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과 시사

카리브해 섬 화산 폭발에 주민 1만6천명 대피.."폭발 이어질 것

 

 

 

 

화산재와 연기 내뿜는 수프리에르 화산 [로이터=연합뉴스]








  수푸리에르 화산이 폭발하면서 솟은 거대한 연기 기둥이 주택가에서도 보이고 있다.
사진=AP/뉴시스

 

 

 

 

 

 

 




카리브해 섬 화산 폭발에 주민 1만6천명 대피.."폭발 이어질 것


(멕시코시티=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 = 카리브해 세인트빈센트섬에 위치한 수프리에르 화산이 40여 년 만에 폭발했다.
인근 주민 1만6천여 명이 긴급 대피에 나섰다.
AP·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9일(현지시간) 오전 8시 40분께 카리브해 섬나라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서 가장 큰 섬인 세인트빈센트섬의 수프리에르 화산에서 폭발성 분출이 일어났다.
폭발 이후 6㎞ 높이까지 치솟은 화산재 기둥과 연기로 인근 마을이 어둠으로 덮이기도 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규모가 작은 폭발들도 이어졌다.
카리브해 각국에 분교를 둔 웨스트인디스대 지진센터의 이루실라 조지프 센터장은 "이제 시작일 뿐"이라며 추가 폭발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후속 폭발의 규모가 어느 정도일지는 예측 불가능하며 화산 활동이 몇 주에서 몇 달까지도 이어질 수 있다고 조지프 센터장은 덧붙였다.






화산재와 연기 내뿜는 수프리에르 화산 [로이터=연합뉴스]

 

 

 

해발 1,234m 수프리에르 화산이 마지막으로 폭발한 것은 지난 1979년 4월이었다.
예보가 내려진 덕에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1억달러(약 1천121억원)의 재산 손실이 발생했다.
1902년 폭발 당시엔 1천600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이번 폭발로 인한 사망이나 부상은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폭발이 있기 전 화산 인근 주민들에겐 대피령이 내려진 상태였다.
최근 수프리에르 화산의 심상찮은 활동을 예의주시해온 전문가들은 전날 지진 관측 후 당국에 폭발 가능성을 알렸고, 랠프 곤살베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총리는 전날 오후 약 1만6천 명의 위험지역 주민에게 대피를 명령했다.
현재 정부가 마련한 62곳의 대피소에 2천 명 넘는 주민들이 대피해 있다.








화산 폭발 후 대피하는 주민들 [로이터=연합뉴스]



당국은 일부 주민들을 크루즈선에 태워 인근 다른 섬으로 대피시킬 계획이다.
세인트루시아, 그레나다, 바베이도스, 앤티가바부다 등 인근 카리브해 섬나라들이 피난민들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다만 크루즈선 승선이나 이웃 국가 이동을 위해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코로나19 상황이 대피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 등은 전했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카리브해 윈드워드제도에 세인트빈센트섬과 다른 작은 섬들로 이뤄진 면적 389㎢의 영연방 국가로, 인구는 11만 명가량이다.
AP통신에 따르면 카리브해 동부 지역엔 수프리에르 화산을 포함해 11개 섬에 총 17개의 활화산이 있다.
그중 영국령 몬트세랫에 위치한 수프리에르힐스 화산은 1995년 이후 지속적으로 분화가 이어져, 1997년 폭발 당시엔 19명이 사망하고 수도가 플리머스에서 브레이즈도 임시 이전되기도 했다.







수프리에르 화산이 내뿜는 화산재 기둥 [AP=연합뉴스]
mihye@yna.co.kr저작권자(c)연합뉴스.







 

과들루프 (자료=KBS)

 

 

 

