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알록달록 ‘페디큐어’ 멋내다 손·발톱 무좀 걸린다
일반 무좀보다 치료 훨씬 힘들어…
최신 레이저 복합치료 효과 좋아
매년 여름이면 무좀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노출이 많은 요즘, 젊은 여성은 물론 중·장년층까지 즐겨하는 ‘페디큐어(Pedicure·사진)’가 이런 손발톱 무좀을 옮는
페디큐어는 발톱 손질과 색을 입히는 두 단계 과정을 거친다.
페디큐어와 무좀균 감염의 상관성을 밝힌 연구결과들은 상당수 보고돼 있다.
올해 임상실험피부학회지에 발표된 또 다른 논문에선 “손발톱의 정상적인 산성의 pH(4.0~5.6)가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하는데, 젤 형태 네일을 입히는 경우 pH가 5.55~7.0까지 증가해 무좀균 감염 위험을 높인다. 소독되지 않은 도구들에 의한 감염 위험성도 증가한다”고 밝혔다.
분당아름다운나라피부과 김현주 원장은 12일 “페디큐어가 멋내기 패션 아이템이 될지 몰라도, 무좀균이 두꺼운 발톱
손발톱 무좀 치료의 성패는 두꺼운 손발톱에 파고든 무좀균을 끝까지 사멸하느냐에 달려있다. 이전에는 6~12개월간
하지만 최근에는 71도의 높은 열에너지로 무좀균을 죽이는 동시에 손발톱 재생을 돕는 ‘핀포인트 레이저’ 치료가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자리 잡았다.
강남아름다운나라피부과 이상준 원장은 “특히 무좀균에 감염된 100개의 엄지발톱(환자 86명)을 대상으로 레이저와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출처] - 국민일보
발 예쁘게 보이려 했더니, 발톱 무좀이?
샌들을 자주 신는 여름 시즌, 최근 시중에 많이 나오는 페디큐어 스티커를 사용한 A 씨, 예쁜 디자인은 물론 접착력이 좋고 쉽게 떨어지지 않아 한 달 정도 붙이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스티커가 떨어져 떼 보니 발톱 색이 탁해지고 두꺼워지며 각질이 벗겨지기 시작했다.
바로 발톱 무좀이 생긴 것이다.
손발톱 무좀은 손발톱 진균증이라고도 하는데 곰팡이의 일종이 피부사상균이 발톱이나 손톱에 감염되어 발생한다
. 여름에 손이나 발에 붙이는 매니큐어, 페디큐어 스티커, 팁을 붙이고 있으면 빛이 차단되고 샤워나 목욕할 때 생기는 습기를 완벽하게 말리지 못한다.
그 결과 발톱 표면에 습한 환경이 오래 남아 곰팡이가 잘 증식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제품을 일주일 정도만 사용하면 안전하지만, 발톱의 경우 저절로 떼어지지 않는 이상 신경 쓰지 못하고 손톱과 발톱 무좀에 걸리면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없어 무좀에 걸렸다는 사실을 몰라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손발톱 무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손발톱 무좀이 생기면 완치한 것처럼 보여도 쉽게 재발해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다.
먼저 무좀의 유형과 중증도에 따라 일차적으로는 바르거나 먹는 항진균제를 사용한다. 바르는 항진균제의 경우 손톱은 6개월, 발톱은 9~12개월 정도 발라주자.
손발톱 무좀이 생겼다면 주성분이 시클로피록스(Ciclopirox)인 제품을 선택하자.
이는 무좀균 자체를 박멸하는 항진균제 역할을 하는데 대웅제약 바렌굿 네일라카, 한미약품의 무조날에스 네일라카,
유한 이지케어 네일라카 등은 매니큐어 형태로 흡수가 잘 되고 효과가 오래 지속한다.
특히 바렌굿 네일라카의 경우 침투력이 뛰어나 손발톱 무좀 증상 개선에 효과적인데 여기에 습윤제인 유레아가 들어
있어 주성분의 흡수력과 침투력을 높였다.
브러시가 넓어 한 번만 발라도 잘 발리고 용량이 4mL로 넉넉해 꾸준한 치료가 중요한 손발톱 무좀에 충분하다.
손발톱 무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발톱 무좀은 이미 생기면 완치가 어렵고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진균을 옮길 수 있기 때문에 걸리지 않게
조심하는 것이 좋다.
