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漢詩

[漢詩] 봄날의 戀詩

 

 

 
 

 

 
 
 


 

봄날의 戀詩

 

 

落梅(낙매) / 金雲楚(김운초)

 

 


玉貌氷肌苒苒衰(옥모빙기염염쇠)
옥 같은 하얀 꽃이 하나 둘 시들더니
東風結子綠生枝(동풍결자록생지)
봄바람에 열매 맺어 가지마다 푸릇푸릇


棉棉不斷春消息(면면부단춘소식)
해마다 쉬지 않고 봄소식 이르나니
猶勝人間恨別離(유승인간한별리)
오히려 이별을 슬퍼하는 인간보다 낫구나

봄소식은
때가 되면 돌아오기에 참고 견디며 기다리라는 약속이다
그 약속이 있기에 추운 겨울을 버틸 수 있는 것이다


차라리 이별의 한과 사랑의 그리움에 마음 아파하는 나보다는
해마다 봄이 되면 꽃이 피고 열매 맺는 저 매화나무가 더 행복하지 않겠는가?

大同江(대동강) / 鄭知常(정지상)

雨歇長堤草色多(우헐장제초색다)
비개인 언덕에 봄빛이 파릇파릇
送君南浦動悲歌(송군남포동비가)
님 보내는 남포엔 걸핏하면 슬픈 노랫소리


大同江水何時時盡(대동강수하시진)
대동강 물은 어느 때나 마를까나
別淚年年添綠波(별루년년첨록파)
이별의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에 더해지네



送人(송인)이라는 제목으로 더 유명한데
한국 역대의 시가를 모은 대동시선(大東詩選)에는
대동강으로 실려있다

柳枝詞(유지사) / 李廷龜(이정구)

搖蕩春風楊柳枝(요탕춘풍양류지)
봄바람에 벌들가지 휘날리는데
畵橋西畔夕陽時(화교서반석양시)
화려한 다리, 물가에 석양이 질 때라


飛花료亂春如夢(비화료란춘여몽)
어지러운 꽃잎 사이로 봄은 꿈처럼 가는데
추愴芳洲人未歸(추잧방주인미귀)
슬프도다, 꽃 핀 삼각주에 님은 오시지 않네

버들가지 늘어선 물가를 따라 아름답게 채색한 다리를
정답게 거닐었던 곳을 이제 홀로 그리워 하니
어느덧 그 행복했던 시절이 꿈처럼 눈앞에 스치는 지난 날

箕城聞白評事別曲(기성문백평사별곡) / 崔慶昌(최경창)

錦繡煙花依舊色(금수연화의구색)
금수산의 안개 낀 꽃 예전과 같고
綾羅芳草至今春(능라방초지금춘)
능라도의 방초는 흐드러진 봄이라


仙郞去後無消息(선랑거후무소식)
도련님 떠나신 후 소식도 없는데
一曲關西淚滿巾(일곡관서루만건)
관서별곡 한 곡조에 수건을 적신다오

기성문백평사별곡을 풀이하면 기성은 평양을
백평사는 정 6품의 무관벼슬인 병마평사(兵馬評事)에 있던
최경창의 친구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관서별곡(關西別曲)을


가리키는데 백광훈이 병마평사가 되어 떠나기 전에 아끼던
용만 기생 몽강남(夢江南)이 있었으니 최경창이 백광훈을
그리워하는 몽강남의 마음을 미루어서 지어 준 것이라 한다

春閨詞(춘규사) / 金三宜堂(김삼의당)

人靜紗窓日色昏(인정사창일색혼)
고요한 사창에 날이 저무는데
落花滿地掩重門(낙화만지엄중문)
꽃잎은 마당에 가득 중문은 닫혀 있네


欲知一夜相思苦(욕지일야상사고)
하룻밤 새 얼마나 그리운지 알고 싶다면
試把羅衾檢淚痕(시파라금검루흔)
비단 이불에 난 눈물자국 찾아보시게나



만물이 봄을 맞아 생기를 발하여도 혼자 있는 규방에는 봄이 오지 않는다
님께서 떠난 후 홀로 또다시 봄을 맞이하는 여인네


이제 또 밤이 시작되면 긴긴 밤 동안 잠을 이루기 위해 얼마나 고생할까?

