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漢詩

(97)
黃鶴樓 [ 황학루 ] 黃鶴樓 [ 황학루 ] 昔人已乘黃鶴去 [ 석인이승황학거 ] 옛 사람 황학 타고 이미 가버려 此地空餘黃鶴樓 [ 차지공여황학루 ] 땅에는 쓸쓸히 황학루만 남았네 黃鶴一去不復返 [ 황학일거불부반 ] 한번 간 황학은 다시 오지 않고 白雲千載空悠悠 [ 백운천재공유유 ] 흰구름 천 년을 유유히 떠 있네 晴川歷歷漢陽樹 [ 청천력력한양수 ] 개인 날 강에 뚜렷한 나무 그늘 春草處處鸚鵡洲 [ 춘초처처앵무주 ] 앵무주에는 봄 풀들만 무성하네 日暮鄕關何處是 [ 일모향관하처시 ] 해는 저무는데 고향은 어디인가 煙波江上使人愁 [ 연파강상사인수 ] 강의 물안개에 시름만 깊어지네...... 최호[ 崔顥 ] 가져온 곳 : 카페 >♣ 이동활의 음악정원 ♣ | 글쓴이 : 매일이| 원글보기
黃昏의 12道 黃昏의 12道 第1道-언도(言道) 老人은 말의 數는 줄이고, 소리는 낮추어야 한다. 第2道-행도(行道) 老人은 行動을 느리게 하되 行實은 愼重해야 한다. 第3道-금도(禁道) 老人은 貪慾을禁하라! 慾心이 크면 사람이 작아 보인다 第4道-식도(食道) 老人은 먹는 것으로 산다. 가려서 잘 먹어야 한다. 第5道-법도(法道) 삶에 規模를 갖추는 것이 豊饒로운 삶보다 眞實하다. 第6道-예도(禮道) 老人도 젊은이에게 갖춰야 할 禮節이 있다. 待接만 받으려 하지 말아야 한다. 第7道-낙도(樂道) 삶을 즐기는 것은 慾望을 채우는 것에 있지않다. 簡決한 삶에 樂이 있다. 第8道-절도(節道) 늙음이 아름다움을 잃는 것은 아니다. 節制하는 삶에 아름다움이 있다. 第9道-심도(心道) 人生의 結實은 마음가짐에서 나타난다. 마음을..
추야월 (秋夜月) 秋夜永(추야영, 가을밤이 길다) 洞房秋夜月(동방추야월) 洞房(동방)의 추야월에 厭聞蟋蟀聲(염문실솔성) 귀뚜라미소리를 실컷 듣네. 何事雲間鴻(하사운간홍) 무슨 일로 구름 사이의 기러기는 又向月中鳴(우향월중명) 또 달을 향해 우는가? 渠自無心聽自愁(거자무심청자수) 너는 본디 무심하지만 듣는 나는 근심스러워 夜夜孤枕夢不成(야야고침몽불성) 밤마다 외로운 잠자리에서 꿈을 이루지 못하네. 이 시는 조선 후기의 문신 洪良浩(홍양호, 1724~1802)가 이라는 제목으로 한역한 것이다 추야월 (秋夜月)
가을을 노래한 글 秋風起兮白雲飛  草木黃落兮雁南歸 추풍기혜백운비 초목황락혜안남귀蘭有秀兮菊有芳 懷佳人兮不能忘난유수혜국유방 회가인혜불능망泛樓船兮濟汾河 橫中流兮揚素波범누선혜제분하 횡중류혜양소파簫鼓鳴兮發棹歌 歡樂極兮哀情多소고명혜발도가 환락극혜애정다少壯幾時兮奈老何 소장기시혜내로하가을바람 불어와 흰 구름 날아가네초목은 황락(黃落)한데 기러기는 남쪽으로난초가 빼어났다 국화도 향그럽네가인(佳人)을 부여잡네 잊지 몰할 건 정이어라배을 띄워 저 하수를 건너자중류(中流)에 비꼈네 출렁이는 소파(素波)여피리 불고 북 쳐 도가(棹歌)를 불러라환락(歡樂)은 극에 달해 풍덩 애정(哀情)으로 바꿨구나젊었을 때 언제던가 늙는 걸 어찌할까- 漢武帝 / 秋風辭..  露下天高秋氣淸 空山獨夜旅魂驚 노하천고추기..
