온갖 엉터리이론과 학설이 난무하고 있다.


 [중앙포토]

 






 


'하루 물 8잔 마시면 건강해진다'는 건 7대 의학 미신



인체의 60~70%가 물이다.
 70kg 체중의 40~50kg이 물인 셈이다.
시중에는 이런 물의 중요성을 빗대 온갖 엉터리이론과 학설이 난무한다.

 육각수, 알칼리온수 등 각종 기능성 물이 인체에 어떻다느니, 현대인은 만성적인 물 부족현상이라 하루 2L 이상 마시라느니 등 물 관련 잘못된 정보와 동영상이 넘친다. 정말 그런가 따져보자.
 
인체 내 물의 역할
물은 영양성분을 비롯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는 모든 물질의 운송수단이다.
물은 영양성분을 체액에 녹여 각 세포로 운반하고, 대사 및 생리 반응이 수행되는 환경이 된다.

 대사 과정에서 생긴 각종 노폐물, 음식과 함께 섭취한 불필요한 성분을 녹여 오줌으로 배설하며 눈물, 콧물, 침,
각종 분비물이 되어 몸을 보호한다. 체온이 오를 때 땀으로 기화열을 뺏어 체온을 낮추는 역할도 담당한다.
 동시에 세포의 삼투압을 유지케 하는 중요한 기능도 있다.
 
물은 세포 내외의 농도를 맞추기 위해 마신다.
혈액, 림프액, 세포간액, 세포질액 속에는 온갖 물질이 녹아있다.
이 물질(주로 염류)의 농도는 약 0.9%다.
혈액 속의 농도가  더 높아지면 갈증이 생겨 수분을 요구하고, 낮아지면 콩팥에서 수분을 배출해 농도를 조절한다. 
 
혈액의 농도가 세포내액보다 높아지면 갈증을 느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물을 마셔 혈액을 희석해 세포 내와 농도를 맞춘다.
당연히 땀, 침 등으로 소모되는 물의 보충을 위해서도 물을 마실 필요는 있다. 



 
     
탈수로 삼투압 높아지면 세포가 수축한다(왼쪽). 물이 너무 많으면 세포팽창과 저나트륨증을 유발한다(오른쪽). 가운데는 정상 상태.



탈수로 삼투압 높아지면 세포가 수축한다(왼쪽). 물이 너무 많으면 세포팽창과 저나트륨증을 유발한다(오른쪽). 가운데는 정상 상태.

    



농도가 맞춰지지 않을 경우는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혈액의 농도가 0.9% 이상으로 높아지면 적혈구 등의 세포 내 물이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걸리는 압력이 삼투압이다.

이런 현상은 모든 세포에 동일하다.
 이런 삼투압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물질이 소금이다. 짠 음식이 갈증을 유발하는 이유다.   
고염도 음식물을 섭취하면 혈압이 높아지는데 이는 염의 농도를 맞추기 위해 물을 마셔 체액이 늘어났다는 의미다.

 체내의 물이 1%만 줄어도 심한 갈증이 일어나고, 5% 정도에서 혼수상태에 이르고, 10%가 넘으면 생명까지
위태로워진다. 
 
하루에 필요한 물의 양은?
정해진 양은 없다. 하루에 마시는 물의 양은 기후, 운동 여부, 신체조건, 먹은 음식의 양과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그런데 신체 내 물의 중요성을 대충 알아챈 반풍수가 하루에 물 7~8잔, 2L 이상 마실 것을 권장한다.   
      식사 전 30분, 식사 후 30분 등 하루에 7~8번 마시는 방법과 양까지도 알려준다.

 무슨 헛소리를! 물은 마시고 싶을 때 마시면 된다. 목이 마르지도 않는데 일부러, 혹은 무리하게 들이켤 필요까지는
없다. 물론 열이 나거나 특별하게 병적인 환자를 제외하고는.  
      이런 가설은 2007년 영국의 한 저널이 제기한 믿거나 말거나 한 주장에서 비롯됐다.

 저자도 기사의 내용이 잘못 전달됐다고 정정 보도를 내기도 했다.
 엉터리 주장이 잘못 전달된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2018년 1월 12일 뉴욕타임스에도 'No, You do not have to drink 8 glasses of water a day'라는 제목의 글이 실렸다.

"건강에 대한 잘못된 상식 가운데 아마도 불멸의 지위를 얻은 게 있다면, 하루에 꼭 물 8잔을 마셔야 한다는 거다.
결론부터 말해서 이는 사실이 아니며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주장이다"라고 했다. 
10여 년 전 영국의 BBC가 '허구로 밝혀진 7가지의 의학 미신'이라는 타이틀로 보도한 기사도 있다.
'하루에 물 8잔을 마시면 건강해진다'가 가장 첫 번째로 꼽혔다. 
 
그 이유의 연원은 1945년 식품영양위원회에서도 나온다. ‘사람에겐 하루에 2.5L 정도의 물이 필요하다’는 문장이
 보고서에 있어서다.
 그런데 이 문장만 놓고 보면 정말 쉼 없이 물을 마셔야 할 것 같은데, 바로 뒤이어 오는 문장은 이렇다.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에 있는 수분으로도 필요한 물의 대부분이 충당된다.