悼亡(도망) / 李達(이달)

羅위香盡鏡生塵(나위향진경생진)
비단 휘장 향내 다하고 경대엔 먼지만 앉아
門掩桃花寂寞春(문엄도화적막춘)
문 닫힌 정원엔 복사꽃만 적막한 봄이라


依舊小樓明月在(의구소루명월재)
예전처럼 누대에 밝은 달이 떴건만
不知誰是捲簾人(부지수시권렴인)
모르겠어라, 누가 발을 걷어주리오



선조 때 최경창, 백광훈과 함께 삼당시인으로 일세를 풍미했던
이달은 그의 어머니가 기생인 서자 출신이라 관직에 나갈 수

 없지만
당대의 재야 학자로 이름이 높았고 만년에는 허균과 허난설헌의 스승이
되어 이들 남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南浦(남포) / 李克堪(이극감)

江上雪消江水多(강상설소강수다)
강 위에 눈이 녹아 강물이 불어나니


夜來聞唱竹枝歌(야래문창죽지가)
밤새도록 이별의 노래 들려오누나
與君一別思何盡(여군일별사하진)
이제 헤어지면 그리움은 언제나 끝날까


千里春心送碧波(천리춘심송벽파)
푸른 물결에 이 마음 실어 님 계신 곳에 보내리

정지상의 대동강이라는 시에 차운(次韻)하여 똑같이
多, 歌, 盡, 波를 사용한 작품인데 정지상의 시와는
또 다른 맛을 느끼게 한다

無題 / 許筠(허균)

香濃수被元央煖(향농수피원앙난)
향내 짙은 원앙 이불이 따스한데
寶차落枕玄雲亂(보차락침현운란)
비녀 떨어진 베갯머리 검은 구름이 어지럽네


絳燭搖紅風捲만(강촉요홍풍권만)
진홍빛 촛불 흔들리고 바람이 휘장을 걷어 올려
瓊樓西畔低銀漢(경루서반저은한)
아름다운 누대 서쪽엔 은하수가 나직하구나


鳥鳴月落夜將半(조명월락야장반)
새 울고 달 기울어 밤은 깊어가는데
十二巫山春夢短(십이무산춘몽단)
무산 십이봉의 봄꿈은 짧기만 하구나

짙은 향내를 풍기는 원앙 이불이 에로틱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둘째가라면 억울해 할 천하제일의 바람둥이 허균이 지을 법한 글이라고..

贈某女(증모녀) / 金炳淵(김병연)

客枕소條夢不仁(객침소조몽불인)
나그네 잠자리 쓸쓸하고 꿈조차 어수선한데
滿天霜月照吾隣(만천상월조오린)
하늘 가득 차가운 달은 내 곁을 비추누나


綠竹靑松千古節(녹죽청송천고절)
푸른 대 푸른 솔은 천고의 절개 지키지만
紅桃白李一年春(홍도백리일년춘)
붉은 복사꽃 하얀 자두꽃은 한 해의 봄을 즐긴다네


昭君玉骨胡地土(소군옥골호지토)
왕소군의 아름다운 몸 오랑캐 땅의 흙이 되었고
貴妃花容馬嵬塵(귀비화용마외진)
양귀비의 꽃다운 얼굴 외딴 곳의 티끌 되었네


人生本非無無情物(인생본비무정물)
인생이란 본래 무정한 것이 아니나니
莫惜今宵解汝身(막석금소해여신)
오늘밤 너의 몸 푸는 것을 아까워 말지어다

벼슬하여 뜻을 펼칠 수 없었기에 시로 세상을 조롱하고
자신을 자조하며 한평생을 보내야 했던 김삿갓
그래서 사대부들이 감히 입에 담지도 못하는 내용을
거침없이 시로 쏟아내던 양반.
그는 과연 성공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