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과 건강관리

아스피린 4년 복용시 위암발병률 37%↓

아스피린의 위기와 성장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아스피린 복용(제공=서울대병원)

 



아스피린 사진


조선일보 DB



아스피린 4년 복용시 위암발병률 37%↓



서울대연구팀, 아스피린 복용시 위암 상관관계 분석
건보 빅데이터 건강검진자 46만명 7년간 추적 조사
연구팀 "3년이상 복용 위암발병률 감소 유의적 의미"  



【서울=뉴시스】강세훈 기자 = 아스피린을 장기간 복용하면 위암 발병률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1저자 김민형 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건강검진자
46만1489명의 결과를 7년간(2007-2013년) 추적 관찰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아스피린은 혈소판 효소(사이클로옥시제네이즈)를 억제해 혈소판 응고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어
심혈관계 고위험군에서 항혈소판 약제로 널리 사용된다. 
최근에는 아스피린이 항혈소판 기전과 암세포 자멸사 기전 등으로 항암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으며일부 연구에서는 아스피린이 대장암과 위암 등의 발병률을 줄여준다는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다양한 위암 유발인자들을 고려하거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위암 예방 효과를 분석한 연구한 결과는 없었다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박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46만명의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코호트 종단 연구를 실시했다.
대신 성별, 나이, 소득수준, 흡연여부, 알콜섭취 횟수, 운동여부 등 다양한 건강관련 교란 요인들은 통제한 후 분석했다.

 연구결과 아스피린 누적 사용기간이 늘어날수록 위암 발병률이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1~2년간 누적 사용한 경우 4%, 2~3년간 15%, 3~4년간 21%, 4~5년간 37%로 사용기간에 비례해 감소했다. 
연구팀은 “누적 사용량과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는 단순 상관관계보다 한단계 높은 연관성을 시사한다”며 “특히
 아스피린 3년 이상 사용자에서 위암 발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보여줬다”고 전했다.

 김민형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아스피린 장기 처방군에서 위암 발병률이 낮다는 주장을 보다 뒷받침하고 있지만,
아스피린 장기 처방 대상자를 넓혀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박상민 교수는 “미국 FDA는 2017년부터 약물 신규 적응증 허가 과정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검증된 결과를 인정하기 시작했다”며, 이번 연구는 “약물 안전성 모니터링에 있어 기존의 수동적인 부작용 보고 시스템을 넘어,
전국단위 보험청구 빅데이터를 활용한 능동적인 모니터링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미국위장관학회지(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최근호에 발표됐다.





391494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사진 제공 = 식약처 약학정보원]








아스피린 사용 많을수록 위암발병률 낮춰 


         

서울대병원 박상민 교수팀,


46만1489명 건강검진 7년간 추적 조사




아스피린은 혈소판 효소(사이클로옥시제네이즈)를 억제해 혈소판 응고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어 심혈관계 고위험군에서 항혈소판 약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아스피린이 항혈소판 기전과 암세포 자멸사 기전 등으로 항암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아스피린이 대장암과 위암 등의 발병률을 줄여준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아스피린 누적 사용량이 많을수록 위암 발병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위암 유발인자들을 고려하거나 누적 사용량에 따른 위암 예방 효과를 분석한 연구한 결과는 없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1저자 김민형 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46만1489명의

건강검진 결과를 7년간(2007-2013) 추적 관찰 후, 아스피린 누적 사용량과 위암 발병률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박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코호트 종단 연구를 통해 성별, 나이, 소득수준, 흡연여부, 알콜섭취 횟수, 운동여부 등

 다양한 건강관련 교란 요인들을 통제 후 분석했다.

 


 


연구결과, 아스피린 누적 사용 기간이 늘어날수록 위암 발병률이 감소했다.