카리브해 과들루프 축복의 섬이지만..'불의고리' 지진·화산 주의




[한국정경신문=김지연 기자] 과들루프가 주목을 받고 있다.
27일 오전 포털 사이트에서는 과들루프가 검색어 상위권에 랭크되며 화제를 몰고 있다. 이날 오전 방송한 ‘걸어서 세계속으로’에서 인류와 자연이 공존하는 과들루프가 소개됐기 때문이다.
방송은‘하늘을 닮은 섬, 카리브 과들루프’ 부제로 꾸며졌다. 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과들루프 섬은 하늘과 바다, 땅을 닮은 섬이다. 대서양 카리브해의 서인도 제도에 위치해 있다. 
아픈 식민과 노예의 역사를 뒤로하고 과들루프는 아름다운 풍경으로 관광객의 발걸음을 이끈다.
신들의 축복을 받은 섬이라는 별명처럼 다양한 산호초가 가득한 바닷속 풍경, 활화산의 생생한 숨결이 태초의 자연을 선사한다.
하지만 과들루프는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으로 여행에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카리브해는 일명 '불의 고리'로 통하는 환태평양지진대에 속해 있다.
지진과 화산 폭발 등의 위험이 주의되는 것이다.
같은 카리브해 섬나라 아이티에는 지난 2010년 규모 7.0의 강진으로 30만 명이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한국정경신문 김지연 기자 koreacuturein@gmail.com

 

 

 

 

 

폭발 전 연기 내뿜는 수프리에르 화산
[웨스트인디스대 지진센터/로이터=연합뉴스]

 

 

 

 

코로나에 발 묶인 화산 폭발 카리브해 섬나라 피난민


세인트빈센트섬 수프리에르 화산, 42년 만에 분화
1만6000명 대피령… 백신 안 맞으면 이웃국 못 가


40여년 만에 화산이 폭발한 카리브해의 한 섬나라 주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탓에 섬을 빠져나가는 데 애를 먹고 있다. 백신 주사를 맞지 않고는 이웃 나라로 건너가기가 힘들어서다.
외신에 따르면 9일(현지시간) 오전 8시 40분쯤 카리브해 섬나라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서 가장 큰 섬인 세인트빈센트섬 수프리에르 화산에서 폭발성 분출이 일어났다.
폭발 뒤 화산재 기둥이 6㎞ 높이까지 치솟고 연기로 인근 마을이 껌껌해졌을 정도였다. 규모가 작은 폭발들도 이어졌다.
1902년 폭발 당시에는 1,600명이 숨지기도 했지만, 이번 폭발로 인한 사망이나 부상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폭발 전 인근 주민들에게 대피령이 내려진 상태였기 때문이다.
최근 해당 화산의 심상찮은 조짐을 주시하던 전문가들이 전날 지진 관측 뒤 당국에 폭발 가능성을 알렸고, 랠프 곤살베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총리가 곧장 위험 지역 주민 약 1만6,000명에게 대피하라고 명령했다.

해발 1,234m인 수프리에르 화산이 폭발한 건 42년 만이다. 마지막으로 폭발한 때가 1979년 4월이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날로 사태가 끝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카리브해 각국에 분교를 둔 웨스트인디스대 지진센터 이루실라 조지프 센터장은 추가 폭발이 있을 것이라며 화산 활동이 길면 몇 달 동안 이어질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현재 정부가 마련한 62곳의 대피소에 주민 2,000여명이 대피해 있지만, 당국은 일부 주민을 크루즈선에 태워 인근 다른 섬으로 보낼 계획이다.
세인트루시아, 그레나다, 바베이도스, 앤티가바부다 등 인근 카리브해 섬나라들이 피난민들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하지만 코로나가 발목을 잡고 있다.
크루즈선 승선이나 이웃 국가 이동을 위해서는 백신 접종이 필요하고 이런 상황이 대피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카리브해 윈드워드제도에 세인트빈센트섬 등 여러 섬들로 이뤄진 면적 389㎢의 영연방 국가로, 인구는 11만명가량이다. AP통신에 따르면 카리브해 동부 지역에는 수프리에르 화산을 포함, 11개 섬에 총 17개의 활화산이 있다.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1970년 4월 22일 ATS-3 위성이 우주에서 찍은 지구. 첫 '지구의 날' 이었다. 지구 환경을
보호하자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세계 기념일이다. [NOAA]










▲1970년 남반구 바다 온도. 붉을 수록 온도가 높다. 바다 온도는 최근 상승하고 있다.
열대성 저기압에 많은 에너지를 공급해 강력하게 만들고 있다. [NOAA]







▲1972년 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아그네스'. 뉴욕에 피해를 끼쳤던 아그네스는
일반적 허리케인과 전혀 다른 경로로 움직여 전문가들을 당황스럽게 만들었다. [NOAA]



뒤돌아본’ 지구 50년…‘다가올’ 50년 어떤 그림

NOAA “1970년부터 50년 동안 기상이변 계속”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1970년부터 우주에서 관측한 지구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때부터 50년이 흐른 2020년 지금, 얼마나 달라져 있을까. 앞으로 다가올 50년 뒤인 2070년, 지구는 또 어떻게 변해 있을까.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최근 ‘인공위성이 찍은 50개 지구 사진’을 공개했다.