대한의진균학회는 손발톱 무좀을 예방하고 재발을 막는 7가지 생활 수칙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손발을 항상 깨끗하고 건조하게 관리하기 ▲신발은 자주 갈아 신고, 축축해지지 않도록 신경 쓰기 ▲손톱깎이 등 손발톱 관리 도구를 다른 사람과 함께 쓰지 않기 ▲손발톱을 깎을 때 상처 나지 않게 하기 ▲공동 사용 공간에서는 가급적
개인 신발과 양말 사용하기 ▲손발톱 무좀에 걸렸다면 발수건, 슬리퍼, 욕실 매트 등을 가족과 공유하지 않기 ▲손발톱 무좀 의심 시 병원에 방문해 조기 치료하기 등이다.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무좀(발백선)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40%가량은 여름철인 7~8월에 집중됐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8/01/cc1614a4-f5a5-4185-a9a8-cd107d730f93.jpg)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무좀(발백선)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40%가량은 여름철인 7~8월에 집중됐다.
[중앙포토]
무좀 환자 7~8월에 집중…심하면 발톱 변형
“재발 많아 관리 잘 해야, 발 건조 중요”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무좀(발백선)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73만1560명 중 40%가량은 여름철에
발바닥이나 주변에 물집·딱지를 동반하는 잔물집형, 발바닥 전체에 걸쳐 두꺼운 각질이 형성되는 각화형도 있다.
무좀과 유사한 증상이라고 해도 무좀이 아닐 수 있다. 이양원 건국대병원 피부과 교수는 “무좀이 의심되는 발바닥 피부의 각질을 긁어내 현미경 검사를 통해 곰팡이를 확인하는 것이 진단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곰팡이를 발견하는 게
여름철 무좀은 통풍이 잘 안 되는 운동화나 꽉 끼는 가죽구두를 자주 신는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발가락 사이 비좁고 습한 공간에서 무좀균이 잘 자라기 때문이다.
무좀의 기본적인 치료는 연고인 국소 항진균제를 하루 두 번 정도 바르는 것이다.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도 자칫 발톱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손질 과정에서 보호막이 사라져 세균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데다 비위생적 도구가 원인이 돼 무좀균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8/01/548ebd68-154a-4beb-b703-2388ab68ef00.jpg)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도 자칫 발톱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손질 과정에서 보호막이 사라져 세균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데다 비위생적 도구가 원인이 돼 무좀균에 노출될 가능성도 있다.
[중앙포토]
무좀은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서 관리가 중요하다. 대부분 환자가 초기에 일부 증상이 완화됐단 이유로 완치가 된 줄
여름철 형형색색의 매니큐어를 칠하는 것도 자칫 발톱 건강을 해칠 수 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두껍고 화려해진 ‘페디큐어’, 손 발톱 무좀을 옮기거나 방치 막을 해결책은?
- 고온의 열 '레이저 치료' 로 무좀균 사멸이 효과적이며 빠른 해결책 될 수 있어
- 핀포인트레이저 + 바르는 약 병합요법 치료 상승효과
- 소아 손발톱무좀 치료에도 효과적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한여름 무더위가 절정에 다다르며 무좀이 더욱 기승을 부리는 계절이다.
무좀은 곰팡이의 일종인 피부사상균이 피부의 각질층에 파고들어 생기는 피부병. 치료에 소홀할 경우 발톱과 손톱
안까지 파고들어 자리를 잡으면 누렇고 딱딱하게 변형돼 두고두고 골칫거리로 남는다.
손발톱 무좀은 재발이 잦고 치료가 쉽지 않아 환자들의 고충이 심한 대표적인 피부질환이다.
▶페디큐어 발톱 속에 감춰진 무좀균 그냥 없어지지 않는다.
. 젊은 여성들 주의해야=최근 10대부터 4,50대 중년층,
심지어는 멋쟁이 노인들까지 확산된 노출 패션 아이템이 바로 페디큐어(Pedicure)다. 매니큐어로 손톱을 관리하는 것을 넘어 이제는 열 개의 모든 발가락을 화려한 색과 무늬로 치장하는 것이 유행을 타고 있다.
여성들은 형형색색 예쁘게 발톱을 화장하고 간편하고 가벼운 발가락 샌들을 착용해야만 비로소 여름 패션이 완성된다고 여기는 모양새다.
그러나 페디큐어는 멋내기 패션아이템으로는 좋을지 몰라도 손, 발톱 건강에는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무좀 곰팡이균의 전염 가능성이 항상 열여 있기 때문이다.