▲ 위암발생률


세부적으로 1-2년간 누적 사용한 경우 4%, 2-3년간 15%, 3-4년간 21%, 4-5년간 37%로 사용기간에 비례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박 교수팀은 “누적 사용량과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는 단순 상관관계보다 한 단계 높은 연관성을 시사한다”며, “특히

 아스피린 3년 이상 사용자에서 위암 발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김민형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아스피린 장기 처방군에서 위암 발병률이 낮다는 주장을 보다 뒷받침하고 있지만,

아스피린 장기 처방 대상자를 넓혀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박상민 교수는 “미국 FDA는 2017년부터 약물 신규 적응증 허가 과정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검증된 결과를 인정하기 시작했다”며, 이번 연구는 “약물 안전성 모니터링에 있어 기존의 수동적인 부작용 보고 시스템을 넘어,

전국단위 보험청구 빅데이터를 활용한 능동적인 모니터링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미국위장관학회지(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최근호에 발표됐다.



박상민 교수







(출처=바이엘)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에 대한 오해와 진실


내시경 검사 받기 전,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중단해야 할까?


[현대건강신문=여혜숙 기자] 1 년 전 심근경색을 경험해 혈전생성의 위험성이 있는 김순자씨(여∙만 68세)는 심혈관질환 재발 방지 목적으로 하루 한 알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다. 

매년 이맘때쯤 건강검진을 받아 왔던 김씨는 올해도 건강검진을 앞두고 지인과 대화를 나누던 중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지 않으면 위장관내시경 검사 시 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말을 듣고 고민에 빠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자니 심혈관질환 발생이 걱정되고, 계속 복용하자니 지인의 말이 마음에 걸렸기 때문이다.

심혈관질환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김순자씨와 같은 고민에 빠진 적이

있을 것이다.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 1위, 한국인의 2위 사망원인으로, 심장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이상이 생긴 질환을 포함한다.

 고지혈증∙고혈압∙당뇨병과 같은 선행질환과 더불어 비만∙흡연∙운동부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그 중 저용량 아스피린은 혈전 생성을 억제해 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심혈관계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입증돼 심혈관질환 예방 및 재발 방지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저용량 아스피린 제품으로는 바이엘의 ‘아스피린프로텍트’가 있다.


저용량 아스피린의 혈전 생성 억제 효과는 바로 김순자씨를 고민에 빠뜨린 원인이기도 하다.

저용량 아스피린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지만, 동시에 과거에 궤양이 있거나 소염진통제를 같이 복용하는 경우 출혈 발생 위험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


그러나 사례와 같이 심혈관질환을 경험한 환자의 경우, 재발 방지를 위해 아스피린 복용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환자 스스로 결정해 무작정 복용 중인 아스피린을 끊어서는 안 된다. 아스피린을 둘러싼 정보들, 어디까지가

 진실일까?


오해 1. 내시경 검사 받기 전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내시경 검사 또는 시술의 종류에 따른 출혈 위험도와 환자의 기저질환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에 대해서 꼼꼼히 짚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아시아태평양소화기학회(APAGE)와 아시아태평양소화기내시경학회(APSDE)가 2018년 발표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출혈 위험이 큰 초고위험 내시경 시술이 아니라면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지 않아도 된다고 권고했다.


 오히려 혈전 발생 위험이 높은 환자의 경우에는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심혈관질환이 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시경 검사 또는 시술이 예정돼 있다면, 아스피린 복용 지속 가능 여부에 대해 아스피린 처방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오해 2. 치과치료 전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혈이 필요하지 않는 발치 및 치과 수술은 출혈 저위험 수술로 간주된다.

2017년 치의학 임상연구 저널(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Dentistry)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환자의 일반적인 건강 상태는 치과 시술보다 중요하며, 치과 수술 시 지혈 방법을 통해 출혈을 잘 조절하면서 아스피린을 포함한

 항혈소판제 복용을 지속하는 것이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과 시술을 포함한 모든 수술 전, 아스피린 처방의에게 수술 사실을 알리고 복용 지속 가능 여부에 대해 상담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오해 3. 고령일수록 저용량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면 출혈 위험이 커진다?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시 심혈관질환 예방에 대한 이득과 출혈 부작용에 따른 위험성이 충분히 검토돼야 한다.