1970년부터 2020년까지 우주에서 촬영한 이미지 중 상징적 사진 50개를 선별했다.
NOAA 측은 “50개 이미지에는 생명 활동, 날씨, 대기와 환경 데이터, 치명적 허리케인, 대형 산불 등 굵직굵직한 사건들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이번 사진을 보면서 역사적 폭풍과 대형 산불, 오존홀 등을 경험했고 그런 기상이변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으로 인공위성 기술이 더 발전하면서 지구를 실시간으로 관측해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어떻게 해결점을 찾아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독 대서양의 허리케인과 관련된 이미지가 많았다. 이는 점점 강력해지고, 파괴적으로 바뀌고 있는 허리케인 양상과
무관치 않다.
폭발적 허리케인이 많이 발생하면서 카리브해는 물론 미국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
실제 2020년 대서양에는 30개가 넘는 허리케인이 모습을 드러냈다. 가장 많은 허리케인이 발생한 연도로 기록됐다.
지구 가열화(Heating)로 바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열대성 저기압은 이전보다 더 큰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 때문에 허리케인, 태풍, 사이클론 등 열대성 저기압은 앞으로 더 강력하고, 더 오랫동안 지속하는 흐름으로 악화할 것
으로 전망된다.
화산 폭발 이미지도 많이 포함됐다. 화산 폭발은 거대한 화산재는 물론 주변 인명 피해, 생태계 파괴로 이어진다.
최근 화산 폭발이 자주 일어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 또한 기후변화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화산이 폭발하면 기후변화에 재영향을 미쳐 이른바 '악순환'이 반복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2019년부터 대형 산불이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했다. 호주는 물론 미국 캘리포니아, 시베리아, 남미 등에서 산불이 일어나면서 큰 상처를 남겼다. 기후변화에 따른 고온건조한 날씨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2020년 시베리아는 섭씨 38도를 기록하는 등 이상 기후에 시달렸다.
A-68 빙산에 대한 이미지도 포함됐다. A-68은 남극에서 최초로 떨어져 나와 현재 바다를 떠돌고 있다.
그 사이 여러 조각으로 부서졌다.
이 중 하나인 A-68a의 모습이 인공위성에 포착됐다.

남대서양에 있는 영국령 사우스조지아섬과 충돌할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다.
남극 빙붕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역시 기후변화 영향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대서양에서는 무려 5개의 허리케인이 동시에 발생하는 모습도 목격됐다. 동시다발적으로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하는 현상도 이어지고 있다.

두 개 폭풍이 함께 일어나 서로 영향을 주는 모습도 확인됐다. 이른바 후지와라 효과이다.
두 개 폭풍이 인접하면서 서로 간섭, 진로와 세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말한다.
자연의 신비로운 모습도 담겼다. 개기일식이 진행될 때 달그림자가 미대륙을 적시는 순간은 경이롭다.
개기일식은 달이 태양 전체를 가리는 현상을 말한다. 불빛만이 반짝이는 미대륙의 밤도 눈길을 끈다. 인공위성 GOES(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 정지실용환경위성)가 찍은 지구 앞을 지나는 달, 자외선으로 찍은 태양 등의 사진은 태양계와 지구의 신비로움을 전한다.
46억 년 역사를 거쳐온 지구는 지금도 변하고 있다. 자연적 현상이라기 보다는 인간 활동으로 발생하는 문제여서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히고 있다
.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자고 했는데 국제 사회는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
1970~2020년까지 변화된 지구 모습을 되돌아보면서 ‘앞으로 50년’을 어떻게 그려나갈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간에
우리는 서 있다.
미래세대가 꽃길을 걷게 할 것인지, 가시밭길로 내몰 것인지는 지금 세대가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다.