페디큐어는 대체로 발톱 손질과 색(컬러)을 입히는 두 단계 과정을 거친다.
우선 발톱을 짧게 다듬거나 발가락 주변의 큐티클을 제거하는 손질 과정에서 발톱의 보호막이 사라져 세균 감염의 가능이 열려 있고, 비위생적인 도구를 사용하면 타인의 무좀균을 옮길 가능성도 커진다.
또한 흔히 사용하는 아세톤은 휘발성이 강해 발톱의 수분과 영양을 취약하게 하며, 컬러를 입히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 등은 장기적으로 발톱이 부석해지고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또한 페디큐어를 오래 하고 있을 경우 손발톱의 표면에서 틈이 생기면서 물기가 틈사이 남아있게 되어 무좀균이 증식하기 좋은 습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분당 아름다운나라피부과 김현주 원장(피부과전문의)은 “과거 무좀이 생긴 후 손발톱 무좀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면 최근에는 페디큐어 등 손, 발톱 관리 과정에서 전염성이 강한 무좀균에 감염되는 경우가 있다”며 “무좀균이
두꺼운 손발톱 화장 속에 갇히면 장기적으로 손발톱의 변색과 변형을 초래해 발 건강을 해칠 위험성이 커진다”고 당부했다,
강남,분당 아름다운나리피부과에서 2018년 손발톱 무좀으로 진료 받은 환자 2,800건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여성이
58%로 많았으며 10~30대 사이 젊은 층이 47.4%나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아름다운나라 이상준 원장은 "주로 중장년층 질환으로 여겨졌던 손발톱 무좀이 비교적 이른 나이에도 나타나 예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두꺼운 손발톱에 생긴 무좀 ‘고온의 열'로 진균을 없애는 것이 관건! =그렇다면 손발톱에 침투한 무좀균을 없애고 손
발톱을 건강하게 회복하는 효과적은 방법은 무엇일까?
손발톱 무좀 치료의 성패는 두꺼운 발톱에 파고든 무좀균을 끝까지 사멸하는 것이 관건이다.
과거 6~12개월간항진균제를 바르거나 또는 간 손상이나 위장장애 위험을 감수하며 오랜 기간 약을 복용해야 했다.
최근에는 고온의 열 에너지로 무좀균을 사멸하며 동시에 손발톱의 재생을 돕는 레이저치료가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자리잡았다. '레이저를 이용한 손발톱무좀 치료법'이 지난 2015년 보건복지부 신의료 기술로 등재된 이후부터다.
손발톱 진균증 치료로 허가 받은 핀포인트(PinPoint)레이저는 71℃의 높은 열 에너지를 활용하는 유일한 방식이다.
주위 정상 피부의 손상없이 무좀균이 있는 두꺼운 발톱 안쪽까지 깊숙이 조사해 열에 약한 곰팡이 균을 죽이는 원리다.
강한 에너지를 한 번에 전달하는 보통의 레이저와는 달리 레이저 한개의 펄스를 10개 이상으로 잘게 쪼개서 통증이나 화상의 위험을 줄여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균을 제거한다.
또 열 전달 효과에 의해 손발톱의 진균 성장을 억제하고 감염된 손발톱이 빨리 자라 없어지도록 돕는다.
강남,분당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의료진은 손발톱 무좀 치료에 핀포인트레이저를 이용한 치료 결과를 2015년~2019년도에 걸쳐 5년 연속 미국피부과학회지(AAD)에 발표하며 효과 검증을 이어왔다. 2019년 상반기에 핀포인트 레이저와
바르는 약의 병합 치료 결과와 소아 환자의 핀포인트 레이저 치료 성공 등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레이저를 활용한 손발톱 무좀 치료의 응용과 대상이 확대되는 계기를 맞고 있다.
강남,분당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의료진은 2019년 SCI급 저널인 JMI(Journal of Mycology and Infection) 에 무좀균에 감염된 100개의 엄지 발톱(환자수 86명)을 대상으로 핀포인트 레이저와 바르는 약(에피나코나졸)을 병행한 결과 눈에 띄는 임상적 개선을 이루었다고 밝혔다.
강남,분당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의료진은 9개월 간 4주 간격으로 핀포인트레이저(평균 8.4회 치료)와 국소도포제를
사용하여 치료한 결과 70%이상에서 호전을 보였다.