2017년 란셋(Lancet) 저널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심혈관질환 재발 방지를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는

고령의 환자의 경우 출혈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나 위산분비를 억제해 주는 프로톤펌프억제제(PPI, proton pump

 inhibitor)를 함께 복용 시 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PPI는 역류성 식도염, 위궤양 등의 치료를 위해 널리 처방되고 있는 약물로, 장기간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환자가 함께 복용할 경우 위장관 출혈 위험을 70~90% 감소시켜 준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최유정 교수는 “시술의 출혈 위험성과 환자의 동반질환 여부 및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를 고려해 환자 상태에 따라 시술 전 아스피린 복용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며, “이를 결정할 때, 반드시 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확인하고 전문의의 의견에 따라 복용 중단이 필요한지, 복용을 지속해야 하는지 결정해야 한다.


특히 최근 관상동맥질환으로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환자는 시술이나 수술 시 아스피린을 중단했을지라도 이후 가급적 빨리 재복용 해야 함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스피린의 탄생







천연 진통제, 버드나무






아스피린의 역사



아스피린의 탄생



아스피린은 1899년 독일의 제약회사 바이엘이 출시한 진통•소염•해열제로, 버드나무에서 추출한 살리실산 성분을

 이용해 만들어졌다.

 20세기 말, 아스피린이 심뇌혈관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밝혀지면서 재조명되어, 현재까지 새로운 효능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원전 1543년경에 쓰인 파피루스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3000년경부터 고대 이집트인들은 버드나무를 진통제, 소염제로 사용했다.


고대 그리스의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 또한 기원전 400년경, 버드나무 껍질을 고통을 완화하고 열을 내리는

 목적으로 이용했다.

이처럼 버드나무를 천연 진통제로 사용하는 민간요법이 고대부터 전해져왔다.







살리신산 발견

19세기, 잇따른 전쟁으로 인해 진통제의 수요가 급증하자, 유럽에서는 버드나무 추출물을 화학 정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다. 화학자들은 연구 끝에 정제 성분을 얻었고, 버드나무의 라틴어 이름 '살릭스(Salix)'에 착안해 '살리실산(

Salicylic Acid)'이라는 성분명을 지었다.






살리실산 연구의 시작




살리실산 연구의 시작

살리실산은 진통, 해열, 류마티즘 치료 등에 효과가 있었지만, 쓴맛이 강했고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었다.

독일의 제약회사 바이엘(Bayer)에서 일하던 펠릭스 호프만(Felix Hoffmann)의 아버지도 류마티즘을 앓아, 살리실산을 복용했지만 불쾌한 맛과 부작용 때문에 괴로워했다. 호프만은 아버지의 지병을 동기로, 살리실산에 관한 연구를 시작

했다.





아스피린 출시



아스피린 출시



1897년, 호프만은 살리실산에 아세트산을 순수하고 안정적인 형태로 합성해, 위에 부담을 줄이고 맛을 개선한 '아세틸살리실산'을 개발했다.

바이엘은 수차례의 실험을 거쳐 '아세틸살리실산'이 진통과 소염 작용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1899년, 아스피린

(Aspirin)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했다.





살리실산 연구의 시작



알약 아스피린의 탄생과 해외 진출


아스피린은 뛰어난 효능으로 의사들에게 인정을 받으면서, 출시와 동시에 큰 호응을 얻었다.

 그리고, 출시 다음 해인 1900년 바이엘은 기존 가루 형태가 아닌 정제 아스피린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정량 복용이 가능해졌고, 큰 인기에 힘입어 아스피린은 미국, 영국 등 해외로 수출되었다.








Chapter 2아스피린의 위기와 성장


아스피린의 위기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체결된 1919년 베르사유 조약으로 바이엘의 국외 자산이 몰수되었다.