◆1970년부터 2020년, 지구 50년 되돌아보다



▲1974년 미국에는 강력한 토네이도가 발생했다. '슈퍼 아웃브레이크(Super-Outbreak)
'라 부른다. 1974년 4월 이틀 동안 약 140개에 이르는 토네이도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깔때기 모양의 매우 강력한 회오리 바람인 토네이도는 미국에서 공포의 대상이다. [NOAA]









▲1974년 두 개의 허리케인이 동시에 발생했다. 서로 영향을 끼치는 이른바
'후지와라 효과'를 보여준다. [NOAA]



 

 

 

 

 

▲1975년 10월 GOES-1 위성이 발사됐고 우주에서 찍은 첫 번째 지구. [NOAA]

 

 

 

 

 

 

 

 

1979년 남반구 오존홀. 냉매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 등의 배출로 오존홀이 얇아지면서
구멍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오존층이 얇아지면 자외선이 그대로 대기권을 통과해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NOAA]










▲1980년 미국 세인트헬렌스 화산이 폭발했다. 폭발하면서 산을 무너뜨리는 거대한
눈사태가 시작됐다. 가장 강력했던 산사태로 알려져 있다. [NOAA]







▲1982년 멕시코 엘 치콘 화산이 폭발했다. 약 2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NOAA]









1984년 대서양에서 발생한 허리케인 다이애나는 해당 시즌 가장 강력한 열대성
저기압이었다. [NOAA]






 

▲1987년 오존홀.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됐고 1989년 1월 1일부터 발효됐다.
프레온 가스 등의 사용 제한이 마침내 시작됐다. [NOAA]








▲1988년 발생한 허리케인 길버트. 초강력 카테고리 5등급의 허리케인이었다. 역대 최고
허리케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NOAA]



 

 

 

 

▲1989년 미 대륙을 강타한 허리케인 휴고. 초속 약 72m의 초강풍을 동반했다. [NOAA]









1991년 미국에서 이른바 '퍼펙트 스톰(Perfect Storm)'이 발생했다. 초강력 폭풍을 말한다.
영화로도 제작된 바 있다. 지구 가열화가 '퍼펙트 스톰'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NOAA]








▲1991년 마닐라 피나투보 화산이 폭발했다. 수십 만 명이 집을 잃었고 수백 명이 사망했다.
[NOAA]

 

 

 

 

 

 

 

▲1992년 발생한 허리케인 앤드류는 중심 부근 최대 풍속이 초속 77m에 달했다. [NOAA]

 

 

 

 

 

 

 

▲1992년 허리케인 '이니키'. 하와이를 강타한 카테고리 4등급으로 강력했다. [NOAA]

 

 

 

 

 

 

 

▲1993년 '세기의 폭풍(Storm of the Century)'이라 부르는 강력한 돌풍이 미국에서 발생했다.
내셔널지오그래피는 이를 책으로 묶어 내기도 했다. 이후 기후 예측과학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했다.
[NOAA]







▲1995년 허리케인 오팔은 최대 풍속이 초속 67m를 기록했다. [NOAA]

 

 

 

 

 

 

 

 

▲1999년 미국에서 강력한 토네이도가 발생했다. 당시 미국 오클라호마주 남서부 도시인
무어에서 시속 486㎞의 토네이도가 만들어졌다. [NOAA]








▲2003년 발생한 허리케인 이사벨의 눈( Eye). 카테고리 5등급의 초강력 폭풍이었다. [NOAA]

▲2004년 미국 플로리다에는 4개의 허리케인이 연이어 강타했다. [NOAA]

 

 

 

 

 

 

 

▲2005년 발생한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특히 뉴올리언스에서 피해가 컸다. 사망과 실종 등
인명 피해는 2500여 명에 이르렀다. [NOAA]








2011년 '슈퍼 아웃브레이크' 토네이도. 2011년 4월 25일부터 28일까지 미국 남부,
중서부, 북동부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NOAA]







 

▲2012년 강력한 모래폭풍이 미국 북동부를 강타했다. [NOAA]





 

▲밤은 불빛의 다른 말일까. 밤이 깊을수록 불빛은 더 빛난다. 2012년 우주에서 본
미대륙의 밤이다. [NOAA]








2014년 GOES 위성이 관측한 미국 겨울 폭풍. 보스턴에는 기록적 폭설이 내렸고 수십 년 만에
가장 강력한 추위가 미국 본토를 강타했다. [NOAA]