 과일, 채소를 먹는 것, 주스, 맥주, 심지어 차와 커피를 마시는 것도 수분을 섭취하는 일이다.
식사에 곁들이는 물만으로도 충분하다”라고.   
이에 더불어 우리가 섭취한 영양성분도 대사되어 물과 탄산가스로 변한다.

게다가 우리의 콩팥도 체액의 농도를 맞추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으니 여간해서는 심각한 탈수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 몸은 탈수증세가 오기 한참 전에 이미 수분을 보충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사진 MBN '엄지의 제왕']



우리 몸은 탈수증세가 오기 한참 전에 이미 수분을 보충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사진 MBN '엄지의 제왕']




 
물 마시는 것 자체가 나쁘다는 말이 아니다.
가장 건강한 음료를 꼽으라면 주저 없이 물을 든다. 하지만 물을 마시는 것 외에도 수분을 섭취하는 방법에는 수십 가지가 있다.

 갈증을 느끼기도 전에 이미 몸에 수분이 부족해지면 어떡하나 걱정할 필요가 없다. 
우리 몸은 탈수증세가 오기 한참 전에 이미 수분을 보충하라는 신호를 보내니까.
물을 많이 마시면 피부가 더 촉촉해지거나 건강해 보이고 주름이 줄어든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과학적 근거는
아직 찾지 못했다.
 
물을 많이 마신다고 건강해지는 건 아니다.
몸에 수분이 부족한 상태를 일컫는 '탈수 증세'는 질병이나 격렬한 운동으로 많은 땀을 흘렸을 때, 물을 마시지 못하는 상황일 때 심각해질 수는 있다.
하지만 간단한 탈수증세는 대부분 미리 징후가 나타나기 때문에 심각한 상황은 벌어지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하루에 사람이 마셔야 할 정해진 물 권장량은 없다.
 음식의 종류, 환경, 체질, 생활 습관에 따라 마셔야 할 물의 양이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이 아니라도 마실 거리는 다양하다. 그런데도 현대인은 만성적인 탈수 증세에 시달리고 있다고 하면 말이 안 된다. 
 

     
'물 중독' 걸리면 사망할 수도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부종이나 저나트륨증에 빠질 수 있고, '물 중독'에 걸리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중앙포토]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부종이나 저나트륨증에 빠질 수 있고, '물 중독'에 걸리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중앙포토]



 
학계에선 물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긴 하지만 물의 과다섭취가 가져다주는 긍정적 효과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거의 없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부종이나 저나트륨증에 빠질 수도 있다.
 체내에 수분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건강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물 중독'에 걸려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물을 많이 마시면 건강에 좋다고 알려졌을까. 의학계에서는 음료기업의 상술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결론 한마디. 물은 목마를 때 마셔라. 세간에는 좋은 물, 나쁜 물, 기능성 물 운운하며 물에 대해 말이 많다.
육각수, 이온수, 전해환원수, 수소수, 탄산수 등 되지도 않은 다양한 기능성 물이 넘쳐난다.
소비자들을 물 먹이는 이런 사기성 상품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룰 예정이다. 

 
     
이태호 부산대 명예교수 leeth@pusan.ac.kr
 

[출처: 중앙일보]








물을 마셔서 갈증을 해소하는 것은 간단해 보이지만 외부 자극에 대한 뇌 신경세포의 반응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  미국 하버드 공중보건대 제공



▲ 물을 마셔서 갈증을 해소하는 것은 간단해 보이지만 외부 자극에 대한 뇌

 신경세포의 반응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


미국 하버드 공중보건대 제공





물 얼마나 마셔야 좋을까


중앙시삭전핵’이 갈증 해소 등 뇌 전달… 성인 몸무게X0.03 = 하루 물 섭취량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고 본격적인 봄이 시작된다는 ‘경칩’(驚蟄)이 지났다.

 경칩에는 고로쇠나무 밑동에 상처를 내 수액을 받아 마시는 풍습이 있다.

 경칩에 고로쇠 수액을 마시면 한 해 동안 병에 걸리지 않고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속설이 있다.


4월 말이면 돌아오는 24절기 중 하나인 곡우에도 자작나무, 산대래, 박달나무 수액을 받아 먹는 ‘곡우물 마시기’라는

 풍습이 있다.

곡우물을 마시면 고부간의 갈등으로 생긴 속병이 치료되고 위장병과 당뇨, 신경통에도 도움이 된다는 말이 있다.

      

인체의 70% 이상이 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경칩이나 곡우 때뿐만 아니라 항상 적절한 양의 물을 마시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의학자들은 충고한다.

무더운 여름, 열사병과 일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갈증이 느껴질 때도 적절한 양의 물을 마시는 것이 필요하다.

 문제는 ‘적절한 양’이 어느 정도인가라는 점이다. 

당뇨나 만성신장염 때문에 나타나는 다음증(多飮症)은 심한 갈증을 느껴 지나치게 물을 많이 마시는 증상이다.