언제 오시려나...... 언제 오시려나...... 相思夢 [ 상사몽 ]? 꿈속의 사랑 相思相見只憑夢 [ 상사상견지빙몽 ] 서로 생각하고 보는 건 다만 꿈속 뿐이고 訪歡時歡訪 [ 농방환시환방농 ] 내가 님 찾아 떠났을 때 님은 나를 찾아왔다네 願使遙遙他夜夢 [ 원사요요타야몽 ] 바라건데 언제든지 다음날 밤 꿈에서는 一時同作路中逢 [ 일시동작로중봉 ] 같은 시간에 떠나서 길에서 만나기를...... 황진이 詩 --. ? 뎅그렁 바람따라 풍경이 웁니다. 그것은,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일 뿐. 아무도 그 마음 속 깊은 적막을 알지 못합니다. 만등이 꺼진 산에 풍경이 웁니다. 비어서 오히려 넘치는 무상의 별빛. 아, 쇠도 혼자서 우는 아픔이 있나 봅니다. 김제현 「풍경」 ? ? 명상음악 머무는 바 없는 빈마음 마음이 원래부터 없는 이는..
陣中吟(진중음) / 忠武公 李舜臣(1545-1598) DOCTYPE HT 陣中吟 (진중음) 진중에서 시를 읊다-忠武公 李舜臣(1545-1598) 天步西門遠 (천보서문원) 나라님 행차는 서쪽 관문으로 멀어지고 東宮北地危 (동궁북지위) 동궁전하는 북쪽 변경에서 위험에 처해있다. 孤臣憂國日 (고신우국일) 외로운 신하 나라 일 걱정하는 날이며 壯士樹勳時 (장사수훈시) 장사들은 공을 세울 때이다. 誓海魚龍動 (서해어용동) 바다에 맹세하니 어룡이 감동하고 盟山草木知 (맹산초목지) 산들에 맹서하니 초목이 알아준다. 讐夷如盡滅 (수이여진멸) 이 원수들을 다 죽일 수 있다면 雖死不爲辭 (수사부위사) 비록 죽을 지라도 사양하지 않으리. 이 詩는 壬辰倭亂 때에 風前燈火의 危機에 처한 나라를 반드시 구해내겠다는 忠武公의 意志와 決意를 담은 憂國忠情의 詩로 알려져 있다. 特히, ..
산중문답~이백 이백의 시 한시 산중문답 감상 가져온 곳 : 카페 >걸패산머루산악회 | 글쓴이 : 산지기윤대장| 원글보기
매월당梅月堂 김시습 한시 모음 매월당梅月堂 김시습 한시 모음 도중途中 김시습 (金時習) 貊國初飛雪 春城木葉疏 맥의 나라 이 땅에 첫눈이 날리니, 맥국초비설 춘성목엽소 춘성에 나뭇잎이 듬성해지네. 秋深村有酒 客久食無魚 가을 깊어 마을에 술이 있는데, 추심촌유주 객구식무어 객창에 오랫동안 고기 맛을 못보겠네. 山遠天垂野 江遙地接虛 산이 멀어 하늘은 들에 드리웠고, 산원천수야 강요지접허 강물 아득해 대지는 허공에 붙었네. 孤鴻落日外 征馬政躊躇 외로운 기러기 지는 해 밖으로 날아가니, 고홍락일외 정마정주저 나그네 발걸음 가는 길 머뭇거리네 詠妓三首 綠羅新剪製春衫 理線掂針玉手織 녹라신전제춘삼 리선점침옥수직 自敍一生人命薄 隔沙窓語細喃喃 자서일생인명박 격사창어세남남 초록 비단 말라 봄옷을 마련핳제 바늘 따라 실 따라서 고운 손길 노닐더니 서러워라..
思親사친 申師任堂 신사임당 思親사친 申師任堂 신사임당 千里家山萬疊峯 천리가산만첩 歸心長在夢魂中 귀심장재몽혼중 寒松亭畔孤輪月 한송정반고윤월 鏡浦臺前一陣風 경포대전일진풍 沙上白鷺恒聚山 사상백로항취산 波頭漁艇各西東 파두어정각서동 何時重踏臨瀛路 하시중답임영로 綵服斑衣膝下縫 채복반의슬하봉 친정 생각 천리 먼 고향 산은 만 겹 봉우리로 막혔으니 가고픈 마음 오래도록 꿈속에 있네 한송정 가에는 둥근 달이 둘이요 경포대 앞에는 한 줄기 바람이로다 모래밭엔 백로가 늘 모였다 흩어지고 파도 위엔 고깃배가 각각 서쪽 동쪽으로 가는구나 어느 때 고향 길을 다시 밟아서 색동옷 입고 어머님 곁에서 바느질할까? 夢魂中(몽혼중) ; 꿈길에서 신사임당 -평산신씨 문희공파 조선 중기의 여류 서화가(書畵家). (1504년 10월 29일 ~ 1551년 5월 17일)..