▲2015년 인공위성이 관측한 북극광. 이른바 '오로라'이다. [NOAA]








2015년 심우주기후관측 위성이 찍은 달. 달 뒤편으로 지구가 보인다. [NOAA]

 

 

 

 

 

 

 

▲2016년 미국 알래스카 파블로프 화산이 폭발했다. 당시 화산재가 7000m 상공까지
치솟으면서 항공기 운항에 큰 차질이 빚어졌다. [NOAA]








▲2017년 GOES 위성이 찍은 달. 푸른 지구와 한 몸처럼 정답게 자리잡고 있다. [NOAA]

 

 

 

 

 

 

 

▲2017년 SUVI(Solar Ultraviolet Image)가 찍은 태양. 자외선으로 촬영한 것이다. [NOAA]

 

 

 

 

 

 

 

 

▲2017년 개기일식으로 달그림자가 미국을 적시고 있다. 2021년 몇 차례 개기일식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NOAA]








▲2017년 미국에서 텍사스 크기에 맞먹는 먼지 폭풍이 일었다. 텍사스 전체가 큰 고통을 받았다.
[NOAA]






 

▲2017년 발광감지장치(GLM)가 찍은 번개. [NOAA]

 

 

 

 

 

 

 

 

▲2017년 전 세계 해양의 엽록소 분포. 엽록소는 식물이 광합성 할 때 빛을 흡수하는 색소이다.
식물 플랑크톤 세포에 가장 많이 있다. [NOAA]








▲2017년 미국에 하비와 어마 등 초강력 허리케인이 미국을 휩쓸면서 곳곳에서
홍수가 발생했다. [NOAA]

 

 

 

 

 

 

 

 

▲2018년 GOES-16 위성이 자신의 후임자인 GOES-17 위성 발사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NOAA]

 

 

 

 

 

 

 

 

 

 

▲2018년 10월 31일 브라질 남부 하늘에서 번개 하나가 보스턴과 워싱턴 DC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약 709km에 걸쳐 뻗어 나갔다. 지금까지 세계 기록이다. [NOAA]








▲2019년 러시아령 쿠릴 열도 라이코케(Raikoke) 화산이 폭발했다. [NOAA]








▲2019년 태평양 북서부에서 발생한 강력한 사이클론이 위성에 포착됐다. [NOAA]







▲2019년 발생한 허리케인 도리안은 카리브해 섬나라 바하마를 휩쓸었다. 1만3000여 채의
집이 파괴되는 등 피해가 컸다. [NOAA]








2019년 호주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우주에서도 확인이 될 정도였다. [NOAA]

 

 

 

 

 

 

 

 

 

 

▲2020년 인공위성이 대서양에서 발생한 5개의 열대성 폭풍을 촬영했다. [NOAA]









▲A-68은 남극에서 최초로 떨어져 나와 현재 바다를 떠돌고 있다. 그 사이 여러 조각으로
부서졌다.이 중 하나인 A-68a의 모습이 인공위성에 포착됐다. 남대서양에 있는 영국령 사우스
조지아섬과 충돌할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다. [NOAA]










2020년 촬영한 미국 뉴욕시의 밤. 코로나19 대유행 전후로 야간조명이 줄어든 것
으로 나타났다. [NOAA]










▲2020년 발생한 사하라 먼지 폭풍. 이 먼지 폭풍은 수천 km 떨어진 남미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NOAA]









▲구름은 전 세계를 돌면서 다양한 모양을 만든다. 이중 '본 카르만 소용돌이'는 특히 눈에
띈다. 물체가 앞으로 나아갈 때 공기 등과 부딪히면 양옆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대기는 장애물을 만나면 그 흐름과 방향이 바뀌는 유체이다. 유체 흐름이 방해받으면 언제든
'본 카르만 소용돌이'가 만들어질 수 있다. [NOAA]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고온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대형산물이
많이 발생했다. [NOAA]










카테고리 4등급의 로라는 최대 풍속 시속 241km로 루이지애나 남서부 지역에 큰 피해가
발생했다. 생방송을 하던 방송기자가 대피할 정도로 위력이 강했다.



[NOAA]세종=정종오 기자 ikokid@inews24.com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