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漢詩

(97)
김득신(金得臣) 출문간월도(出門看月圖)/ 고연희의 옛 그림 고연희의 옛 그림 속 인물에 말을 걸다 세상이 시끄러운 이유는 보지도 않고 짖는 개처럼 속된 인간들 때문이다 ⑤ 김득신 ‘출문간월도’ - 개 짖는 소리가 어떻게 들리나요 ▲ 김득신의 ‘출문간월도’(종이에 옅은 채색, 25.3×22.8㎝) 개인 소장 /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출문간월도(..
미인도(美人圖)[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26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26] 꽃가지 꺾어 든 그녀, 쪽빛 치마 살포시 들어올렸네 '미인도' - 작자 미상, 종이에 담채, 114.2×56.5㎝, 1825년 무렵,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미인의 옛적 패션을 구경해보자. 우선 헤어스타일이 피어나는 뭉게구름 같다. 몽실하게 부푼 얹은머리는 윤기 자르르..
맹광제미(孟光齊眉)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손철주의 옛 그림 옛사람] [27] 남편들이여, 이젠 저렇게 밥상을 차려라 ' 맹광제미(孟光齊眉)'… 양기성 그림, 종이에 채색, 38×29.8㎝, 18세기,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한적한 산골에 달랑 집 한 채가 보인다. 등장인물은 단둘이고, 그들은 부부다. 남편은 방 안에 편히 앉았고 아내는 두 손..
南啓宇 (일호 남계우) / 詠蝶 (영접) 나비의 노래 詠蝶 (영접) 나비의 노래 一 濠 南啓宇 (일호 남계우) 暖日輕風好天氣 (난일경풍호천기) 따뜻한 햇볕 산들바람 날씨 좋은데 柔鬚錦翅緩徘徊 (유수금시완배회) 부드러운 더듬이 비단 날개로 천천히 맴도네 前身知是採香使 (전신지시채향사) 전신이 채향사 였음을 알겠으니 領略小花幽草來..
한시(漢詩)의 이해 한시(漢詩) 한자(漢字)로 창작된 시. (한시 분류 및 형식, 고체시, 근체시 등 종류..) 〔개념과 형식〕 (1) 개 념 한시란, 글자 그대로 말하면 한자로 기록된 시를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중국의 것뿐만 아니라 주변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로 기록한 시까지를 포함하여 한시라..
먼 곳에 있는 님에게 /계향(桂香) 한시의 산책 - 먼 곳에 있는 님에게 - 계향(桂香),寄遠 -기원 別後雲山隔渺茫 夢中歡笑在君傍 별후운산격묘망 몽중환소재군방 覺來半枕虛無影 側向殘燈冷落光 각래반침허무영 측향잔등냉락광 何日喜逢千里面 此時空斷九回腸 하일희봉천리면 차시공단구회장 窓前更有梧桐雨 添得相思..
4자 성어(四字成語) /제목 : [좋은글] 4자 성어(四字成語) 家家戶戶(가가호호) : 집집마다. 可欺宜方(가기의방) : 그럴듯한 방법으로 남을 속이는 것. 街談巷說(가담항설) : 세상의 풍문. 길거리의 화제. 苛斂誅求(가렴주구) : 세금 등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여 백성을 못살게 들볶음. 佳人薄命(가인박명) : 여자의 ..
맹자, 사랑을 이야기하다[천하무적 맹자왈] 맹자, 사랑을 이야기하다[천하무적 맹자왈] 외로운 사람들을 위하여 어느 날 제나라 선왕이 맹자에게 물었다. “사람들이 모두 나더러 명당(明堂)을 허물라고 하는데 허물어 버릴까요? 그냥 둘까요?” 제나라의 명당은 본래 주나라 천자가 동쪽으로 순행(巡行)할 때 제후들을 접견하던 곳..
<노자 道德經 全文> body { background-color:transparent; margin:0; padding:0; overflow-x:auto; overflow-y:hidden; scrollbar-3dlight-color:#FFFFFF; scrollbar-arrow-color:#FFFFFF; scrollbar-darkshadow-color:#FFFFFF; scrollbar-face-color:#DBDBDB; scrollbar-highlight-color:#BBBBBB; scrollbar-shadow-color:#BBBBBB; scrollbar-track-color:#F3F3F3; } body p { line-height:1.6; } p { margin:0; padding:0; } ..
꿈속의 넋 [ 夢魂 ] /이옥봉 [李玉峰] 꿈속의 넋 [ 夢魂 ] 近來安否問如何 [ 근래안부문여하 ] 月到紗窓妾恨多 [ 월도사창첩한다 ] 若使夢魂行有跡 [ 약사몽혼행유적 ] 門前石路半成沙 [ 문전석로반성사 ] 요사이 안부를 묻노니 어떠하시나요 달 비친 사창[ 紗窓 ]에 저의 한이 많습니다 꿈 속의 넋에게 자취를 남기게 한다면 문 ..
孫子兵法의 人生 13 計 孫子兵法의 人生 13 計 1計 : 초윤장산(礎潤張傘) 주춧돌이 있으면 우산을 펄쳐라. 상대의 작은 언행. 주변의 사소한 조짐에서 결과를 예측하라. 2計 : 난득호도(難得糊塗) 때로는 바보처럼 보여 상대의 허를 찾는다. 매도 먹이를 채려고 할 때는 날개를 움츠리며 나직이 난다. 3計 : 화광동..
同心草' / 薛濤 '同心草'는 薛濤의 春望詞 四首 중 세 번째 詩이다. 春望詞 四首 花開不同賞 꽃피어도 함께 즐길 이 없고 花落不同悲 꽃 져도 함께 슬퍼할 이 없네 欲問相思處 묻노니, 그대는 어디 계신고, 花開花落時 꽃 피고 꽃 질 때에. 攬結草同心 풀을 따서 한 마음으로 맺어 將以遺知音 지음의 님에..
삿갓 金炳淵선생의 漢詩 9首 詠笠 (내 삿갓) 浮浮我笠等虛舟 (가뿐한 내 삿갓이 빈 배와 같아) 一着平生四十秋 (한번 썼다가 사십년 평생을 쓰네) 牧堅輕裝隨野犢 (목동은 가벼운 삿갓 차림으로 소 먹이러 나가고) 漁翁本色伴沙鷗 (어부는 갈매기 따라 삿갓으로 본색을 나타냈지) 醉來脫掛看花樹 (취하면 벗어서 구경..
鳶飛戾天(연비려천) 旱麓 -詩經大雅文王之什 한산 기슭-시경대아문왕지십 瞻彼旱麓(첨피한록) : 저 한산 기슭 바라보니 榛楛濟濟(진고제제) : 개암나무, 호나무 우거졌다 豈弟君子(기제군자) : 공손한 군자님이 干祿豈弟(간녹기제) : 복록을 구함에 공손하지 않으리 瑟彼玉瓚(슬피옥찬) : 깨끗한 저 옥술잔 黃..
조선시대 여류시인의 애절한 시 모음 | 한시 출처 : 그리움은 강물되어 | 글쓴이 : 오경 원글보기 메모 : 요즘 트위터 페이스북 더보기 싸이월드 미투데이