기존의 레이저 단독 또는 도포 약물 단독 치료율이 25~39%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병행 치료가 2배 이상 효과가 높은 셈이다.

치료 결과에 따르면 여성이 남성보다 치료 반응이 좋고, 발톱 두께와 노화 정도에 따라 치료반응은 차이를 보였으며
신장이식을 받거나 암 치료 등으로 면역이 떨어진 환자도 우수한 치료 반응을 보여 약물 치료가 어려운 환자에게
레이저 치료로 호전을 보였음을 의료진은 밝혔다
더불어, 의료진은 소아에 대한 치료 결과도 2019년 미국피부과학회(AAD)에 발표했다. 조갑의 변형으로 병원을 찾아
진균검사결과 진균이 검출된 소아에게 핀포인트 레이저와 국소도포제를 병합해 무좀균 사멸과 발톱 재생 등 호전을
이룬 사례다.
이러한 '핀포인트레이저 + 바르는 약' 병합 치료는 치료효과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고, 치료 중 일상생활이 가능해
직장인과 중 장년층뿐만 아니라 약 복용이 원활하지 않은 질환 보유자, 여성과 노인, 소아에게 안심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강남 아름다운나라피부과 김형섭 원장(피부과전문의)은 “장기간 무좀 약 복용이 어려운 경우, 또 당뇨,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자의 경우 치료 자체가 쉽지 않다”며 “핀포인트레이저 치료는 이런 경우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으며, 핀포인트레이저와 함께 바르는 약을 병행했을 때 치료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형섭원장은 "손발톱 무좀 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피부과 전문의로부터 정확한 병변 확인과 진단을 통해 무좀균 존재 여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더불어 "조갑박리증이나 접촉성 피부염,농포선 건선 등도 손발톱무좀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라고 말했다.
손발톱무좀은 무좀균 검사(KOH, 과산화칼륨액 도말 검사법)로 진단하며 환자에 따라 진균 배양검사나 피부 조직
검사가 필요 할 수 있다.
여름철 재발하는 발톱무좀, 피부과 핀포인트 레이저 치료로 개선 가능" 장마철이 한철 지나고 나니 습한 날씨 때문에 손발톱 무좀이 심해지거나 재발하여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곰팡이 균인 무좀은 아무래도 덥고 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다 보니 특히나 여름철에 더욱 기승을 부리게 된다. 발톱무좀의 경우 무좀을 오랜 기간 방치하거나 치료 없이 두게 되면 곰팡이 균의 감염을 통해 발생하게 된다. 곰팡이 균은 습한 곳을 찾아 퍼지는 생활 속 곰팡이와 같기 때문에 신체에서도 번식하며 퍼진다. 발에서 시작된 무좀이 발가락이나 발톱 등 각질이 많고 습하고 따뜻한 곳으로 파고 들어가면서 생겨나는 것이다. 이러한 발톱무좀은 오래 방치하게 되면 발톱 끝부터 황색으로 변한다. 심한 경우에는 발톱이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초기에 치료가 중요하다. 보통 무좀 치료는 1차적으로는 항진균제 연고를 병변 뿐만 아니라 그 주변까지 포함 해서 꾸준하게 발라야 한다. 하지만 무좀이 심해져 손발톱까지 감염이 된 경우에는 먹는 항진균제를 피부과 전문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약을 많이 복용하고 있거나 간염보균자, 간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이 있는 경우, 임산부나 수유부, 위장 이 좋지 않아 꾸준히 약복용이 힘든 분들의 경우에는 먹는 무좀약으로 치료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어 레이저 시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발톱무좀은 미국 FDA, 한국 KFDA 승인을 받은 핀포인트 레이저로 치료가 가능하다. 1064nm 파장을 갖는 엔디야그 레이저인 핀포인트는 손톱, 발톱 무좀을 일으키는 곰팡이 균에만 선택적으로 강한 에너지를 전달하고 파괴하여 주변 정상조직을 손상 없이 보호할 수 있는 기술로 개발된 무좀 전용 치료 레이저이다. 손톱, 발톱에 생기는 무좀은 딱딱하고 단단하기 때문에 일반 무좀 치료제가 흡수되는 것이 어려워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손발톱 깊이 침투된 곰팡이 균을 파괴하는 것이 중요하다. 손발톱 무좀 전용 치료 레이저인 핀포인트는 곰팡이 균만을 파괴하여 건강한 손발톱이 자라도록 도와주며 통증은 적어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전혀 없는 시술이다. 김포 구래동 리멤버피부과 김포점 김한수(피부과 전문의) 원장은 “손발톱 무좀을 없애기 위해서 여러 방법을 시도해 보는 사람들이 많지만 먼저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 후 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핀포인트 레이저 시술은 전문성을 갖춘 숙련된 피부과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이다”라고 조언했다. 한현숙 기자 webmaster@rapportian.com <저작권자 © 라포르시안, |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더욱 활발하게 활동해 여름철이면 더욱 기승을 부리는 손발톱 무좀은 곰팡이균의 일종인 피부