물을 지나치게 많이 마실 경우 혈액이 희석돼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다음증 환자들도 적정량의 물을 마셔야 한다.

혈액 속 수분이 부족해져 피가 끈적해질 경우 뇌 속 뉴런은 ‘물이 필요해’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그러면 사람들은 목이 마르다고 느끼게 되는 것.

위에 들어간 물이 혈액 속으로 스며들어갈 때까지는 10~15분 정도가 걸린다.

갈증을 느끼고 해소되는 과정은 비교적 간단해 보인다.


그렇지만 과학자들은 물이 체내에 흡수될 때까지 시간 이전에 갈증이 해소되는 느낌을 받는 이유에 대해 아직 정확히 밝혀내지 못했다.

적절한 물 섭취량을 알기 위해서는 이 과정이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고 과학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캘리포니아공과대(칼텍),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대(UCSF), 스탠퍼드대, 하워드휴즈 의학
연구소, 영국 케임브리지대 공동연구팀이 시상하부에 있는 중앙시삭전핵(median preoptic nucleus)이라는 부위가 갈증을 해소하고 물 마시는

 행동을 뇌에 전달하는 통로라는 것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인체에 필요한 적정량의 물이 어느 정도인지 밝혀내기 위한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인 과학자 이상준 연구원도 참여한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일반 생쥐와 중앙시삭전핵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유전자 편집한 생쥐를 비교한 결과, 갈증 신호가 전달됐을 때 유전자 편집된 생쥐가 일반 쥐보다 두 배 넘게 물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중앙시삭전핵이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변형된 또 다른 생쥐들은 탈수가 심한 상황에서도 갈증을 느끼지 않았다고 한다.
또 연구팀은 물이 목을 타고 넘어가는 순간 중앙시삭전핵이 작동해 갈증이 해소됐다는 것을 사전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물이 체내에 흡수되기 전 마시는 행위만으로도 갈증이 사라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는 설명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 기준으로 하루 1.5~2ℓ의 물을 마시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대략 자신의 몸무게에 0.03을

 곱한 것이 적정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60㎏의 사람이라면 1.8ℓ(60X0.03) 정도를 마시면 된다는 말이다.


 그런데 한국인의 하루 물 섭취량은 0.5~0.7ℓ에 불과하다고 한다.

건강을 위해 비싼 돈을 주고 보약이나 건강보조식품을 섭취하는 것보다 하루 권장량의 물을 마시도록 노력해 보는

것이 훨씬 저렴하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싶다.




edmondy@seoul.co.kr

[출처: 서울신문
















매일 물 8잔? 헷갈리는 건강 상식 5



입에서 입으로 퍼진 건강 통념 가운데는 전문가조차 잘못 알고 있는 내용도 있다.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 예방의학과 애런 캐럴과 레이첼 브리먼 교수가 공동 집필한 '껌을 삼키지 마세요
(Don't Swallow Your Gum)'라는 책에는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해 잘못된 의학 상식 66가지가 담겨 있다.
 이 중 국내에서도 통용되는 잘못된 상식 5가지를 알아본다.

1. 껌은 삼켜도 괜찮다?

해로울 수도 있다.
 다른 음식과 마찬가지로 껌은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돼 배설되지만 소화기관이 약한 어린이라면 위장에 오래 머무르면서 변비나 식도 막힘 등을 일으킬 수 있다.

2. 매일 물 8잔을 꼭 마셔라?

물만 이렇게 많이 마실 필요는 없다.
브리먼 교수는 "음식에 수분이 들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여러 번 발표됐는데도 한사코 물에 집착하는 사람이 많다"고
지적했다.

성인은 하루 물 2.5ℓ 정도를 마셔야 한다.
하지만 음식에도 수분이 많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물만 따로 8잔을 마실 필요는 없다.
 더운 여름이나 운동 뒤 땀을 많이 흘렸을 때 등 상황에 따라 수분 섭취를 늘리면 된다.

3. 손가락 꺾어 소리 내면 관절염 생긴다?

버릇처럼 손가락을 꺾어 뚝뚝 소리를 내면 왠지 손가락 관절염에 걸릴 것 같다.
그러나 이것도 근거 없는 속설이다.
손가락을 자주 꺾으면 손가락 관절을 싸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지고 자칫 인대를 손상시켜 관절을 변형시킬 수 있으나 관절염과는 아무 상관없다.

4. 하루에 한번은 대변을 봐야 한다?

절반만 맞는 말이다.
 규칙적인 대장 운동은 변비와 더부룩함을 막아 준다.
그러나 완벽하게 건강한 사람도 화장실에서 '큰 것'을 매일 보지 않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화장실을 일주일에 3회 이하로 가거나 수분 함량이 적어 변이 단단하다면 변비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5. 폐경 이후엔 성욕이 뚝 떨어진다?

생리가 멎었다고 여성의 성생활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미국인의 성생활을 설문 조사한 결과, 50대 여성의 절반가량이 한 달에 수차례 성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리먼 박사는 "폐경으로 인한 안면 홍조 등 때문에 성욕이 일시적으로 줄어들 수는 있지만 폐경과 성욕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고 말했다.








 [사진=Africa Studio/shutterst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