이는 바이엘 크로스와 아스피린을 포함한 모든 특허권과 상표권을 포함하는 것이었고, 그 결과 각국에서 아스피린의

복제품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아스피린 바이엘의 십자가


바이엘 크로스

아스피린의 복제품이 급증하자, 바이엘은 차별화를 위해 아스피린에 ‘바이엘 크로스(십자가 로고)'를 새겨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후 ‘아스피린’이 일반 명칭이 되면서, 수많은 제너릭 의약품(generic medicine, 복제약)이 등장했으나, 바이엘 크로스를 통해 소비자들은 ‘바이엘의 아스피린’을 구별해낼 수 있었고, 바이엘은 진통제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아스피린의 성장


아스피린의 성장



1910년대 말 전세계를 덮친 스페인 독감이 아스피린의 명성을 단단히 굳혀주었다.

 아스피린이 독감을 막아준 것은 아니지만, 환자들의 통증 완화에 도움을 주며 1918년에서 1920년 사이 아스피린의

생산량과 판매량이 2배 이상 증가했다.


이후, 진통 소염 해열제의 상징이 된 아스피린은 가정상비약으로 사랑받으며, 1949년에 가장 많이 팔린 의약품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아스피린의 성장 경쟁 브랜드의 위협


경쟁 브랜드의 위협


1950년대 후반, 위에 부담을 주지 않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성분으로 만들어진 진통제들이 연달아 출시

되었다.


경쟁 브랜드는 위장 출혈, 속 쓰림 등 아스피린의 부작용을 부각하는 광고를 내보냈다.

아스피린은 이러한 광고에 반박하는 광고를 내보냈지만, 이미 이미지에 큰 타격을 받았고 미국 내 판매량 1위 자리를

 경쟁 브랜드에 내주었다.




아스피린의 재발견






아스피린의 원리 발견





Chapter 3아스피린의 재발견



아스피린의 원리 발견


아스피린은 널리 복용 되며 약효를 인정받았지만, 작용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고 있었다.

1971년, 영국 약리학자 존 베인(John Vane)은 아스피린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통증과 염증을 유발하는

 산화 지방산) 생성에 작용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베인은

 이 연구로 198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고, 아스피린의 활용 가능성을 넓혔다.







아스피린과 심혈관 질환


1970년대 들어, 아스피린의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성분과 혈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78년, 캐나다의 연구팀은 아스피린이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생성을 막아 심장 발작을 일으킬 가능성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같은 원리로, 아스피린이 뇌졸중 발생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스피린 제2의 부흥기



제2의 부흥기


미FDA는 1985년 아스피린을 심장 마비 및 불안정 가슴조임증을 앓은 적이 있는 환자들과 뇌졸중 재발 및 일과성

뇌허혈 발작 예방 의약품으로 승인했으며, 1998년 심혈관 질환 2차 예방 의약품으로 승인했다.

1989년에 발표된 『의사들의 건강연구(The Physicians’ Health Study)』에서도 아스피린을 하루 한 알 복용하면

 심근경색 발생률을 낮출수 있다고 밝히지며, 아스피린은 제2의 부흥기를 맞이했다.






아스피린의 현재


아스피린의 현재


아스피린은 진통, 해열제를 뜻하는 일반 명사로 쓰일 정도로, 보편적이면서 상징적인 의약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오늘날 아스피린은 진통, 해열제를 넘어 순환기 질환 치료제로도 각광받고 있다.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을 권고하고 있으며, 약 100개국에서

심혈관질환 2차 예방제로 승인되어 판매되고 있다.









아스피린의 잠재력


뇌졸중 및 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아스피린의 작용에 관한 연구들을 계기로, 아스피린의 잠재적인 효능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아스피린의 뇌졸중 재발 예방 효능에 착안하여,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에도 효과를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아스피린의 암 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희망적인 결과를 얻으면서, 아스피린은 또 다른 전환점을 맞이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바이엘 공식 홈페이지 : www.bayer.co.kr










▲알약이 든 약병(출처=게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