특히 땀이 많이 나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신발을 오랜 시간 신고 있거나, 워터파크나 찜질방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비치되어 있는 공용 슬리퍼의 사용 등으로도 무좀균에 감염될 수 있어 여름철에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손발톱무좀을 제때에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손톱, 발톱이 누렇게 변색되고 두꺼워지는 등의 변형이 심해지고, 전염성이 강해 함께 생활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옮길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신속하고 꾸준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그 동안은 무좀의 치료 방법으로 바르는 약이나 복용하는 약물을 통한 치료가 일반적이었으나 치료기간이 길고 임산부나 고혈압, 간질환자 등은 치료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손발톱무좀을 치료할 때에 레이저 루눌라와 핀포인트를 이용하여 손톱무좀, 발톱무좀을 치료한다. 핀포인트 레이저는 고온의 열에너지가 발톱 안쪽까지 침투하여 무좀균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며, 광화학적 치료로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
루눌라레이저는 장비에 발을 넣어 자동으로 레이저가 환부에 360도 조사되는 방식으로 발톱과 발톱 주변의 항균작용, 세포재생을 돕고 면역력을 높여준다. 특히 시술 시 통증이 없고, 바로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에는 외부활동 후에는 반드시 손발을 깨끗하게 씻고, 옷과 신발도 잘 말려 습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손발톱무좀을 예방할 수 있다.

발톱 갈라지고 두꺼운데 무좀 아니다? 무좀약 낭비 마세요
손발톱이 두꺼워지거나 색이 변하면 손발톱 무좀으로 여기고 무좀약을 사 바른다. 하지만 손발톱 변형의 절반 정도만 손발톱 무좀이 원인이고, 나머지는 무좀과 비슷한 다른 질환이다.
손발톱 무좀과 헷갈리는 대표적인 질환은 ▲손발톱 박리증(손발톱이 여러 층으로 분리됨) ▲오목 손발톱(표면에 얕은
홈이 패임) ▲손발톱 거침증(표면이 거칠어짐) 등이다.
손발톱 박리증이나 오목 손발톱은 주로 외부 자극 때문에 생긴다.
손발톱이 딱딱한 물체에 자주 부딪히거나, 운동을 하거나, 매니큐어를 자주 바르는 사람에게 잘 생긴다.
손발톱 거침증은 습진의 한 종류다. 아토피 피부염이 있어도 손발톱 거침증이 나타날 수 있다.
눈으로 보기에는 무좀과 다른 손발톱 질환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의심되는 증상이 생겼다면 무작정 무좀약을 바르기보다는 병원에서 간단한 무좀균 검사를 한 뒤에 치료를
시작하는 게 좋다.
손발톱 표면을 긁어낸 뒤 수산화칼륨 용액에 넣어 20분 정도 기다리면 무좀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무좀이 맞다면 무좀 치료를 시작하면 되고, 아니라면 원인에 맞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 등을 손발톱 밑에 주사하거나, 약을 복용하는 식이다.
한편, 손발톱 변형을 막기 위해서는 평소에 손발톱을 짧게 자르는 게 도움이 된다.
장마철 무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발의 습기를 제거하고 항상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향DB
'의학과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백신 예방접종, 이것이 궁금하다 (0) | 2019.10.25 |
---|---|
전날 밤 꾼 꿈으로 내 건강 상태를 확인한다? (0) | 2019.08.30 |
합병증이 더 무서운 당뇨병.. 금연·정기 검사 필수 (0) | 2019.08.20 |
무더위에 찬 음식 즐기다 심해진 ‘과민성대장증후군’, 문제는 담 독소 (0) | 2019.08.17 |
'꼬부랑 노년' 면하려면, 3대 항중력근 키워라 (0) | 2019.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