사청사우(乍 晴 乍 雨) - 김시습 사청사우(乍 晴 乍 雨) 梅月堂 / 金 時習 乍晴乍雨 雨還晴 (사청사우 우환청) 天道猶然 況世情 (천도유연 황세정) 개는듯 비오고 비오는듯 도로 개네 하늘이치 저렇거늘 인간사는 세상에랴 譽我便應 足毁我 (예아편응 족훼아) 逃名却自 爲求名 (도명각자 위구명) 내 좋다 편들다간 도로 나를 헐뜯고 제이름 숨기는척 돌아서면 생색내네 花開花謝 春何管 (화개화사 춘하관) 雲去雲來 山不爭 (운거운래 산부쟁) 꽃이야 피던말든 이 봄이야 무슨상관 구름이야 오던가던 산이야 무슨 관심 寄語世上 須記憶 (기어세상 수기억) 取歡無處 得平生 (취환무처 득평생) 어화세상 사람들아 이내 말씀 기억하소 평생두고 가질재미 별 찾을데 없을거요 10. 마음의 그림자
서산대사 선시(禪詩) photo@newsis.com 서산대사 선시(禪詩) 눈 덮인 들판을 걸어갈 때는 행여 발걸음 하나라도 어지럽게 가지 말라 오늘 내가 걸어가는 이 발자취는 반드시 후인들의 길잡이가 되리니'눈 내린 들판을 밟아 갈 때는 그 발걸음을 어지러이 하지 말라. 오늘 걷는 나의 발자국은 반드시 뒷사람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 낮에는 한잔의 차요 밤들면 한바탕의 자비일세. 푸른 산과 흰구름이 함께 나고 감이 없음을 이야기하네.결코, 부끄럽지 않은 길을 가겠다. 당초 이 시는 지난 1948년 남북협상 길에 나선 백범 김구 선생이 38선을 넘으면서 인용해 읊었던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은 그 고결한 정신과 함께 지사와 선비들의 방에 족자의 형태로 걸리기도 했다. 어려운 결단을 내릴 때마다 백범이 되새겼다던 이..
思親사친 申師任堂 신사임당 녀성화가로 이름을 남긴 신사임당과 조선화 《가지》. 사진=조선의오늘 © 이형주 기자 思親사친 申師任堂 신사임당 千里家山萬疊峯 천리가산만첩 歸心長在夢魂中 귀심장재몽혼중 寒松亭畔孤輪月 한송정반고윤월 鏡浦臺前一陣風 경포대전일진풍 沙上白鷺恒聚山 사상백로항취산 波頭漁艇各西東 파두어정각서동 何時重踏臨瀛路 하시중답임영로 綵服斑衣膝下縫 채복반의슬하봉 친정 생각 천리 먼 고향 산은 만 겹 봉우리로 막혔으니 가고픈 마음 오래도록 꿈속에 있네 한송정 가에는 둥근 달이 둘이요 경포대 앞에는 한 줄기 바람이로다 모래밭엔 백로가 늘 모였다 흩어지고 파도 위엔 고깃배가 각각 서쪽 동쪽으로 가는구나 어느 때 고향 길을 다시 밟아서 색동옷 입고 어머님 곁에서 바느질할까? 夢魂中(몽혼중) ; 꿈길에서 신사임당 -평산신씨 문희공파 조선 ..
名言 名句 家訓 body { background-color:transparent; margin:0; padding:0; overflow-x:auto; overflow-y:hidden; scrollbar-3dlight-color:#FFFFFF; scrollbar-arrow-color:#FFFFFF; scrollbar-darkshadow-color:#FFFFFF; scrollbar-face-color:#DBDBDB; scrollbar-highlight-color:#BBBBBB; scrollbar-shadow-color:#BBBBBB; scrollbar-track-color:#F3F3F3; } body p { line-height:1.6; } p { margin:0; padding:0; } ..
夜思何(야사하) / 황진이 詩 夜思何(야사하) / 황진이 詩 蕭寥月夜思何事(소요월야사하사) 달 밝은 밤에 그대는 누굴 생각하세요? 寢宵轉輾夢似樣(침소전전몽사양) 잠이 들면 그대는 무슨 꿈 꾸시나요? 問君有時錄忘言(문군유시녹망언) 붓을 들면 때로는 내 얘기도 쓰시나요? 此世緣分果信良(차세연분과신량) 나를 ..
수선화 미니수선의 한 종류, 알뿌리가 스스로 잘 불어난다. 對酒問月 [ 대주문월 ] 靑天有月來機時 [ 청천유월래기시 ] 푸른 하늘의 달이여, 언제부터 있었느냐 我今停盃一問之 [ 아금정배일문지 ] 나 잠시 술잔을 놓고 한마디 물어 보노라. 人攀明月不可得 [ 인반명월불가득 ] 사람은 저 달을 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